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가 기른 다람쥐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29
이상권 지음 / 자음과모음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책은 처음인데 '생태소설가'란다. 그래서 그런가 이 책에는 네 편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모두가 우리의 식탁에 오르는 동물과 인간에 대한 이야기다. 지난번 '채식의 배신'을 읽으니 채식주의자라고 하지만 우리가 먹는 채식은 완전한 채식이 아닌 채소는 동물의 뼈를 먹고 자란다. 그렇다면 정말 채식과 육식의 선을 갈라 놓을 수는 없는 걸까? 아니 우리 식탁에 오르는 고기류, 삼겹살이나 닭고기 소고기등 우리가 흔히 접하는 육식의 주가 되는 동물들은 우리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몇 해 전 전국을 휩쓸고간 '구제역' 정말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전국이 시끌시끌 구제역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농가와 농부들이 많았고 그로 인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을 하는 것도 나 또한 좀더 시간을 두고 지켜 보았던 적이 있었다. 구제역 때문에 돼지와 소들은 산채로 혹은 죽어서 산지옥과 같은 땅속에 묻혀야 했다. 그것이 묻힌 상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동물들이 썩고 나서 또 문제가 많이 제기 되기도 했다. 썩은 물이 우리가 먹는 상수원으로 흘러 들기도 하고 많은 문제를 발생시켜 한동안 구제역으로 정말 혼돈과 같은 시간을 보냈었다. 그런가 하면 조류독감은 또 어떤가? 돼지와 소들이 죽어 나가고 나니 조류독감으로 인해 식당들은 또 문을 닫아야 했고 조류 근처에는 가지 말라는 은근한 서로의 압력이 있었던 때가 있었다. 여기 '구제역과 조류독감' 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우리나라 국민이 제일 많이 소비하는 고기가 아마도 '삼겹살'이 아닐까? 삼겹살이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몇 인분을 먹어 치우는 승재,그가 군대에 가게 되고 휴가를 나와 부모님은 그런 승재의 식성을 생각하여 더운데 맛있다는 삼겹살집을 수소문 하여 가게 된다. 열심히 삼겹살을 먹던 그가 밖으로 나가 돌아오지 않는다. 혹시나 여자친구와 오랜 전화통화를 하고 있는 것인가 하고 나간 여동생 태희는 오빠의 이상한 행동을 목격하게 된다.지금까지 먹었던 삼겹살을 모두 토해 냈던것,왜 그랬을까? 승재는 군대에 가서 구제역과 맞물려 구제역에 걸린 소와 돼지를 파묻는 일에 동원이 되고 그 때 겪은 일로 인해 그다음부터 삼겹살을 먹지 못한다.아니 먹어도 다 게워낸다. 왜 일까? 지옥과 같은 그들의 죽음을 보았기도 하지만 죽음의 돼지구덩이에 자신이 거느린 병사가 떨어지게 되고 그곳에 들어가 병사를 구출해 낸 순간부터 삼겹살은 그에겐 죽음앞에서 몸부림치던 돼지로 보이는 것이다.그냥 고기가 아닌 돼지의 생을 본 후로 그것은 돼지 그 자체로 보이는 것이다.

 

시인과 닭님들,왜 닭이 아니고 닭님들일까? 구제역과 조류독감이 지나고 난 대한민국은 4대강사업이란 몸살에 또 한차례 휩쓸려 채소값도 금값이 되던 때가 있었다. 그때 저자(실명으로 나온다) 마당에 풀을 없애는 방법으로 토종닭을 키우게 되는데 조류독감이 전국을 휩쓸고 있는 것이다. 주변의 곱지 않은 시선,특히나 옥회장의 정말 눈뜨고는 못 봐줄 짖에 그만 토종닭을 잘 아는 시인에게 보내게 되고 닭은 남한강변에서 튼튼하게 자라는데 그곳은 4대강 개발로 인해 시끄러운 곳이다. 인간의 이기심이 빚어 놓은 인해 앞에 자연은 몸살을 앓고 그런 몸살에도 토종닭들은 건강하게 자연속에서 '반란'이라도 일으키듯 기하급수적으로 개체가 늘어난다. 인간은 자연을 해하고 닭들은 그에 맞써 식구를 늘려가고,그러니 닭을 키우는 시인은 조류독감에도 인간의 인해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닭을 보고 '닭님'이라 한다. 닭도 신토불였던 것일까?

 

고양이가 기른 다람쥐, 고양이가 야생에서 사는 다람쥐를 어떻게 기른단 말일까? '세상에 이런일이'에는 정말 별별 우리의 상식을 뒤엎는 일들이 많다. 그렇다면 고양이가 다람쥐를 못 키울까? 어머니는 어느 날 어머니 앞을 왔다갔다 하는 다람쥐를 발견하게 된다. 산에 있어야 할 다람쥐가 인간이 사는 집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런 다람쥐가 불쌍하여 먹이를 준 어머니.다람쥐는 어느 날 새끼를 낳고 인간 곁에서 살아가고 있고 인간이 주는 먹이를 먹으며 크고 있다.어머니는 모처럼 자식들 집에 갔다가 며칠 묵게 되고 그때 사단이 나고 말았다. 어머니를 기다리던 다람쥐 엄마가 죽고 새끼도 몇 마리 죽고 겨우 살아 남은 새끼를 어쩌나 했는데 마침 새끼를 낳은 고양이가 다람쥐 새끼까지 키우는 것이다. 자신의 새끼도 아닌데 품어 준다니,이런 일이 세상에 있을까? 자연에는 우리가 정말 알 수 없는 신비한 일도 신기한 일도 많다. 모정이란 것은 사람이나 동물이나 마찬가지인듯 하다. 인간은 가여움에 다람쥐를 품었지만 그 동정이 다람쥐를 죽게 만들었다. 그런가하면 동물은 그런 새끼를 품어 다시 성장하게 만든다. 모순인듯 하면서도 무언가 알 수 없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된 자연의 고리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인간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나무도 풀도 꽃도 그리고 동물도 함께 살아간다. 모두가 함께 살아가는 곳인데 인간은 유독 욕심을 부리며 이기심을 드러내며 산다. 구제역 조류독감 4대강개발사업,그 속에서 자신의 삶의 터전을 잃고 죽어가는 많은 동물들을 생각해 보라.동물이 죽어 없어지면 그 피해는 다시 인간에게로 온다. 토종닭들이 개체를 늘리며 살아가는 자연처럼 우리도 그렇게 뿌리를 내리고 튼튼하게 살아갈 수 있는 자연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데 자연은 점점 오염되고 인간에 의해 변해가고 있다. 자연이 살아나야 인간도 살아갈 수 있다. 물이 건강해야 우리가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듯이 말이다. 그런데 우린 한 치 앞도 내다보지 못하듯 개발이다 그외 것들로 자신의 이익만 내세우며 마구잡이로 자연파괴와 동물을 도마위에 올려 놓고 내리친다. 그것은 곧 우리가 살아갈 터전을 황폐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을 소설은 깨닫게 한다. 육식이나 채식을 떠나서 자연이 건강해야 인간도 건강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을 한번더 인지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