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바꾸는 책 읽기 - 세상 모든 책을 삶의 재료로 쓰는 법
정혜윤 지음 / 민음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왜 읽을까? 책을 읽어서 무엇에 쓰려고? 책을 읽어서 바뀐 것이 있다면?... 무엇을 바라고 책을 읽지는 않는것 같다. 결과를 바라고 읽기도 하겠지만 나의 독서를 봐도 그렇지만 책이 좋아 책을 읽을 뿐이지 그저 좋은데 이런저런 이유가 필요할까? 위의 질문들은 '밥은 왜 먹는가?' 라는 질문과 같은 의미일것 같다.책 읽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끝없이 책만 보이는 듯 하다. 한 권을 읽고나면 더 많은 책이 보이고 더 많이 읽어야 할 책의 목록이 작성된다. 책 속에서 발견하는 책과 그와 연관된 책들이 줄줄이 뒤로 줄을 서고 기다리니 독서란 평생을 해도 모자란것 같다.

 

나 또한 처음 시작은 일년에 백권을 목표 한다는 것이 무척 '대단'한 것인줄 알았는데 읽다보니 그리 어려운 문제도 아니다. 모두가 할 수 있는데 안하고 있을 뿐이란 것을 알았다.그렇게 시작된 독서에서 손을 내려 놓는 다는 것은 글쎄 밥은 먹고 반찬은 먹지 않는 밋밋함이 아닐까 한다. 삶이 무료하게 변할 듯 하다. 독서를 함으로 얻어지는 것과 변화한 것들이 정말 많다. 눈으로 보이는 것은 우선 우리집 거실이 온통 책으로 쌓여간다는 것,이젠 더이상 쌓을 수 없는 정도가 되었어도 늘 책을 탐하고 책을 읽고 책과 함께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가하면 처음 시작은 내가 좋아하는 부분만 택해서 읽었지만 이젠 여기저기 관심이 없던 분야에도 눈을 돌려서 읽게 된다는,편식을 어느 정도 줄였다는 것이다. 그런가하면 좀더 세상을 보는 눈이 넓어지고 삶의 자세가 긍정적으로 바뀐 듯 하다.이만하면 좋은 결과라고 생각을 한다. 너무 많은 것들이 변화를 했지만 나의 삶의 자세가 바뀌었다는 것이 우선적으로 큰 득일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읽은 모든 책을 기억하거나 가슴에 와 닿는 부분들을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읽는 것으로 만족하던가 어렴풋이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흡족한지.

 

하지만 독서광이며 라디오 PD이며 저자인 그녀의 독서의 세계는 독특하면서 자신이 읽는 책을 언제 어디서나 꺼내어도 막힘없이 줄줄이 나오는,적재적소에 책과 내용을 조화를 잘하는가 하면 정말 '가지치기'를 정말 잘한다. 그만큼 독서의 양이 풍부하고 많은 것을 기억의 창고에 저장해 두었다는 것일 터이다. 그녀의 책으로는 <침대와 책> <세계가 두번 진행되길 원하다면>이라는 두 권 모두 책에 대한 이야기다. <침대와 책>이 나오고 그녀가 '책 읽기'에선 단연 돋보이는 존재가 되었을 것이다. 이런 책읽기도 있구나 하며 '대단한 걸' 이라고 생각하며 읽었다. 그리고 두번째 보게 된 책은 그녀가 읽은 책 중에서 '고전'에 관한 것만 모아 놓은 책이다. 신간이나 베스트셀러만 좇아 갈 것이 아니라 오래전 읽었다거나 익히 알고 있다고 그냥 넘겨 버리기 쉬운 고전,고전을 성인이 되어 다시 읽어보거나 정독해 보면 무언가 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 나 또한 한참 책 읽기에 빠져 있다가 무언가 알맹이가 빠진듯 할 때 '고전'을 한 권씩 읽어주면 예전에 느끼지 못했던 무언가 새로운 것을 느끼게 된다. 그녀의 책 이야기는 언제 어느 책이 어떤 내용이 나올지 모른다.

 

<삶을 바꾸는 책 읽기>에는 그녀가 강의나 독서에 관한 책을 내면서 많이 받게 되는 질문들에 대한 답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책과 삶에서 느꼈던 이야기들이나 혹은 책의 내용을 빌어 적절하게 설명해준다. 이 책이 한달 2주 동안 열심히 쓴 책이라니,너무 열심히 써서 굴비를 발라 먹지 못할 정도로 덜덜 손이 떨렸다고 한다. 그런데 정말 8가지 질문에 대한 답인듯 하면서도 내용은 방대하다. 빌려 온 이야기들이 담겨서인지 다른 책에 비하여 이 책이 좀더 독자들에게 편하게 다가온 듯 하다. 8가지 질문들은 나 또한 가질 수 있는 질문이기도 하고 책을 좋아하지 않거나 잘 읽지 않는 사람들이라면 익히 할 수 있는 질문들이다.

1.먹고 살기도 바쁜데 언제 책을 읽나요?

2.머리가 나쁜지 책을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책 읽는 능력이 없는데 어떡하나요?

3.지금은 책을 읽을 때가 아니에요. 읽고 싶어도 앞낲이 불안해서 읽을 수가 없어요. 삶이 불안한데도 책을 읽어야 하나요?

4.사는 게 너무 힘들어요. 위로에 대한 책을 봐도 그때뿐이고요. 책이 정말 위로가 되나요?......

그녀가 내린 답이 궁금하면 책을 펼쳐 보면 알 수 있다. 책을 읽는 때는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나 또한 아무때나 읽는다. 부엌에서 반찬을 하다가도 끓는 시간에 잠깐 서서 읽기도 하고 차를 기다리면서도 누군가를 기다리면서도 잠깐씩 꺼내어 보기 위하여 가방에 꼭 책을 넣고 다닌다. 그렇다고 읽는 것을 모두 기억하려고는 하지 않는다. 내가 힘들 때는 나보다 더 힘들거나 책을 만나다 보면 타인의 이야기에서 내 모습을 보면서 위로를 받는 것 같다. 그렇게 내겐 친구가 되는 책을 그만 읽어야지 하고 생각한 적은 없고 언제 읽나 하고 생각하며 읽는 적도 없다. 그냥 읽게 되고 하나를 놓으면 자연스럽게 다른 책으로 내 모든 것을 비우고 다시 채우려 이동한다.

 

먹고 살기도 바쁜데 언제 책을 읽나요? 에 대하여 '한충자 할머니'의 이야기를 한다. 글씨를 몰라 할아버지가 군대에서 보내준 편지에 답장을 하나도 못했던 할머니는 늦은 나이에 글씨를 배우게 되고 좀더 배우기 위하여 '詩' 창작반에 들어가 시까지 섭렵하게 된다. '그녀는 저에게 ' 너는 하루 중에 자신에게 의미가 있는 시간을 얼마나 보내고 있느냐?' 란 질문을 다시 던져보게 했습니다. 한 권의 책을 읽는 것은, 그것도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내 손으로 직접 골라서 읽는 것은,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스스로 '굳이' 해 보는 경험입니다. 바로 자기 자신을 키워 보는 겸험입니다. 나를 키우는 시간은 내가 한 인간으로 생생하게 살아 있다고 느낄 만한 시간입니다.' 정말 공감가는 이야기다. 나 또한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무언가 그날은 '의미 없는 하루'를 보낸듯 하다고 늘 옆지기에게 말한다. 그만큼 책과 나는 이제 하나가 되어 가고 있다고 생각을 한다. 그렇다고 책을 읽으며 많은 것을 읽어내려고 하지 않는다. 욕심이 과하면 더 겉도는 듯 하고 점점 나이를 먹어가서 일까 책 속에 점점 '삶'을 보게 되는데 그녀 또한 한 줄로 말해준다. '읽어내는 능력이 아니라 무엇을 읽건 거기에서 삶을 바라보는 능력입니다.' 책을 읽든 영화를 보든 드라마를 보든 그 속에 '삶'을 읽어낸다는 것이다. 삶을 보면서 모가 났던 돌이 점점 둥근 돌로 바뀌듯 내 삶도 그렇게 변하고 있다.

 

그녀가 들려주는 많은 책들 중에는 읽은 책도 읽고 읽어 보고 싶은 책도 있고 같은 책을 읽었지만 내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행간'을 그녀로 인해 발견하기도 한다. 똑같은 책을 읽었다고 똑같이 느끼는 것은 아니다. 그녀가 들려주는 많은 책과 삶에 대한 이야기, 그것이 여러가지 재료가 들어가 잘 반죽되고 숙성되어 한 권의 책이 된 듯 하다. 책을 한 권 읽었을 때와 백 권을 읽었을 때의 '나'는 분명 무언가가 다르다. 말과 이야기가 달라지기도 하고 자신감을 얻기도 한다. 자신 안에 존재하는 자신이 알지 못했던 능력을 발견하게 되기도 하고 자신안에만 움츠리고 있던 삶이 좀더 많은 이들의 삶을 대하게 되면서 타인의 삶도 보고 받아 들이게 된다.그녀만큼은 아니지만 책 읽기는 멈추지 않고 늘 달팽이걸음이라도 끝없이 진행되어야 함을 한번 더 느낀다. 그리고 책 속에 등장하는 몇 권의 책을 올해 꼭 챙겨 보아야겠다는 생각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