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근, 트로이 전쟁을 승리로 이끌다 - 채소, 인류 최대의 스캔들
리베카 룹 지음, 박유진 옮김 / 시그마북스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고 요즘은 건강을 위하여 일부러 채식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가는 가운데 건강에 정말 좋은 컬러플 채소인 어느 것이 좋다고 하면 한때는 품귀현상을 빚기도 한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채소는 우리 밥상에서 그 중요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런가 하면 육식을 고집하는 사람들도 많고 외식문화가 점차 발달하면서 쉽게 고기를 접할 수 있어 성인병의 노출이 더욱 심해지고 있기도 하고 채소보다는 육식을 더 즐기는 식문화가 자리하고 있지 않은가 하는 생각을 해보기도 한다.
내가 늘 먹는 채소가 어떤 과거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하여 내 밥상에 올라 내 몸속으로 들어가는지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들은 드물것이다. 세세한 것까지 정확하게 따지기 보다는 유기농인지 친환경인지는 어느 정도 선을 그으며 찾기도 하는 부분은 있지만 채소의 과거를 캔다고 하면 어떤 역사가 숨겨져 있을까 하고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있을까? 한때 만화 '뽀빠이'가 먹으면 힘이 나는 채소인 시금치에 철분이 많이 들어 있다고 하여 철분섭취에 제일 좋은 채소로 알려졌던 시금치의 철분함량이 잘못된 사실이 밝혀지기까지 백년이라는 세월이 걸렸다는 것을 다른 글을 통해 읽은 적이 있다. 점 하나를 잘못 찍어 비롯된 사실이 백년동안 우리를 세뇌시킨 시금치의 역사에서도 보듯이 다른 채소들 또한 분명 나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 채소가 다름아닌 늘 식탁에서 접할 수 있는 오이,샐러리,고추,양파,양배추,당근,콩,옥수수,가지,상추,완두콩,감자,호박,시금치,토마토 그리고 요즘서 좀더 흔하게 접하게 된 비트,아스파라거스,멜론,래디시,순무 등이다.
다른 어떤 채소보다도 우리 한민족에겐 '고추'는 없어서는 안될 채소이기도 하다. 김치에 고추가 들어가지 않았다면 고추장이 없었다면 우리 역사는 어떻게 변했을까? 그런가하면 당근,양파,양배추,콩 등은 늘 접해야 하는 기본적인 채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그것들에 숨은 역사를 캐는것 또한 재밌다. 나 또한 베란다의 협소한 곳이지만 화분에 고추며 토마토 파프리카 등을 심어 먹기도 하는데 수확의 기쁨 보다는 키우는 재미에 더 키우기도 하는데 간혹 못난것이나만 하나 둘 열린 것을 수확하여 음식의 재료로 쓸 때는 기분이 정말 남다르다. 하지만 위의 채소들이 그렇게 모두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으며 정원에 심어진 것은 아니라는 사실, 생김새가 이상하다 하여 '최음제'로 쓰이기도 하고 먹고 난 후에 냄새가 난다고 괄시를 받는가 하면 조리후에 색상의 변화로 인해 냉대를 받기도 하여 지금의 모습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시간이 필요했던 것들도 있다는 것도 있는가 하면 '야생 생태에서 고추 종자는 보통 새들이 퍼뜨린다. 그런 까닭에 야생 고추는 대체로 열매가 화려한 색을 띠며 의기양양하게 곧추 서 있다. 모든 식물에 바른 자세로 붙어 있는 그 열매는 새들의 관심을 더 잘 끌기 위해 잎들 밖으로 도발적이게 솟아올라 있다. 고추 종자는 조류의 소화관을 무사히 통과한 후 새드르이 배설물로 널리 흩어진다.' 그런 고추가 인간만은 결코 막아내지 못하고 있으니.우린 매운 것을 먹으면 더 강한 것을 원한다. 고추에 캡사이신이 왜 들어 있을까? 자신을 지키기 위한 진화가 인간에게 더욱 도움이 되고 있다고 볼 수 있을까.고추의 캡사이신은 음식이 뿐만이 아니라 그외 다용도로 우리에게 유용하게 쓰이고 있음을 알려 주기도 한다.
'아스파라거스는 비아그라로서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울혈성 심부번에서 신장 결석에 이르기까지 온갖 질병의 특효약으로도 권장되었다.' 하지만 아스파라거스는 의학적으로는 효과가 거의 없다고 한다.하지만 그 생김새로 인해 최음제로 쓰이기도 하고 '퐁파두르 부인'은 그만의 아스파라거스 요리가 있었는가 보다. '퐁파두르식 아스파라거스' 라는 레시피까지 있는 것을 보면 대단한 아스파라거스 애호가가 아니었을까. 비록 최음제로 알고 먹었다고는 하지만 말이다. 그런가하면 피타고라스는 빈(콩)을 멀리 했다고 한다. 지중해 혈통 사람들에게는 '잠두 중독증'이라는 것이 있다는데 빈을 멀리 하며 자신의 운명을 고치려 했던 피타고라스는 끝내 '콩밭을 밟고 지나가야 하는 유일한 탈출 방법을 거부하는 바람에 붙잡혀 죽임'을 당했다고 하니 그의 인생에서 콩이란 땔래야 땔 수 없었던 채소는 아니었을까. 하지만 콩은 육식으로 인한 현대병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게는 육식을 대신할 수 있는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할 수 있는 영양 최고의 채소라고 할 수 있고 여성들에게는 특히나 좋은 채소이기도 한데 콩의 역사 또한 재밌게 읽어 가다보면 밥상에 오르는 '콩 한 알'이라도 정성껏 먹어야 한다는 것.
양배추는 다른 채소들보다는 그 쓰임도 많고 섬유질도 풍부하여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누구나 다 좀더 챙겨 먹어야 하는 채소이기도 하다.그런 양배추가 한때는 '괴혈병' 특효약으로 배에 싣고 다니기도 하고 ' 중국의 만리장성을 지은 노역자들은 쌀과 양배추 포도주 절임을 먹었다. 수 세기 후 칭기즈 칸의 군대는 소금을 가미한 휴대용 양배추를 동유럽 침략 때 가지고 다녔다.' 괴혈병 특효약으로 혹은 노역자들이 군대식량으로 자리한 양배추에서 파생된 브로컬리나 콜리플라워등은 지금도 건강 채소의 으뜸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채소의 과거와 현재를 오르내리다보면 과거에는 그리 관심을 받지 못하던 채소가 지금은 건강 채소로 우리 식탁에 깊게 자리를 잡고 정원에서 자라고 있는 경우도 있다. 지금은 채소의 생김새를 보고 먹기 보다는 채소가 가지고 있는 영양소와 우리 몸에 유용한지 어느 정도 필요한 것인지가 더 중요한 듯 하다.머리말에서 '엘리자베스 폰 아르님 백작 부인은 1890년대에 독일의 자기 정원을 부지런히 가꾸며 이렇게 썼다. '우아하기는커녕 사람을 덥게 만다는 일이다.하지만 복된 일이다. 하와가 삽을 가지고 있었고 그 쓰임새를 알았더라면 사과의 비극은 일어나지 않았으리라.' 채소가 아무리 영양이 풍부하다고 해도 그 가치를 모르고 쓰임을 모른다면 절대 가치가 없는 채소로 군락하여 도퇴할 수도 있다. 그 재밌는 과거사와 함께 하며 좀더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먹는 균형을 이루고 채소를 먹는 사람으로만 남을 것이 아니라 앞으로는 '채소를 키우는 사람'으르도 거듭나고 싶다는 생각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