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되기 위해 살지 마라 - 세계은행 총재 김용의 마음 습관
백지연 지음 / 알마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흔히 '꿈'이 무엇이다.혹은 무엇이 되고 싶다,무엇이 될것인가를 묻곤 한다. 결과물에 취중한 나머지 아이들에게도 그런 삶을 혹은 강요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문득 생각이 들 때가 있다. 한참 진로를 결정해야 할 중고등학생들은 대학을 선택하고 과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무엇이 되기 위해' 그 과를 가야한다거나 그렇게 되기 위하여 공부를 한다. 하지만 요즘은 '가슴이 시키는 일'을 하라고 한다. 무엇이 되기 위한 삶이 아니라 자신이 하고 싶었던 일을 하며 사는 삶을 살기를 원한다. 그런데 정말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며 '무엇이 되기 위해'가 아니라 '무엇을 하며' 사는 삶인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며 산다는 것은 참 힘든 일인듯 하다.

 

아시아의 작은 나라인 우리나라,하지만 세계 경영인을 두 명이나 배출한 나라다. 유엔 사무총장인 '반기문'을 비롯하여 세계은행 총재에 오른 '김용' 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듯 하다. 그가 세계은행 총재가 되기 전에도 두번이나 백지연은 인터뷰어가 되어 그를 인터뷰 했고 그가 세계은행 총재가 되었다는 소식과 함께 긴박하게 그와 또 한번의 인터뷰를 가졌다. 그의 삶이 청소년들에게 전해주는 것은 무엇일까? 좋은 집안에서 자라서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 인물이라는 것보다 그가 무엇이 되기 위해 살려고 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며 살 것인가를 하다보니 지금의 위치에 오르고 그 전에 아시아인 최초로 다트머스 대학 총장의 자리에까지도 올랐다는 이야기다. 정말 어떻게 살아야 할까?

 

아직은 확실한 꿈을 정하기에 힘든 청소년기, 꿈을 정했다고 해도 그 길이 내 길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언제 어떻게 또 변할 수 있을지 아님 다른 변수에 의하여 꿈이 변할지 모르기에 아직은 미지수이지만 꿈을 빨리 이루기 보다는 꿈을 향해 나아가는 길, 그 길의 삶에 대하여 논하는 듯 하여 지금의 입장에서는 열심히 공부하는 수밖에 없음을 느낀다. 그가 인턴을 마치기도 전에 다른 철학이나 그외 공부를 하기 위하여 인턴생활을 접겠다고 아버지께 말씀 드렸을 때 아버지는 인턴을 마치고 다른 것을 해도 늦지 않다고 말씀 하신다. 분명 아버지는 인생 선배이시기 때문에 사회생활을 하며 느꼈던 것을 고스란히 아들에게 전해주는 말이었을 것이다. 젊은 패기로 앞에 보이는 길만 선택하려 했지만 좀더 멀리 내다볼 수 있는 혜안을 보여준 아버지의 말을 들었기 때문에 그의 인생 행로는 더욱 탄탄하게 걸어갈 수 있었지 않았을까. 물론 충고도 받아 들이는 사람 나름이다 자신에게 충고를 달갑게 받아 들이면 정말 득이 될 수 있는데 '충고따윈 필요없어 내 인생은 나의 것' 이라며 패기로 몰아 부치다 보면 난관에 봉착할 때가 있다.그런 길을 잘 헤쳐나갈 수 있게 아버지는 인생의 답을 주신 것이다.

 

오늘날의 그가 되기 위해서는 아버지 어머니의 힘도 컸다고 보면서 그의 가정을 들여다 보았다. 치과의사였던 아버지와 철학을 공부한 어머니,그중에서도 이황의 학문에 깊은 적을 두고 있었던 어머니의 영향이 그에게 크게 미치지 않았을까. 그리고 누구보다 자신과 뜻을 함께 했던 동문 '폴 파머'와의 뜻 깊은 일들이 그를 더욱 큰 인물로 만들지 않았을까. 그가 PIH에서 동료들과 함께 했던 '로빈후드식 행동'들이 다트머스 대학 총장시절에도 우려와는 다르게 학생들과 융합하여 마이너스를 플러스로 이끌고 점점 어려움에 봉착하여 갈길이 먼 세계은행에도 뭔가 새로운 길을 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한국인이면서 세계은행의 총재가 된 그를 보면 '한국'이라는 우물에 갖혀 있기 보다는 세계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는 글로벌리더쉽을 가르치기도 하고 나를 생각하며 살기 보다는 더 많은 문제들과 함께 하며 살아야 한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나는 한번도 내가 어떤 자리에 오르거나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에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늘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관심을 두었습니다.'...'미국에는 이런 속담이 있는데,원래 니체가 한 말입니다. '죽을 만큼의 역경은 사람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유치원에서 고등학교 사이에 교사가 가르쳐야 할 것, 학생이 배워야 할 것은 과학이나 수학의 문제 풀이 기술이 아닙니다. 정말 가르치고 배워야 할 것은 '마음의 습관' 입니다. 물고기를 가져다주지 말고, 그물질을 가르쳐야 합니다.'  물가에 말을 끌고 가도 물을 먹는 것은 말의 뜻이고 말 자신이다. 억지로 물을 먹일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의 교육이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것들이 혹은 물고기를 가져다 주고 있는 것은 아닌가,부모나 혹은 선생님이 가져다 주는 물고기만 받아 먹던 아이들이 물고기 잡는 방법을 몰라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낙오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무엇보다 정말 가슴에 와 닿은 말은 그의 인생 전반을 놓고 볼 때, 다트머스 대학 총장이 되기 위하여 세계은행 총재가 되기 위하여 노력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무엇을 하며 살까? 어떻게 살아갈까 하고는 자신의 소신껏 살아오다 보다 우리가 성공했다고 할 수 있는 지금의 위치에 자연스럽게 그가 오게 되었다는 것. 그 모든 것들은 물론 거져 얻어진 것들이 아닌 그가 로빈후드식 행동이라는 말을 들으면서까지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진실을 밀고 나가는 용기도 있었고 자신이 믿는 것에는 불의와 타협하기 보다는 한사람이라도 더 결핵과 에이즈에서 구해내기 위하여 선의와 가난과 타협하였기에 오늘의 그가 있는 듯 하다. 꿈이 보이지 않을 때는 지금 자신이 제일 잘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 또한 바른 길인듯 하다. 한 발 한 발 최선을 다하여 나아가다 보면 안개에 휩싸인 자신의 길을 마주하게 되기도 하고 누구보다 잘 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을 발견하게 될 수도 있는듯 하다. 무엇이 되어 빨리 하산하기 보다는 한 발 한 발 주위의 나무를 살피며 하는 산행을 하듯 어떻게 산을 오를 것인가, 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에 대한 마음 습관을 배워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