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울물 소리
황석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흐르지 않는 것이 있을까? 물도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인생도 흐르고 역사도 흐르고 이야기도 흐르고 그렇게 굽이쳐 흐르며 더 큰 강을 이르고 바다를 흘러간다. 19세기 급변하는 시대에 민초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청과 일이 위와 아래로 노리는가 하면 쇄국정치를 하려는 자와 그 반대 세력의 부딫힘 속에 민초들 또한 새로운 믿음에 잉걸불처럼 하나 둘 물들어갔던 천지도가 나라를 흔들고 백성들의 삶을 흔들어 놓던 그 시대에 서자로 태어나 제 운명대로 살지 못하고 바람에 떠도는 나그네처럼 떠돌이 삶을 우연처럼 선택하게 된 이신, 이신통이라는 전기수와 그를 보는 순간 자신의 운명이 되어버린 양반과 기생 첩 사이에서 태어난 연옥이란 여인의 기구한 삶과 함께 그시대의 역사가 함께 씨실과 날실로 엮여 전기수의 이야기처럼 그시대를 들려주고 있다.

 

19세기 근대문물이 밀려 들며 뒤숭숭한 시절에 동학과 함게 민심 또한 뒤숭숭한 때,양반과 기생 첩의 소생인 연옥은 그녀의 어머니의 삶이 그렇듯 그녀 또한 어머니의 삶을 닮아 가듯 그녀 또한 첩으로 가지만 한번 보고 마음에 담은 신통을 잊지 못하기도 하거니와 자신이 살아 온 삶과 다른 삶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삼년의 결혼생활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와 어머니와 함께 강경에서 객주의 삶을 이어간다. 하지만 그녀는 늘 신통에게 향하고 있고 어머니 또한 그녀의 맘을 알기에 신통을 기다린다. 그들의 운명은 빗겨 가기도 했지만 어느 순간 바람처럼 만나기도 하며 연을 이어가던 중 그가 '사람이 하늘이다'라는 천지도에 빠진 것을 알게 된다.첩의 소생이며 신통은 서얼이라 자신의 뜻 한번 펼쳐보지 못하고 평생을 살아야 하는 운명들이니 오죽했을까. 있어도 없는 듯 없어도 있는 듯 바람처럼 살아가야 하는 운명들,그런 운명들에게 '사람이 하늘이다'라는 천지도는 들불처럼 일어나지만 아직 조선이라는 나라가 버티고 있으니 사람이 곧 하늘이 못 되는 흉흉한 세상일 수밖에.

 

이신통,그는 서얼이지만 편애없이 어려서부터 글공부를 시켜 준 아버지 덕분에 모든 면에 뛰어나지만 그의 뜻을 펼치고 살 세상이 아니다. 그 또한 첩의 소생이니 과거는 물론이고 남보다 뛰어나다고 자신의 이름으로 살 수 없는 세상이지만 과거가 무엇인지 한양이 어떠한지 구경하러 올라갔다가 천지도인 서씨와 만나게 되면서 그의 운명은 바뀌게 된다.천지도에 몸 담게 되기도 하면서 그가 그동안 익혀 온 글공부가 이곳 한양에서 전기수로 각광을 받게 되면서 그럭저럭 생활을 연명할 수 있어 전기수의 삶을 함께 펼치며 천지도에 점점 깊게 빠져 든다. 하지만 팍팍한 세상이다. 없는 자는 더욱 멸시 받고 자신의 뜻을 펼치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지만 백성이 없다면 나라도 없는 것이다. 그런 속에서 민초들의 삶은 질긴 잡초처럼 이어져 나가고 흘러가고 신통의 삶은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바람처럼 유랑하는 삶으로 이어져 연옥과 이어진다는 것은...

 

연옥과 신의 교차된 삶 속에서도 세월은 흘러 가고 역사는 흘러간다. 연옥은 잠깐의 신통과의 인연으로 이내 부부의 연을 맺지만 그렇다고 부부라고도 내세울수도 없는 삶이자만 앉으나 서나 신통의 걱정으로 그위 뒤를 밟아가며 그의 행적을 좇지만 늘 한걸음 뒤다. 그렇게 신통을 삶을 좇으며 보여주는 조선의 역사와 민초들의 삶은 고난하다. 천지도를 믿는다는 이유하나로 이름도 없이 스러져가는 사람들,팍팍한 민초들의 삶은 전기수의 이야기가 되고 풍얼패의 풍얼속에 한 판 굿처럼 난장이 되어 흘러간다. 신통이 혼돈의 역사속의 서얼의 삶을 제대로 보여 주었다면 연옥은 팍팍하지만 굿세게 가정을 지키고 이끌어 가는 강인한 조선 여인네의 삶을 잘 보여준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가장이 없는 여인네들만으로 구성된 연옥이네 삶이지만 그들은 지치지 않고 꿋꿋하게 여울을 돌아 큰 강으로 이어져간다. 신통의 삶으로 보여지는 조선의 역사라 한다면 연옥의 삶으로 나타나는 여인네들의 질곡의 삶이 질긴 민초들의 여울물과 같은 삶이 아니었을까.

 

비록 신이 연옥이 가꾸고 누리는 여생을 보지 못하고 객사를 한 것은 정말 딱한 삶이지만 그런 민초들의 삶이 모이고 모여 현재의 우리가 있게 해주는 삶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역사는 한사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무수히 많은 이름 없는 별들의 삶이 점철되어 이루어진 것처럼 그들의 삶은 여울물을 돌아 큰 강을 이루어주었다. 신통이 풀어내는 이야기꾼의 이야기와 풍물패의 한 판은 그런 이름 없는 별들에게 바치는 진혼곡처럼 깊은 여향을 남기며 연옥에게서 노성으로 이어지는 삶을 말해주고 있다. 한 권에 담기 보다는 대하소설로 풀어냈다면 어떠했을까? 하는 아쉬움을 가지며 읽었다. 한 때는 이런 민초들의 삶을 담은 대하소설을 읽는 다는 것은 참으로 뿌듯함을 가져다 주기도 했지만 세월이 변하다보니 짧아지고 간추려진다는 것이 씁쓸하기도 하다. 큰 강이 근원을 이루는 물의 시작은 한 방울에서 시작되고 그 근원은 크고 깊은 것이 아니라 작은 옹달샘에서 시작하듯 나라를 이루는 근간 또한 백성들 개개인의 삶이 모여 이루어 큰 강을 이루었다는 것을 '여울물 소리'에서 신과 연옥의 삶에서 비롯된 많은 이들의 얼키고 설킨 삶에서 또 한번 그 여운을 느낀다.

 

'물이 말라 애를 태우던 가뭄이 지나면 어느새 골짜기와 바위틈에 숨었던 작은 물길이 모여들고,천둥 번개가 치면서 비가 오고, 강물은 다시 흐르겠지요. 백성들이 저렇게 버젖이 살아 있는데 어찌 죽은 이들의 노고가 잊히겠습니까? 세상은 반드시 변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