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쓴 글이 부끄러워 오늘도 쓴다 - 거리의 인문학자 최준영 에세이
최준영 지음 / 이지북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을 쓴다는 것은 참 힘든 일이다. 쉽게 잘 쓰는 사람도 있지만 늘 읽고 쓰고 있지만 읽는 것도 쓰는 것도 모두 힘들다. 내 경우에는 한번 쓴 글을 다시 잘 읽는 편이 아니다. 쓴 글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늘 새로운 글을 쓰고 있고 쓴 글은 그냥 지나쳐 버린다.그러다 어쩌다 시간이 되거나 기회가 되면 다시 읽어 보면 정말 여기저기 부끄러움 투성이지만 그래도 그것으로 그냥 놔둔다. 그 글은 그때의 감정이고 글을 쓸 때의 '역사'나 마찬가지이지 오자가 나거나 그외 잘못된 부분이 있어도 수정을 하지 않고 그냥 '방치'해 둔다.퇴고를 거쳐 좋은 글을 얻어내기 보다는 늘 배설처럼 뱉어내는 글을 쓰고 있어 좋은 글을 쓰지 못하나 보다.

 

제 글은 제 능력의 한계이면서 동시에 제 본연의 모습이기도 합니다.그저 그런 모습이 바로 저이고,또 저의 글인 거져.훌륭한 스승들과 탁월한 작가들의 고결한 문장과 심오한 철학에는 반감을 드러내면서 얼치기 자기 글은 좋다고 얘기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요? 저나 되니까 이런 호기를 부리는 거겠지요. 이런 제가 전 싫지 않습니다.

 

요즘은 읽는 것 또한 힘들다.갈수록 시력도 떨어지고 집중력도 떨어지는 것 같고 매너리즘에 빠진다고 할까,뭐 제대로 된 글을 쓰며 전문적인 글쓰기가 아니지만 그래도 나름 날마다 글을 쓰면서도 스스로 잘 써질 때가 있지만 안될 때는 정말 힘들게 힘들게 하루하루를 이어나갈 때가 있다. 그렇다고 그런 하루가 쌓여서 전문적으로 무척 글을 잘 쓰는 것도 아니면서 쓰면 쓸수록 힘들다는 것을 느끼는 것은 무엇인지. 처음엔 책을 읽고 쓰는 리뷰도 그리 길지 않았던 것 같은데 쓰다보니 점점 길어지고 넋두리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을 때가 많다. '전국 초청 1순위 대중 강연가' '420자 칼럼 페이스북의 논객 최준영!' '거리의 인문학자' 모든 것이 거져 얻어진 수식어는 없을 것이다.그가 글 속에도 녹여 냈지만 거져 얻어지는 결과는 아무것도 없을 것이다.늘 준비하고 노력하며 밑바탕부터 글쓰기를 해 왔기 때문에 오늘날의 그가 있는 것이지 결코 지나 온 길을 무시할 수 없는 수식어들 때문에 책을 더 포장하지는 않는 솔직 담백하며 진솔된 내용들이라 더 맛깔나게 읽을 수 있고 언제든 또 다시 펼쳐 들고 싶은 생각이 든다.

 

'사랑은 서로 마주 보는 것이 아니라 함께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다.'

 

'위로는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는 것이다.' 

 

좋은 글이란 무엇일까? 잘 쓴 글이란 무엇일까? 그런 기준이란 또 무엇일까? 좋은 글 잘 쓴 글보다는 무엇보다 글쓴이의 마음에서 우러나온 진심이 담긴 글이어야 독자에게 한발짝 더 다가갈 수 있고 거짓이 아닌 진실이 담겨야 공감이 호응도가 더 큰 듯 하다. 그래서일까 나부터 거짓된 글보다 솔직한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글이 더 좋고 그런 글들을 더 많이 챙겨 읽은 것 같다. 그의 이력부터 거부할 수 없는 서민적임을 보여주듯 그가 찾아 다니거나 글쓰기를 한 곳들을 보면 결코 높은 곳에서 시작했다고 볼 수 없는 '낮음'이 주는 깊은 울림이 있다. 노숙인이나 그외 소외된 계층을 찾아가 자신과 눈높이를 같이 하며 그들의 편에 서서 '인문학'강의를 하니 어렵게 느껴지는 강의가 아니라 정말 우리 인간에게 꼭 필요한 뼈와 살이 되는 인문학 강의가 되지 않았을까. 인문학을 어렵다고 생각하여 많이 접하지 않았지만 가끔 접하는 책들은 '인문학'으로 정의 내리기 보다는 우리가 살아가는 이야기처럼 파고 들어가면 갈수록 재미를 주는 책들이 더 많았던 것 같다.처음 자신의 소개부터 모든 것을 다 내려놓듯 청중과 나란히 하는 그리고 그들과 하나로 엮어질 수 있는 이야기들로 강사료를 다시 수정해야 할 것처럼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불러 일으키는 인문학자의 이야기는 어려운 것도 아니고 쉽게 솔직한 이야기로 더 깊은 곳을 할퀴고 든다.

 

돌이켜보면 좌충우돌의 연속이었습니다. 안정보다는 도전을 택했고,안전한 길보다는 위험한 길을 걸어왔습니다. 무모함이 없었더라면 가지 않았을 길이고 갈 수 없는 길이었지요. 무모함이 지금의 저를 만들었습니다. 제 청춘의 8할은 무모함이었습니다.

 

자신이 잘 되기를 바라며 기다렸던 어머니가 치매로 지린내로 먼저 자신을 반겨도 그것이 냄새나는 이야기가 아니라 나 또한 나이들어 가고 부모님이 그런 연세이기에 남의 일같지 않고 누구나 닥칠 수 있는 그야말로 솔직하면서도 삶의 이야기라 더 가슴에 와 닿는,멀리 있는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이라 더 부끄러움 보다는 진심이 묻어나 내 주변을 돌아보게 만든다. 하루하루 써낸 '420자의 힘' 이 쌓이고 쌓여 발효되어 내는 힘은 그야말로 사람냄새 사람 온기를 전해주며 가슴을 따뜻하게 해준다. 자신의 치부를 모드 드러내며 보여주기란 쉽지 않은데 어쩌면 감추면 감출수록 더 냄새나게 될지도 모르는데 밑바닥까지 보이면서 낮은 곳에서 있는 민들레처럼 고개를 숙여야 볼 수 있는 이들과의 만남과 그들의 속내를 담은 이야기는 가슴을 찡하게 울려준다. 무심코 잡았다가 깊은 울림에 빠져들어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그의 다른 책들도 찾아 읽어보고 싶은 생각,기회 된다면 강의도 한번 듣고 싶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