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친구 기리시마 동아리 그만둔대 - 제22회 스바루 소설 신인상 수상작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31
아사이 료 지음, 이수미 옮김 / 자음과모음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열일곱살의 세상을 그렸다. 그들이 동아리활동을 통한 세상을 이야기 해서'파란 세상'이라 칭해 보았다. 아직 때묻지 않은,그런가하면 학교안에서의 세상과 학교밖의 세상은 다르다는 것을 아직 감지하지 못한 풋풋한 소년 소녀들의 이야기다. 제목에 '기리시마'가 나오지만 이야기 속에서 기리시마는 어디에도 등장을 하지 않는다.거기에 일본은 우리와 교육제도가 달라서인지 동아리 활동이 빠져 나올 수 없이 모두가 이수해야 하는 과정인듯 하다. 우린 동아리 활동에 중요도를 그리 주지 않지만 그들은 기본적으로 동아리활동을 열심히 하고 그 속에서 성과 또한 학교에서 따지는 평가도도 중요한 듯 하다.

 

그와 처음으로 이야기를 나눴다는 사릴에 나는 약간 흥분 상태가 되었다.저쪽 그룹 아이들과는 접촉할 기회도 없었고 그래서도 안 된다고 생각했다.

 

'기리시마'는 배구부의 주장이었다.빛과 같은 존재인데 그가 동아리 활동을 그만둔단다. 그렇다면 누군가 다른 학생이 기리시마가 맡았던 역할을 해야 하고 배구부의 위치도는 바뀔 것이다. 기리시마는 말하자면 '위'와 같은 존재였다. 밑에 있는 '아래'의 아이들이 바라보기엔 정말 높은 곳에 위치하면서도 모범생과 문제아 정도로 급이 다른 친구엿다.그런 친구가 동아리 활동을 그만둔다고 하면서 일파만파 학교내 동아리활동을 하는 친구들에게 퍼지는 '나비효과'가 같은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어 기리시마는 실상 이야기 속에 등장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의 존재는 무척 컸나보다.

 

나는 분한 마음에 에리카에게 사실을 말할 수 없고,그러면서도 카레 말고 하이라이스를 먹어야겠다는 말은 잘도 하고, 하지만 "카오리는 이제 없어. 난 미카야" 라고 말하지 못하고,나는 뭐랄까 좀 더,내면적으로, 이 사람에겐 중심이 있구나.라고 생각하게 할 만한 인간이 되고 싶은 것이다.

 

저자가 19살에 17살 친구들의 이야기를 쓴 소설이다. 우리와는 다른 문화권이라 약간은 조금 읽어나가며 '뭔가'하는 생각도 해 보았지만 읽다보니 그들의 위,아래 그리고 학교에서의 안과 학교 밖의 이야기인 안과 밖의 대립된 이야기가 펼쳐진다. 아이들은 학교를 졸업하면 좀더 넓은 물로 나아가게 된다. 대학을 가든 사회에 나가든 그야말로 '사회인'이 되는데 아직은 학교 안에서 그들만의 파란세상에 갇혀 있다. '미카가 카오리'로 살아야 하는 것처럼 그들은 아직 자신의 정체성을 정확하게 인지 하지 못한 삶을 살고 있다. 미카는 아버지와 살다가 카오리라는 언니와 새 엄마와 한 식구가 되었다.하지만 아버지와 언니 카오리가 대입을 보러 가는 길에 교통사고를 당하고 아무도 살아 남지 못하는 큰 사고를 당하면서 그의 새 엄마는 그녀를 미카가 아닌 자신의 딸 카오리로 기억을 한다. 하지만 미카는 카오리가 아니라 '미카'로 살고 싶고 엄마에게도 그렇게 기억되고 싶다. 하지만 현실은 미카가 아니라 카오리다.자신의 정체성에 그녀는 흔들리고 있다. 열일곱이라는 나이가 그런 나이인듯 하다. 동아리 활동 또한 아직은 정제성을 두기엔 무엇하지만 그들의 관계 속에는 위와 아래가 정해져 있다.

 

우리는 아직 열일곱 살이고, 앞으로 뭐든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고, 희망도 꿈도 모두 갖고 있다고는 하지만, 사실이 아니다. 앞으로 뭐든 손에 넣을 가능성을 품고 있는 손바닥만 있을 뿐, 지금은 그저 텅 비어 있다.

 

열일곱이란 나이는 아직 무언가 똑바로 중심을 세우기엔 아직 이르다. 많이 부족한 나이지만 영화부의 친구는 영화를 찍어 상을 받기도 하고 교장선생님은 그들을 '하얀 도화지'라고 표현을 한다. 하얀 도화지에 무언가 아직 채워지지 않았고 마음껏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준비가 된 나이라고 본다. 하지만 정말 그들은 하얀 도화지일까? 아래의 아이들은 위의 아이들은 가득 채워져 있다고 본다. 그런데 가득 채워져 있다고 할 수 있는 '기리시마'는 왜 동아리활동을 그만 둔 것일까? 모두에게 그는 완벽한 친구였는데 그가 무너지듯 동아리를 그만두고 그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교장 선생님이 늘 말하는 '하얀 도화지'에 대하여 생각을 해보며 자신을 다시 보게 된다.

 

괜찮아, 넌 다시 시작할 수 있어.라고 기리시마에게 말해주자. 너는 나와 달리, 지금까지 진심을 다해 맞서 왔잖아. 그런 사소한 일로 포기하면 아까워, 라고 말해주자.

 

열일곱이란 나이는 금방 상처를 받고 살얼음 같아 작은 충격에도 산산이 부서질 수 있는 나이다. 그런 친구에게 '칭찬'과 '격려'를 해주려는 친구, 기리시마가 어떤 이유로 동아리를 그만 두었는지 그저 팀원들과 불화가 약간 있었던 것 같은데 그런 일로 그만두게 되었다면 '아래'의 아이들은 어떨까? 친구의 스치듯 하는 한마디에도 크게 흔들리는 나이인 열일곱 그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열일곱이란 나이는 부모나 선생님보다 친구의 작은 응원이 더 힘이 나는 나이기도 하다. 분명 친구들의 응원에 기리시마도 친구들도 모두 열심히 맡은바 동아리 활동을 열심히 할 것이리고 열일곱을 지나 다른 시간으로 그렇게 힘차게 걸어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