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스톤갭의 작은 책방 - 우정, 공동체, 그리고 좋은 책을 발견하는 드문 기쁨에 관하여
웬디 웰치 지음, 허형은 옮김 / 책세상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애서가 장서가 탐서가라면 어느 시점에서는 한번 북카페나 헌책방등 자신만의 공간을 가지고 싶은 것이 꿈인 이들이 많을 것이다. 아니 한번쯤은 생각해 보았을 것이다. 나 또한 내이름으로 북카페를 하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다. 혼자만의 북카페가 아니라 지역 주민들과 교류하면서 '사랑방' 같은 공간으로 구성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빅스톤갭의 작은 책방>을 읽다 보니 내가 생각했던 현실로 나타나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장서가이며 애서가였던 웬디와 잭은 여행중에 빅스톤갭을 가게 되었고 뜻하지 않게 그곳에서 자신들의 꿈을 이룰 수 있는 마땅한 '집'을 발견하게 되지만 수중에 가진 것이 없었다. 그렇다고 꿈을 미루고 싶지 않았던 그들,서브프라임에 여웃돈및 현금을 가지지 않고 그저 자신들의 열정과 자신들이 가진 책 그리고 고양이와 개 남이 보기엔 무모할 정도의 계란으로 바위치기와 같은 일을 시작하기로 한다.

 

"이 책방의 경우 '아이쿠, 우리 마을에 저런 이웃이 들어왔네.' 라는 말에 기분 좋은 뉘앙스가 깃들어 있따. 손님들은 책을 고르면서 잠시 앉아 쉴 수도 있고, 직접 구운 쇼트브레드나 태블릿이라고 하는 스코틀랜드식 퍼지를 먹으면서 커피나 차를 한 잔 해도 된다.

 

웬디와 잭이 '이익'을 따지고 시작했다면 책방은 오랜시간동안 유지되지 못했을 것이다.그들의 무모함이 어쩌면 빅스톤갭에 책방이 주민들과 함께 공감의 공간으로 주민들과 교류하는 사랑방과 같은 공간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이것저것 많이 따져보지 않고 정착하고 시작하고 가진것이 많지 않았기에 더 성공적인 공간이 되지 않았나 한다. 책을 좋아해서 책방이나 책과 관계된 일을 하면 책을 많이 읽을것 같지만 그와 관계된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독서 보다는 '노동'을 더 많이 한다고 한다. 현실은 환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헌책방이라고 해도 마이너스만 내며 뿌리를 내릴 수는 없는 일이다. 소점포를 열었다고 해도 뭔가 이익이 있어야 그곳에서 지역민으로 뿌리를 내리고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이익이 없다면 도시민들은 다시 도시로 돌아갈수 밖에 없다. 그렇게 된다면 지역민들에게는 손해나 마찬가지다. 그러니 잠깐 정착한 그들을 곱게 바라볼 수 없을 것이다. 그런 마찰음이 웬디와 잭에게도 있었다. 그들은 열심히 하고 싶었지만 일년여 지난후에 어쩔 수 없이 마주하는 지역민과의 마찰,하지만 멋지게 마찰을 벗어날 수 있는 지역신문과의 인터뷰와 기사가 실려 하향곡선은 다시 상승곡선을 이루게 되고 그들이 빅스톤갭에 뿌리를 내릴 수 있는 버팀목이 되어 준다.

 

중고책이 상품인 것은 맞다.그래도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책을 아주 소중하게 다룬다. 그 책들에게는 그들의 인생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속의 글자만 두고 하는 말이 아님을 여러분도 알 것이다.

 

인구 오천의 작은 곳이나 마찬가지인 빅스톤갭에 책방이 없었고 헌책방은 더더군다나 생각지도 못한 것이었는데 그들의 가려운 곳을 긇어주듯 웬디의 생각은 멋지게 들어맞았지만 자신들의 열정만으로 책방이 버티어 나가는 것은 아니다. 지역민과 하나가 되어 톱니바퀴가 잘 굴러가야 하는데 많은 자본을 들이지 않고도 그들은 하나 하나 자신들 앞을 가로막고 있는 벽을 잘 허물어 나가며 지역 주민들과 하나로 이어지고 그들의 말에 귀 기울이며 그들의 어깨를 토닥여주고 따뜻하게 안아 주며 잭의 '주전자 올려야겠네..' 라는 말이 어떻게 보면 책방 주인이 아니라 따뜻한 이웃집 아저씨와 같은 말로 그들의 가슴을 보듬어 주어 더 하나가 되어 나가지 않았을까.헌책만 팔고 산 것이 아니라 그들과 하나로 어우러질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또 그렇게 친근하게 하나로 연결되는 장을 만들어 함께 어울리며 이웃으로 뿌리를 내리며 책방도 점점 자리를 잡아 나가고 그곳은 모두가 한번씩 경험하고 싶은 '일터' 가 되기도 하는 것을 보면 책냄새가 결코 나쁘지 않았다는,고양이 두마리의 털이 날리고 오물 냄새가 나도 행복하고 아늑한 공간이 되지 않았을까.

 

매일같이 손님들은 이렇게 말하며 우리 책방으로 들어온다. "시간이 좀 남아서 구경이나 하려고요." 책을 사려고 들어오는 게 아니다.평화롭고 책 냄새 가득한 공기를 폐 한가득 들이마시려고 들어오는 것이다. 그렇게 생각해주다니 우리는 반가울 뿐이다.

 

요즘은 인터넷 서점이 우위를 차지하기도 하지만 오프의 서점들은 점점 줄어들고 그나마 헌책방은 찾아 보기가 힘들다.거기에 전자책의 등장으로 인해 종이책은 더욱 위험에 처했다고 한목소리를 하고 있지만 독서가들은 여전히 종이책을 선호하며 그 위세를 꺾지 못하고 종이책의 위력을 나타내고 있다. 나 또한 전자책이 실용적이라고 해도 전자책보다는 '종이책'이 더 좋다. 종이가 주는 질감이나 냄새 정감을 전자책이 주지 못한다. 내가 사는 동네에는 작은 서점과 헌책방이 얼마전에 생겼다.헌책방이 새로 생겨 기분 좋게 얼른 방문했는데 내 기대와는 다르게 주인의 너무 잇속만 챙기는 앙칼진 말에 그만 정이 뚝 떨어져 두어번 발길을 하다가 지금은 근처에도 가지 않는다. 그리곤 인터넷 서점의 '중고책'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새책도 물론 너무 좋지만 중고책으로 산 책들도 대부분 새책이나 마찬가지다. 중고책이 주는 냄새도 좋고 가격도 저렴하고 그렇게 중고책으로 책장을 많이 채우기도 했다. 워낙에 예전에는 헌책방에 가서 책을 고르는 것을 무척 좋아했는데 점점 사라져 보이지 않으니 그런 재미도 잊었다.인터넷 서점과 전자책의 시대에 작은 지역에서 책방을 운영한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일텐데 너무도 능숙하고 번득이는 아이디어로 지역민이 스스로 하나로 뭉쳐질 수 있는 일들을 많이 하기에 저마다 한번씩 그곳에서 경험하고픈 생각을 갖게 만들었나보다. 책을 판매하게 보다는 '사람'과의 정을 나눈 책방이라 할 수 있다.

 

빅스톤갭에 책방을 낸다는 것은 상식적으로도 실패할 가능성이 더 큰 일이었고 누구나 실패할 것이라 이야기 했다. 하지만 웬디와 잭은 보란듯이 모두의 생각을 뒤엎고 오년여가 넘는 시간동안 멋지게 책방을 운영하고 있고 자신들이 노후에 하고 싶은 '꿈'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헌책방을 운영한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일 것이다. 책에 다 담지 못한 일들이 얼마나 많을까? 고비마다 그들을 믿어주고 함께 하고 픈 책을 좋아하고 지역에 문화 센터와 같은 곳이 생겨 책을 통해 지역민을 한의 공동체로 연결하는 장소로 거듭나기 까지는 그들이 이익보다는 '사람'을 우선으로 하는 순진함이 빅스톤을 다른 곳으로 만들어 놓지 않았을까.지역민들도 자신들이 잠시 앉아 쉴 수 있는 휴식같은 공간이 생겼으니 얼마나 좋았을까? 그러니 글을 읽지 못해도 자신이 좋아하는 종류의 책을 구매하여 다른 곳에 기부를 하는 이도 있고 글을 모르니 배우고 싶어서 오는 이도 있고 그곳에서 때로는 '추억'을 찾는 이도 있고 빅스톤갭의 책방이야 말로 지역민에게 '힐링'의 공간이 되지 않았을까.나도 이런 책방에 가면 하루종일 그곳에서 나오고 싶지 않을 것 같다.아니 내가 주인이라면 더욱 좋겠지만 그곳의 단골이 되지 않을까.시간이 남아서라도 아니면 뜨개질을 하러가도 좋을 곳이고 헌책의 책 냄새를 맡으러 그곳에 가도 좋을 듯 하다.우선은 작은 책방이 상점이 아니라 개인주택이라 더 안정감과 아늑함을 안겨 주는 듯 하고 주인들이 인정이 넘치고 멋진 냥이가 있고 누군가 인생이 담긴 책을 가져 오기 때문에 더 정감이 가는 곳인듯 하다.잘 된다고 다른 곳에 분점을 내기 보다는 자신들만의 색으로 오래도록 작은 책방이 잘 운영되어 지역만과 오래도록 함께 하는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