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시대가 던진 질문의 답을 찾다
권희정 지음 / 꿈결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늘 책을 읽고 있지만 나 또한 내게 질문할 때가 있다. '이 책을 읽음으로 해서 내게 무엇이 도움이 되었지?' '어떤 책을 읽는 것이 더 유익할까?' 늘 책을 놓고 저울질을 한다. 문학 경제 인문 자기계발 여행서 어떤 책을 읽어야 정말 '잘읽었다'라는 말이 나올까 생각해 보지만 좋은 책도 있고 그렇지 못한 책도 분명 있겠지만 어느 책이나 배울점은 있다고 본다. 내가 제일 싫어하는 말이 '읽고 좋았던 책 추천해 주세요.골라주세요' 라는 말이다. 남이 골라주는 책만 읽겠다는 이야기인지,재미 없는 책은 읽지 않겠다는 것인지.그래서 난 절대 식구들이나 지인들에게 내가 읽고 재미있었던 책이라고 하지 않고 골라주지도 않는다. 읽고 싶은 책은 스스로 골라서 읽어보라고 하고 책장앞에 스스로 서게 만든다.

 

독서란 결국 책을 통해서 '다양한 세상보기'라고 생각을 한다. 자신이 보는 눈에 국한된 세상이 아니라 보다 넓고 다양한 세상을 책을 통해서 본다고 생각한다. 과거의 역사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지만 자꾸 읽다보면 그 시대를 이해하게 되고 과거로부터 지금 현재까지 이어져 온 역사의 흐름을 알 수 있고 미래를 설계해 나갈 수 있다. 그렇다고 자신이 좋아하는 한 분야만 고집스럽게 읽는 사람도 있는데 무엇이든 편식을 하면 탈이 난다. 오대 영양소를 골고루 먹어야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듯이 책도 또한 오대 영양소처럼 다양한 분야의 책을 골고루 읽으면 좋겠지만 내가 잘 읽지 않거나 싫어하던 부분인 인문 경제 역사 등은 읽어도 읽어도 자꾸 겉도는 기분이 듣다. 그래도 더이상의 편식을 하지 않기 위하여 지금은 일부러 다양한 방법으로 친해져 보고 읽어 보려고 기회를 만든다. 자주 부딪히다보면 낯설었던 것들이 편하게 다가오는 날들이 있다.

 

이 책에는 총 36권의 책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EBS최고의 교사,선생님께 강의하는 선생님이 쓴 글이라 그런지 내가 읽지 않았거나 힘들다고 돌아보지도 않던 책들이 대부분인데 재밌게 술술 읽어나갈 수 있다. 글을 읽다보면 그에 관한 책을 한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시대가 던진 질문의 답을 찾다] 인생에 정답이 없듯이 정답이라 할 수 없지만 이런 답도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읽다보면 정말 '무엇'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 라는 답을 찾은 것처럼 속이 시원하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나는 왜 이런 리뷰를 쓰지 못할까 라는 생각이 든다. 늘 시간이 쫒기거나 숙제를 해야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더 많은 생각을 펼쳐 보이지 못했고 한정된 틀 속에서 갇혀서 독서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요즘 우리의 화두는 '환경 건강' 이 아닐까.더불어 행복이 더해진다면 좋을 것이다. 문명의 발달에 맞추어 우리의 먹거리 또한 초스피드로 달려 가다가 요즘은 다시 뒷걸음질 치고 있는 것처럼 우린 다시 '슬로푸드'를 찾고 제철의 먹거리를 먹기 위하여 스스로 땅을 일구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비닐하우스에서 인위적으로 재배되어 일찍 나온 것들은 땅에서 자연적으로 수확된 것하고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밥상에 미리 올려지기 위하여 환경파괴를 가져오기도 하고 우리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다.알게 모르게 우리의 '미래'를 도둑 맞고 있다는 이야기,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500년 뒤에서 인류가 살아 있을까?] 정말 500년 뒤에도 지금과 같은 스피드로 달려 가면서 인류가 존재할 수 있을까? 앞으로 점점 과학은 더 빠르게 발달해 갈텐데 그 속에서 인간이 존재할 수 있을까? 조금 섬짓하지 않은가.

 

다이아몬드는 붕괴를 " 상당히 넓은 지역에서 오랜 시간 동안 일어난 인구 규모, 정치 사회 경제 현상의 급격한 감소"로 정의하고 있다.

 

환경파괴, 기후 변화, 이웃 나라와의 적대적  관계, 우방의 감소, 사회 문제에 대하여 구성원들의 위기 대처 능력 저하가 바로 그것이다. 

 

나비효과처럼 지구 반대편에서 나비의 날개짓이 점점 큰 바람으로 변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 것이 지구촌이다. 나 혼자 살아가는 세상이 아니라 '지구촌이 하나' 처럼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두가 함께 노력해서 환경 파괴도 막고 전쟁 지진 쓰나미와 같은 일들이 발생을 하면 모두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시대이다.<문명의 붕괴> 에서는 고대 국가들이 어떻게 붕괴되어갔는지 살피며 그와 같은 일들이 일어나지 않기 위하여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스터 섬과 르완다 사태, 두 사례는 인구 증가와 환경 파괴의 악순환이 사회, 정치적인 문제와 겹합되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구의 증가로 인한 환경파괴가 결국 인간이 살 수 없는 공간으로 만들어 버린다. 나무가 살 수 없는 땅은 인간도 살 수 없다. 자연이 존재해야 인간도 함께 존재하는 것이다. <도둑맞은 미래> <문명의 붕괴> <인구론> <미래의 충격> <작은 것이 아름답다> <히든 커넥션> <털 없는 원숭이> <도덕적 인간과 비 도덕적 사회> <국화와 칼> <대중의 반역> <다중 지능> <이타적 유전자>... 대부분 내가 읽지 않은 책들이지만 자연에 역행해서는 인간도 살아 갈 수 없다는 것을 다시금 실감한다.

 

'책 읽기는 무엇일까?' 지금까지 읽어 왔던 것들을 모두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책과 함께 한 시간들 속에서 분명 달라진 나를 발견하단다. 마야인들이 자신들이 겪었던 일들을 늘 기록으로 남겼더라면 마야문명이 사라졌을까? 이스터섬에서 서로 자신들이 우세하다고 내세우지 않고 미래를 계획하고 상의했다면 어떻게 변했을까. 책을 통하여 질문을 하고 스스로 답을 찾아 나가는 길을 통쾌하고 명쾌하게 제시하며 '생각의 힘'을 '생각의 길'을 보다 넓고 크게 펼쳐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어느 한 곳에 국한되고 편협된 지식이 아니라 다방면으로 길이 열려 있는 독서를 통하여 다양한 세상을 만나는 것이 진정한 책읽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오늘 나의 책읽기는 편식하지 않고 잘하고 있는 것일까.무엇을 어떻게 읽고 있는 것일까.

 

어떻게 대비하느냐에 따라 미래는 '주어지는 것' 이 될 수도, '창조하는 것'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