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알수집가
제바스티안 피체크 지음, 장수미 옮김 / 단숨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독특한 추리소설이다.구성이 독특해서 처음엔 잘못된 책인가 했는데 그게 아니다. 고정관념을 깨버리듯 '첫 장 시작' '서문'은 마지막에 있고 '맺음말 마지막 장 끝'이 처음에 와 있는 앞 과 뒤가 뒤집혀진 소설이라고 할까? 암튼 다른 책과 다르게 구성이 반대로 되어 있다. 그런가 하면 서문에서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초르바흐'는 이 책을 읽지 말라고 경고한다.'왜,읽지 말라는 것인가?' 그런 책은 왠지 더 읽고 싶어지는게 사람 심리인데 그런 심리를 이용했다는 것인가?

 

운디네 신드롬은 중앙 신경계의 희귀한 교란 증상으로, 이 증상을 가진 아이들은 의도적으로 호흡에 집중하지 않으면 질식사하게 된다.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병이었다. 팀의 경우 깨어 있을 때는 그 작은 몸에 충분히 산소를 공급할 만큼은 호흡 활동을 할 수 있었지만, 잠잘 때만은 기계로 호흡을 시켜주어야 한다.

 

책표지부터 괜히 무서움을 불러 올 듯 해서 가리고 싶어진다. 밤에는 더 섬뜩하기도 하여 책표지를 안보려고 했는데 읽는 중에도 '눈알수집가'라고 자꾸 나오니 무서운듯 했는데 그리 무서운 이야기도 아닌데 괜히 제한된 시간이나 범인이 만들어 놓은 트릭 속에서 살인사건과 구출해야만 하는 사람이 남아 있다면 더욱 무서움 속에 스스로 갇히며 읽게 된다. 그런데 다 읽고나니 그렇게 무섭지도 않은데 무서움에 떨었다는 생각이 든다.다 읽고난 후의 안도감에 그런 생각이 든 것일까? 암튼 구성부터 거꾸로 되어 있고 전직 경찰이었다가 지금은 누구보다 최일선에서 사건을 쫒는 기자가 된 '초르바흐',그는 살인사건 현장에 그의 지갑이 떨어져 있다는 이유로 그리고 그 살인사건은 누구에게 발설도 하지 않았는데 바로 달려왔다는 이유로 '용의자'가 된다. 왜 그가 용의자가 되어야만 했을까? 범인이 누구길래 이 불쌍한 전직경찰을 용의선상에 올려 놓은 것일까?

 

"이런 일은 아주 드물게만 일어나요. 누구를 만지면 되는지. 언제 그렇게 되는지 오늘까지도 알아내지 못했어요. 분명한 사실은, 내가 사람을 만지면, 그 사람의 과거를 볼 수 있다는 거예요."

 

초르바흐는 칠년 전,다리 위에서 아이를 안고 떨어지려던 여자의 이마에 총알을 박고 아이만 구출한 사건으로 인해 경찰에서 쫒겨나고 그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정신과도 다니고 가정도 파탄이 나기도 했지만 그는 모든 것을 잃었다고 볼 수 있다. 만약게 그 여인이 아이를 죽이지 않으려고 했다면 둘을 구출해야 했었는데,그 여인은 자신의 아이가 잘못된 후로 아기를 유괴하는 병에 걸렸다. 분명 초르바흐가 회유를 잘했다면 두목숨을 살렸을수도 있었을텐데 그는 그 여인보다 아기를 구출했다.한 명은 포기하고 한 생명한 구한 댓가는 정말 어마어마한 빚이 되어 그의 인생을 송두리째 날려버린 것이다. 그렇게 하여 경찰에서 쫒겨나 기자생활을 하는 그,연쇄살인을 좇게 되고 살인마는 엄마를 죽이고 엄마에게서 아이를 빼앗아 '45시간'을 준 후에 구출하지 않으면 죽은 엄마의 손에 시계가 멈추면 아이도 죽게 만드는 트릭을 만들어 놓았다. 그렇게 그가 알던 여인이 죽고 아이가 어딘가 '45시간'안에 갇히게 된 사건이 일어나게 되고 그는 살인사건 현장에 지갑이 떨어져 있고 용의자로 몰리고 있던 상황에서 맹인 영매자인 여인을 자신만이 아는 공간에서 만나게 된다. 어떻게 된 일일까? 맹인 물리치료사인 알리나는 정말 그녀와 접촉한 사람의 '과거'를 보는 것일까?

 

"무슨 생각 하시는지 알아요.하지만 잘못 아시는 거예요. 신문,라디오, 인터넷 모두 틀린 걸 보도하고 있어요.45시간 7분이었어요."

 

자신의 아들의 생일날에 우연히 연쇄살인사건에 말려들게 되고 그에게 주어진 시간은 '45시간'아니 '45시간 7분'이라는 시간이 주어진다. 시간이 정해지고 연쇄살인이 일어나니 더 긴장감과 '용의자'만 밝혀지고 범인의 윤곽은 하나도 드러나지 않은 상태에서 알리나와 초르바흐의 활동으로 인해 사건의 전말이 서서히 드러나게 된다. 도대체 누가 왜 '초르바흐'이 불쌍한 사람을 궁지로 몰아넣고 있는 것일까? 그가 벗어나지 못하는 트라우마에서 또다시 트라우마 속에 갇히게 만드는 것인지.그 일로 인해 아내 니키와도 헤어지게 되었고 그의 동료들은 그를 정신병자로 보고 있다.하지만 그는 아직 경찰이었던 동물적 감각이 누구보다 날카롭게 살아 있다. 모두가 정신병자라고 손가락질 해도 자신만의 촉을 세우고 점점 범인에게 접근해서 연쇄살인의 열쇠를 풀어나간다.

 

"내가 말할 수 있는 건,눈알 수집가가 계획하길 좋아하며 짐작컨대 직업상으로 제출 기한이 정해진 프로젝트와 관련이  있다는 점이 전부입니다. 그는 확정된 시점까지 일을 마무리하는 데 습관이 들어 있어요."

(범인을 지목하여 알려주는 내용이다. 이에 준하는 인물이 딱 한 명 있다.)

 

소설을 읽으며 '정해진 시간'이란 그리 중요하지 않은데 속임수와 같다. 그런가하면 범인은 늘 가까운 곳에 있으면 너무도 평범한 인물이다. 초르바흐를 비롯해서 현직 경찰들이나 그외 인물들은 '용의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그 중에 한 명 너무도 평범한 아무 문제 없는 사람이 범인이다. 범인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작가의 평범하지 않은 생각이 재밌다. 구성이며 이야기 인물들 배치며 다른 추리소설과 다른 재미를 느끼며 읽을 수 있게 만들어 놓았다. 뫼비우스의 띠처럼 사건이 해결되면서 또 다른 사건으로 연결되어 가듯 마무리를 지었다. 모두가 '용의자'라고 주목하는 사람은 절대 범인이 아니다. 그런 인물로 초르바흐는 충분히 자신의 역량을 모두 발휘를 하며 소멸을 한다.['독일 사이코패스의 제왕. 오싹하고 섬뜩하고 소름끼친다.'] 라고 해서 더 기대하며 읽었는데 그를 기억해야만 할 듯 하다. [넬레 노이하우스]의 '타우누스 시리즈'처럼 이 작가 또한 다른 작품들을 읽을 기회를 더 가져야할 듯 하다. 열대야 때문에 잠 못 이룬다면 이런 책 한 권 들고 읽으면 좋다. 더위도 싹 잠도 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