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처 쇼크 - 위대한 석학 25인이 말하는 사회, 예술, 권력, 테크놀로지의 현재와 미래 베스트 오브 엣지 시리즈 2
존 브록만 엮음, 강주헌 옮김 / 와이즈베리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엣지재단> "지식의 최전선에 닿는 방법이 있다. 세상에서 가장 세련된 정교한 지식을 가진 사람들을 한 방에 몰아 넣은 다음,스스로에게 묻곤 했던 질문들을 서로 주고받게 하는 것이다. 그 방이 바로 엣지다."

오늘날 세상을 움직이는 석학들이 한데 모여 자유롭게 학문적 성과와 견해를 나누고 지적 탐색을 벌이는 비공식 모임인 엣지는 1996년 존 브록만에 의해 출범했다. 현대 과학이 이룬 지식의 첨단에 다가서기 위해, 과학과 인문의 단절로 상징되는 '두 문화' 에 반기를 들고 새로운 지식과 사고방식, 즉'제3의 문화' 를 추구한다. 

 

엣지는 사람들이다. 엣지는 오늘날의 지적,기술적,과학적 경관의 핵심에 있는 과학자, 철학자,예술가,기술자,사업가들로 이루어져 있다.

 

엣지는 모임이다. 엣지에서 개회하는 특별 강연회와 연례 만찬회를 통해 '제3의 문화'에 속한 과학계의 지식인들과 선구자들이 한데 모인다.엣지 행사에 모인 이들은 우리 세계의 문화를 다시 쓴다...

 

이 책 전에 <마음의 과학> 또한 같은 맥락의 책이라 볼 수 있는데 이 책은 '문화' 에 대하여 이 시대 최고의 석학 25인이 말하는 사회,예술, 권력,테크놀로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요즘은 정말 자고 일어나면 세상이 변하여 있는 것처럼 '변화'를 따라간다는 것이 숨가쁘게 느껴질 때가 있다. 새로운 것을 구매하고 뒤돌아 서면 업그레이드 된 또 다른 제품이 나와 있어 제품과 제품 사이의 변화 시간이 너무 짧다는 것을 느낀다. 이렇게 세상이 빠르게 변할 줄 알았을까. 컴퓨터가 우리네 삶을 지배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것 같은데 지금은 컴퓨터가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컴퓨터와 인터넷이 급속도로 우리네 삶을 지배해 버렸다. 스마트폰 역시나 역사나 길지 않은데 지금은 모두들 스마트폰의 노예처럼 손에는 하나씩 자신의 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스마트폰의 답에 따라 움직인다.

 

인간은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부분과 문화로 결정되는 부분 사이에서 살아간다. 인간의 자유는 바로 거기에서 잉태된다. 예술 작품, 예컨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제인 오스틴의 소설,빌헬름 리하르트 바그너와 베토벤의 악보, 렘브란트와 가쓰시카 호쿠사이의 그림 등은 지금까지 완성된 가장 자유롭고 가장 인간적인 행위들이다. 이런 창작물들은 궁극적인 자유의 표현이다.

 

요즘 사람들은 전화번호를 열개도 못 외우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스마트폰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눌러서 상대에게 전화를 걸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잃어 버리거나 가지고 있지 않으면 모든 것이 올스톱 되는 것처럼 안절부절 하는 이들이 대부분이다.컴퓨터와 인터넷 스마트폰에 의해 우리의 뇌는 점점 그 사용능력을 잃어 가고 있는 것 같고 뇌가 해야할 일은 '인터넷'이 모두 하고 있다. 인터넷에 질문하고 답을 찾아 그대로 향하는 이들이 많다. 인터넷이 인생의 정답처럼 되었다. 스마트폰 하나에 모든 것이 담겨지듯 하나만 있으면 모든 생활을 즐길 수 있다. 오래전 모든 것을 가졌다고 하는 왕들도 생각지도 못하고 누리지도 못한 호사를 우리가 지금 누리고 있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현재에 만족하느냐면 그것도 아니다.변화해 가는 문화에 빠르게 발맞춰 따라 가느라 힘겹다.

 

오래전 다큐에서 마야문명에 대하여 본 기억이 있다. '홍수'로 망했다고 했는데 그들이 '기록' 이라는 것을 했다면 수백년전부터 이어져 온 기록을 보면서 홍수에 대비해 망하지 않을 수도 있었지 않았나 하는 이야기를 읽다보니 과연 그럴까? 미래 예측을 할 수 있다면 우리네 삶이 컴퓨터와 인터넷의 지배를 받을 것이라 몇 년 전에 감히 생각이나 했을까? 요즘은 거기에 SNS까지 더불어 해야만 하는 세상이 되고 있다. 그런가 하면 SNS는 정치에도 이용이 되고 있는가 하면 상업적 개인적인 면에서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기도 하며 SNS를 통해 지구촌은 더 가깝게 느껴지고 있다.

 

인터넷이 우리네 삶을 지배했다면 '비만'도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될 수 있을까? 제일 흥미롭게 읽었던 이야기인듯 하다. 요즘은 누구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니 비만도 패션 유행처럼 친구에 의해 친구에게 번져갈 수 있다는 이야기를 읽으며 요즘 우리나라에서 '아웃도어'시장이 사그라드는 것이 아니라 들불처럼 더 번져다고 있다고 하는 이야기를 종종 마주한다. 외국에서도 이해되지 않는 이야기라고 하여 우리나라에 와보고나서야 이해를 한다는데 요즘은 정말 아웃도어매장도 여기저기 많지만 '산악회'나 '산행'이 유행이다. 주말이나 평이라나 산에 가보면 울긋불긋 갖가지 아웃도어매장을 방불케한다. 이 또한 네트워크를 통한 확산으로 난 본다. 스마트폰을 통하여 서로의 모습을 공유하면서 더 뭉치기도 하고 움직이는 것 같다.그러니 비만이 아니라 '다이어트'가 내 나이에는 더 확산이 되고 있는 것 같다.건강이 중요한 시기이니 친구들의 모습을 SNS를 통해 보면서 더 건강에 불을 지피기 위하여 아웃도어와 산행에 집착하게 되기도 한다.'비만,행복,선행'등은 사회 연결망으로 확산됨이 입증되었다고 한다.

 

완전히 다른 매커니즘으로, 행동의 확산이 아니라 규범의 확산을 가정해볼 수 있도 있다. 예컨대 내가 주변을 둘러보며 사람들의 체형이 점점 뚱뚱해지는 것을 보았다고 해보자. 이런 변화를 보면서 무난한 체형에 대한 나의 인식이 의식적으로나 잠재의식으로 서서히 바뀐다. 체중이 늘어난 주변 사람들 때문에 뚱뚱한 체형과 마른 체형의 의미가 재설정되고, 그 의미가 사람들 사이에 확산되어 새로운 규범이 된다.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전달되는 일종의 밈이다. 물론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밈은 아니다.

 

개인홈페이지에서 블로그로 그리고 SNS로 이어지며 이렇게 급속도로 발전해 나갈 것이란 생각을 못 했다.이렇게 변한 것이 오래전의 일도 아니고 나 또한 그 길 위에서 변화의 물결에 휩쓸리며 홈페이지에서 블로그로 그리고 SNS까지 모두 사용하고 있지만 트위터나 페이스북에 매달려 하지는 않는다. 아직은 블로그에서 글 보내는 수준이지만 하나에서 정지한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 연동되어 하나처럼 연결되어 있다. '인터넷을 비롯한 현대 시스템들, 즉 테크놀로지가 인간의 행동,즉 인간이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과 실생활에서 생각하는 방법을 어떻게 바꿔놓았을까?' 현재 우리네 삶을 보면 하루 아니 단 한 시간이라도 테크놀로지의 힘이 없으면 살아 갈 수 없는 세상이 되었다. 그 속에서 나 또한 글을 쓰고 사진을 올리고 날 표현하고 있지만 백프로 날 공개하지 않는다고 해도 점점 대담하게 표현하기도 하고 부정적이기 보다는 '긍정적'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 자신을 본다. 그런가하면 어떤 이들은 댓글과 조회수를 올리기 위하여 '낚시밥' 제목과 글을 올리는 경우도 있다. 어떻게보면 '진실을 왜곡'하기가 너무 쉽기도 한 것이 요즘 세상이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중요하고 중요하지 않은 것 역시나 내가 취사선택을 해야 한다. 그만큼 쓰레기정보도 넘쳐나는 세상이고 전문가보다 아마츄어가 더 전문가 같은 세상이기도 하다. <컬쳐 쇼크> 모든 부분을 다 이해하긴 어렵지만 이 시대의 문화 전반에 대한 석학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싶다면 한번 펼쳐 현시대를 읽어보는 기회를 가져보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