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전설은 창비아동문고 268
한윤섭 지음, 홍정선 그림 / 창비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다른 책으로 <봉주르,뚜르>를 만났고 그 다음으로 만난 책이 읽으면 가슴 따뜻해지는 <해리엇>과 역사동화 <서찰을 전하는 아이>였다. 모두가 다 다른 이야기인데 읽을 때마다 새롭고 어린이 책이라기 보다는 '어른을 위한' 동화나 책처럼 더 찾아서 읽게 되었던 책들인데 이번 <우리 동네 전설은>은  책소개를 간략하게 보다가 낯익은 '동네 이름'을 발견했다.고향 시골로 가는 길에 있는 동네,분명 그 동네가 맞는데 내가 아는 동네 이름이 동화속에 주인이 되어 나온다니 더 반갑고 친근하고 얼른 읽어봐야 할 것 같은 궁금증이 폭발하여 얼른 읽게 되었다. '득산리' 고향 동네와 가까운 곳이라 그런지 그가 구사해 낸 '동네 전설'이 내가 어릴적 겪은 동네 전설과 비슷하면서도 재밌고 따듯하여 더 깊이 빠져 들며 읽게 되었다.

 

그렇다 나도 어릴적 학교를 가려면 동네를 몇 개는 거쳐서 가고 산도 들도 저수지도 지나서 가야 학교에 당도했다.그러니 가며가며 친구도 많이 만나고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많이 듣기도 했지만 등하교 길에는 친구들과 동네마다 전설을 들어가며 얼마나 재밌게 다녔던지. 친구네 집에 가려면 '헐떡고개'를 지나야만 했다. 지금은 그저 얕은 동산도 아니고 언덕길과 같았는데 그땐 이름이 '헐떡고개' 그 고개를 넘다보면 작은 무덤이 하나 있었다. '애기무덤' 그곳에도 무서운 이야기가 전해져 우린 그곳을 지나려면 헐떡고개라 힘이 든는데 마구 달려가야만 했다.괜히 애기무덤에서 귀신이라도 나오는것 아닌가 하고는 그곳을 뛰어가다가 한참 만에 뒤돌아 보고는 모두가 깔깔 거리고 웃던 생각도 난다.

 

그런가하면 오고가는 길에는 과수나무를 심은 집도 많았고 작은 과수원도 있었고 논과 밭,그야말로 시골이니 철마나 밭과 나무에는 먹거리가 넘쳐났다. 한번은 이쁘장한 옆집 여자아이가 함께 가다가 사과나무에 작은 사과가 달려 있는 것을 보고는 땄다. 올망졸망 매달려 있는 것이 신기했던가 보다. 난 멀리서 지켜 보고 있었는데 그 친구 주인아줌마에게 붙잡혀 집안으로 끌려 들어가 한참을 혼나고 나왔다. 엉엉 울며 나오는 친구,집에 가서 엄마에게 이르지 말라는 신신당부.아니 왜 빨갛게 익은 사과도 아니고 먹지도 못하는 풋사과를 따서 들켰는지.철마다 시골아이들은 윗대부터 전해내려오는 이야기처럼 여름엔 참외나 수박밭에 들어가 서리를 하고 감이 익는 계절에는 감서리를 밤이 익으면 밤서리를 과수원에 사과가 빨갛게 익으면 사과서리를 하기도 했다.그것이 꼭 먹으려고 해서가 아니라 장난으로 재미삼아 했는데 동네분들은 알면서도 눈감아 주기도 하고 어떤 주인들은 도둑을 잡기 위하여 망을 서다가 도둑을 잡아 집을 찾아 오기도 했다. 그런 일들이 심심하면 한번씩 있었으니 그런 일들이 학교에 알려져도 담임선생님들은 웃으면서 훈계조치하고는 친구들과 한번 웃고 지나갔다. 시골에서 학교를 다녀서 그런 추억들이 있기에 이 책의 내용은 정말 더 내 어린시절로 돌아가는,내 추억의 동굴에 등불 하나를 밝히는 것처럼 미소를 지으며 읽게 되었다.

 

득산리 한적한 시골 마을의 교회에 할아버지를 만나러 갔다가 보게 된 복사꽃이 핀 풍경을 보고 엄마와 아빠는 '무릉도원'이라고 한다. 그 정확한 뜻은 모르겠지만 분명 아름다운 풍경으로 각인된 곳인데 할아버지가 건강이 안좋으셔서 아빠가 그곳의 목사를 맡게 되어 시골 학교로 전학을 가데 된 나, 그럼 학원은 어떻하고 내려갈까.자신만 빼고 엄마와 아빠는 시골에 가는 일이 무척 즐거운가보다.걱정거리가 하나도 없는 듯이 이야기를 한다. 그곳에 이사를 가고 전학을 가 삼일정도는 엄마가 데리러 왔지만 그 다음날은 선생님이 친구들과 함께 집에 가라고 한다. 득산리에는 동네에 내려오는 전설이 있다면서 친구들은 운동장에서 그의 발목을 꼭 붙잡는 이야기를 해준다. '혼자 가볼테면 가봐.'라고 엄포를 놓는것 같기도 하고 도시 아이의 기를 꺾는 듯한 말이기도 한데 도통 발이 땅에서 떨어지질 않아 좋아하는 축구인데 함께 끼지도 못하고 한귀퉁이에서 동네 아이들을 기다려 함께 집으로 가게 된다.

 

하교길에 만나는 '허름한 방앗간' 그 방앗간에는 할머니와 할아버지와 사시는데 할머니는 어린아이의 간을 빼 먹어야 낫는 병에 걸렸단다. 그래서 며느리와 손녀딸도 그들을 떠나고 방앗간은 점점 세월을 견디지 못하고 풍파에 무너지고 시들해져 간다. 그곳을 지나는 바람마져 으시시 하듯 그들은 그곳을 지날 때 마구마구 달려간다.누군가 나와서 그들의 뒷덜미를 잡아 다닐것만 같다. 그런가 하면 다른 길에는 돼지 할아버지가 살고 있는데 이 할아버지 또한 '전설'을 가지고 있다. 밤나무를 돌보며 사시는 할아버지,하지만 아이들은 가을만 되면 이곳 밤농장의 철조망을 넘어 밤을 주으러 들어간다.이곳 밤이 제일 맛있다며. 그리고 애기무덤이 있는 곳의 이야기며 동네 전설에 대하여 이야기를 들어보니 도저히 혼자서는 빠져나갈 길이 없다.그렇게 하여 동네 아이들과 함께 어울리게 되는 준영은 그날부터 아이들과 함께 하교길을 함께 한다. 등교길은 괜찮지만 하교 길에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길,정말 여기저기 귀신이 나타나고 살아 있는 사람들이지만 귀신처럼 나타나 사람을 헤할까.

 

돼지할아버지가 있는 밤나무 농장에 친구들이 밤을 주우러 들어가면 준영은 철조망 바깥에서 망을 보고 있다가 친구들이 나타나면 함께 가방을 들고 달아나 멀리 떨어진 곳에서 친구들이 나누어 주는 생밤을 입으로 껍질을 까고는 뜹뜨름한 맛이 남아 있는 생밤을 오도독 오도독 씹어 먹는다. 도시에서 먹던 밤맛하고는 완전히 다른,엄마가 삶아서 까주는 밤맛이 아닌 정말 맛있는 밤맛을 이곳 득산라에 오고나서 준영은 친구들에게 선물처럼 받은 것이다. 시골에 오니 학원을 다니는 것보다 더 재밌는 일들이 곳곳에 많다는 것을 친구들과 어울리며 하나 둘 배워가면서 점점 시골아이로 거듭나는 준영, 그들이 무서워 하는 돼지할어버지네 집으로 아빠가 어느날 떡을 가기고 갔지만 그는 무서워 차 안에서 그 풍경만 멀리서 보지만 다음날 친구들과 밤을 주우러 갔다가 준영은 발이 땅에 얼어 붙은 듯 딱 달라 붙어 도망을 할 수 없게 되고 할아버지와 이야기를 하게 되고 할어버지는 다음날 새벽에 밤을 주우러 오라고 한다.그리곤 커다란 밤나무 밑에서 할아버지와 앉아서 밤이 조용한 새벽을 가르며 떨어지는 소리를 듣게 되고 돼지할아버지가 무서운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는데 갑자기 방앗간 할머니가 돌아가셨다는 방송이 나오고 아빠를 따라 간 장례식장에서 방앗간 할아버지와 돼지할아버지가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보고는 그들이 무서운 전설속의 할아버지들이 아닌 인자하고 외롭고 쓸쓸한 분들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토록 무섭게만 보였던 돼지할아버지가 사시는 곳이 방앗간 할머니의 수목장 장소가 되고 멋진 풍경을 곳이란 것을 알게 된다.

 

득산리 어린 꼬마들은 분명 서울에서 내려 온 깍쟁이 친구를 어떻게 자신들의 친구로 끌어 들일까 생각했을 것이다. 그것을 '동네 전설' 속으로 함께 하면서 추억도 쌓고 친구도 만들고 서로 스스럼없이 벽을 무너뜨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하면서 점점 시골 아이들 속으로 동화 되어가는 준영,그도 이젠 어엿한 '득산리 소년'으로 성장을 한다. 그리고 그 다음해는 그도 그 속임수에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단단한 소년으로 성장을 한다는 참 따뜻한 이야기다. 단단하고 차돌처럼 짱짱한 시골 소년들이 도시 깍쟁이 소년을 단번에 '전설'로 그들의 친구로 만들어 버리는 정말 읽으며 웃음을 참을 수 없는 말투들이 '애늙이'들처럼 재밌다. 학원을 많이 다녔지만 어딘지 모르게 온실속의 화초처럼 연약할 것만 같은 준영이 햇빛에 그을리며 사계절을 동네 소년들과 들로 산으로 뛰어 다니며 시커멓게 그을리고 단단해져 그도 신작로에 구르는 '짱돌'처럼 단단해져 이제 누가봐도 득산리 소년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정도로 마을 지리에 대하여서도 마을 사람들에 대해서도 모두 다 꾀고 있는 소년,그 소년이 다시 간직하게 되는 전설은 또 다시 구전 되고 구전 되고 전해 내려가 어느 소년의 입을 통해 나오게 될 것이다.

 

준영의 시골생활 적응기를 읽다보니 내 어릴적 추억의 동굴에 갇혀 있던 이야기들에 정말 등불 하나 밝혀 놓고 들추어 보듯 즐거운 시간이었고 행복한 시간 이었다. 추억속의 동무들을 만나 하교길에 장난을 치며 하교 하던 추억이며 친구네 집에서 놀며 놀며 가던 일들 정말 어제일처럼 새롭게 파노라마처럼 스쳐지나가는 추억이 밝게 빛을 발하는 시간이 되었다. 우리도 곧장 집으로 가는 일은 절대 없었다. 가는 길에 친구네 집 마당에서 땅따먹기를 하고 말뚝박기를 하닥 목이 마르면 우물에 담가 놓은 수박도 깨서 먹기도 하고 밭에서 무를 뽑아 먹기로 하고 고구마를 쪄 먹기도 하고 열무김치를 넣고 밥을 비벼 먹기도 하고는 해질녁이 되어서야 집에 돌아가는 일은 다반사였다. 하교길은 정말 '보물창고'와 같은 놀거리 먹거리 모든 것이 풍성한 곳이었다. 그것을 도시 아이들은 잘 모르겠지만 시골에서 자란 아이들은 비슷한 추억을 하나 둘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 시간들이 준영을 통하여 내 어린시절로 다시 돌아간듯 그와 함께 동화된 시간이 참 따뜻하니 좋았다. 이야기 속의 두 할아버지들이 의지가 된 것이며 분명 준영에게는 득산리가 무서운 전설의 동네가 아닌 엄마 아빠가 말씀하신 '무릉도원'은 아닐까? 그 뜻은 잘 모르지만 말이다. 그 시절 그 친구들이 그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