소원 - 희망의 날개를 찾아서
소재원 지음 / 네오픽션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극장나들이를 갔다가 영화 [소원] 카달로그를 보고는 이 영화는 꼭 봐야할 것 같아 찜해 두었던 영화였는데 원작이 눈에 띄어 읽고 싶은 차에 그 소원을 이루게 되었다. 그런데 소설을 읽어보니 극장에 못 갈 듯 하다. 책을 읽으면서도 눈물이 줄줄 흘러 내려 눈물을 닦으며 읽고 목울대가 컥 막힌 듯 하여 몇 번이나 울컥 울컥 했는데 극장에서 과연 이겨내며 끝까지 잘 볼 수 있을까 의문이다. 저자의 소설은 처음인데 사회성 있는 목소리를 잘 담아내는 작가인 듯 해서 다른 작품들을 더 눈여겨 봐야겠다는 생각을 가졌고 이 소설 또한 실제 사건을 바탕에 두고 있어서일까 아니면 나 또한 두 딸의 엄마이고 객지에 나가 있는 두 딸의 귀가길이 늘 걱정되고 연락하여 연락이 안되면 한시간이고 두시간이고 안절부절하는 정말 웃지못할 사건이 몇 번 있었기에 더욱 감정이입이 되어 불끈불끈 하기도 했다.

 

" 저 자식......알고 있을까? 판사는 알고 있을까? 세상의 모든 행복이 지윤이에게서 나오는 우리를. 지금 저들이 세상 모든 정말을 우리에게 선물했다는 것을."

 

아동성폭력,성폭력은 정말 근절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갈수록 더 극성인듯 해서 무섭기도 하고 딸들을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하루 한시도 맘을 놓지 못하는 세상이 한스럽기도 하다.어젯밤에도 큰딸의 전화에 마지막 마무리는 '일찍 귀가하고 늘 조심해라.' 왜 그렇게 살아야 하는지. 맘 놓고 살 수 있는 그런 세상에서 자식들을 키우고 싶은 것이 모든 부모의 맘일 듯 하다. 다 큰 자식도 걱정이 되는데 아직 자라나는 '아동성폭력'은 정말 피의자들에게는 험한 말이 막 나오기도 하고 인권이 아니라 인권을 무시하고 싶어진다. 그들도 가족,부모 라는 단어에 언젠가는 해당사항이 될 확률이 있을터인데 어떻게 그런 일을 저지를 수 있을까? 자신들의 원죄보다 빠져나갈 구멍으로 그럴 때에만 '술' 을 거들먹 거린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그런 소리에 힘을 실어 주었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법이다.그렇다면 술을 마시고 하는 범죄는 인정해 준다는 소리밖에 더 되는가? 술의 힘까지 빌렸으니 더 엄중하게 처벌되어야 하는 것이 성폭력이고 아동성폭력이다.

 

삶에는 세 가지 길이 있다. 도망가거나 방관하거나 부딪히거나.

 

어린 나이게 그런 아픔을 겪으면 평생 짊어지고 가야할 짐의 무게가 너무 무겁다. 피의자의 욕망 때문에 짓밟힌 어린 꿈나무의 싹이 완전히 짓밟힌 것은 물론이고 소설처럼 한 가족이 와해되었는데 어떻게 가벼운 형량으로 재범의 소지를 줄 수 있는가. 아동성폭력은 피해자 본인의 아픔 뿐만이 아니라 소설에서처럼 엄마인 지윤엄마도 지윤아빠 그리고 당사자인 지윤에게도 모두 큰 아픔으로 작용하여 가족의 울타리를 무너뜨리고 만다. 당사자의 고통이 제일 크겠지만 옆에서 버팀목이 되어야 하는 부모의 고통도 크다. 부모의 흔들림으로 가족은 완전히 무너져 내리지만 무엇보다 제일 힘든 것은 사회적이목을 이겨낸다는 것일 것이다. 무슨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취급을 하는 편견을 가진 이들 사이에서 아이도 부모도 버티며 견디어 낸다는 것은 대단한 의지가 필요하다.그럴 때 곁에서 누군가 큰 힘이 되어 주어야 하는데 이 소설에는 민조라는 의사가 함께 해 준다.그들을 오래전부터 알고 있는 의사이기에 가능한 일이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이런 상황을 만나기란 하늘의 별따기 일 듯 하다.

 

"<메멘토> 기억나? 우리가 함께 봤던 영화야. 거기에 이런 대사가 나오지. '눈은 감도 있어도 세상은 존재한다. 기억은 기록이 아닌 해석이다. 기억은 방의 구조를 바꿀 수 있고 차의 색깔을 바꿀 수 있다."

 

8살 지윤이 사라지고 남편은 아내가 아이와 함께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아내를 받아 들이고 이해하려 하는 것이 아니라 그녀만 보면 그날의 일로 인해 폭력적이고 극단적이게 된다. 이미 일어난 일을 힘을 합하여 이겨내기 보다는 회피하려는 사람처럼 아니 지윤이가 자신을 거부한다는 이유로 더 겉돌게 되고 그들의 아픔을 나누지 못하고 점점 무너져 내린다. 이 가족이 헤쳐나가야 할 길은 정말 멀게만 보인다. 8살 여아인 지윤이가 성폭력 피해자가 되면서 한가정은 그야말로 위기에 놓이게 되고 아내는 아내 대로 이겨내 보려고 하지만 엄마의 우울증은 아이에게 고스란히 옮겨가게 되고 아빠 또한 딸아이가 아직 극복하지 못한 존재라 모녀 사이에 낄 수 없기도 하지만 고통을 서로 나누지 못하고 아내탓으로 돌려 버리듯 자신도 압박감에 시달린다. '그날' 이전에는 행복하고 이쁘고 희망이 가득하던 가정이 한순간에 난파된 가정이 되어 버렸다. 누군가는 나서서 돛을 잡아야 하는데 아무도 잡지 않으려고 하는 것처럼 개개인의 아픔에 허덕이며 무너져 내리고 있다. 그런 그들 사이에 그들이 행복하던 순간에 함께 했던 '영화' 와 딸 지윤과 아빠가 공감할 수 있는 '도라에몽' 이라는 것이 흘러 들면서 그들의 고통은 서서히 희망의 순풍을 만나게 된다.

 

남편이 선택했던 '죽음' 은 그에게 새로운 삶에 대한 애착을 가져다 주고 그것이 하나의 계기처럼 딸과 소통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서로의 마음을 주고 받게 되면서 남자,키가 큰 남자를 무서워 하던 지윤이 도라에몽을 좋아하고 도라에몽의 탈을 쓰고 있는 아빠를 좋아하게 되면서 그야말로 '아빠, 집에 가자' 라는 지윤의 한마디에 그동안 망망대해와 같던 곳에서 육지를 발견한듯 폭풍 눈물을 흘리며 가족의 다시 살아갈 '희망'이라는 힘을 울타리를 세우게 되고 그 안에서 다시금 '가족'으로 뭉치게 된다. 고통이란 서로 나누어야 하고 더구나 가족의 고통이라 개인의 고통이 아니기 때문에 함께 해야 한다. 무관심 속에 내 일이 아니라고 팽개쳐 놓을 것이 아니라 발 벗고 나서서 함께 이겨내고 견디어 내고 극복하도록 서로 함께 노력해야 폭풍 속에서 살아 남을 수 있지 혼자 벗어난다고 될 일이 아니다. 8살 지윤이가 큰 고통에서 벗어나는 일도 힘들겠지만 비단 그것은 혼자서 스스로 일어나게 할 일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해야 할 일이란 것을 말해주면서 가족이 서로의 손을 놓치 않고 마지막 순간까지 꼭 잡고 희망의 발걸음을 옮겼다는 것이 중요한 듯 하다.

 

"그래요,가족. 그 울타리만 존재한다면, 우리는 아직 행복한 거라 생각해요. 비록 처참하게 짓밟히고 망가졌지만 아직 그 누구도 그 울타리를 벗어나지 않았어요.나, 깨달았어요. 갇혀 있지 않아도 우린 절대 서로를 놓치 않는다는 걸.지윤아빠도 그랬을 거라 믿어 의심치 않아요. 놓아버릴수 없었기에,그렇다고 자신의 이성을 잠재울 수도 없었기에,스스로가 놓아버맂 않는 길을 선택했다고. 파도가 잠잠해지면 배는 다시 출항해요.

 

저자가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지윤이네 가족이 고통을 이겨내는 과정을 눈물나게 그려낸 것은 가족이 끈을 놓지 않고 이겨내는 감동 이야기도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 피의자에게 내려지는 형벌에 대한 한목소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술에 의해서 무심코 벌인 욕망이라고 내려진 형량이 아니라 그로 인해 가족이 어떻게 와해되어가고 변질될 수 있는지 그런가하면 그런 피해자가 늘어나지 않게 해야하는 것 또한 우리의 몫이다. 누군가는 나서서 법이 잘못되었다면 현실에 맞게 고쳐나가야 한다. 21세기를 살면서 19세기 법의 잣대로 피해자만 그 고통을 감내하라고 한다면 국가의 밑바탕이 되는 '가족' 이라는 최소단위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수신제가라고 했던가 밑바탕부터 든든하게 바로 서야 하는데 법의 잣대가 어느 쪽에 더 무게를 두고 있는지 가끔 의심이 드는 판결에 의아해 사건을 읽어 보는 경우도 있는데 21세기 코미도 그런 코미디가 없는 듯 할 때가 있다.뻔히 보이는 결말에 왜 난해한 해석이 등장하는 것일까.소설의 시작 천 '추천사'도 소설 끝의 '작가의 말'도 모두 뼈가 있는 이야기로 자식을 가진 부모라며 깊이 느낄 것이다. 아니 내 아이에게만은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이란 것을 알면서도 누군가에게 상흔이 되었고 그 상흔에 합당한 법이 정당하게 해석되었다면 고통의 무게는 덜할텐데 희망의 날개를 왜 꺾어 놓는지.지윤이네 가족이 고통에 갇혀 몸부림치기 보다는 희망으로 한 발 한 발 옮겨 놓고 있어 더 눈물나는 소설이었고 소설로만 존재한다면 하는 씁쓸함이 남는 소설이었다.아이는 범죄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된다.어떤 이유 목적으로라도.영화를 보러 가는 길은 용기가 필요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