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 무엇이 가치를 결정하는가
마이클 샌델 지음, 안기순 옮김, 김선욱 감수 / 와이즈베리 / 2012년 4월
평점 :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그렇다면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우린 황금만능주의에 살고 있으니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 있을까 의문이 들 정도로 돈이면 무엇이든 다 되는 사건을 만나 '뭐 저런 경우가 다 있어..' 하면서 낯을 찡그리기도 한다.그런가 하면 돈으로 정말 훈훈한 나눔을 가져 돈의 변신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돈'이란 있으면 좋고 없으면 부족한만큼을 채우기 위하여 얼마나 또 땀을 뻘뻘 흘리는지.그렇다고 인생역전을 할 수 있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고는 우린 늘 부족하다고 느낀다.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에서 오는 행복을 너무 쉽게 잊거나 느끼지 못하는 그저 돈으로 가질 수 있는 행복에 적응해 버린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든다.
마이클 샌델 교수의 <정의라 무엇인가>를 구매해 놓고 실은 읽지를 못했다. 하지만 EBS에서 하던 강의는 몇 번 보았는데 강의의 내용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자유로움 속에서 학생들과 자유롭게 토론하는 그 분위기가 더 좋았다고 할 수 있다. 언제 한번 읽어는 봐야겠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정의' 때문이었을까 그의 책들이 몇 권 더 나온 듯 한데 왜 내겐 어렵게만 느껴졌는지,아니 자주 접하지 않는 분야라 그저 바라보기만 했는데 막상 이 책을 읽어보니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돈'이란 있으면 실용적이기는 하지만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또 그 가치가 달라지는 것이 돈이 아닌가 한다. 정말 돈의 활용을 제대로 하여 사회에서 모두가 인정하는 그런 사람이 되는가 하면 돈의 가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그야말로 돈을 물쓰듯 막 사용한 사람들은 그 위력에 바닥을 경험하는 사람들도 있다. 돈을 사용하는데는 '도덕' 이 따라야 한다는 그런 내용으로 읽었다.돈의 양면성이라고 할까.
그는 먼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중에서 '새치기'에 대하여 말한다. 남과 똑같은 줄에 서 있다가 돈을 더 내고 지름길을 이용한다든가 입장을 한다든가 그렇다면 그 '새치기'로 하여 벌어 들이는 돈은 받는 입장에서는 좀더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거나 다른 뜻으로 사용할 수 있겠지만 함께 줄을 섰던 사람들의 입장에서 보면 어떨까? 도덕의 문제라는 것이다. 도덕이 결여된 시장만능주의, 돈이면 무엇이든 다 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데 입장을 바꾸어 놓고 보면 또 다른 면을 볼 수 있는데 어느 편이 맞다고 생각을 해야 하나. 정말 황희정승의 말처럼 이쪽의 이야기를 들으면 이쪽이 맞고 저쪽의 이야기를 들으면 저쪽의 이야기가 맞는듯 하지만 도덕이 결여된 돈으로 살 수 있는 것들은 '선착순 이라는 줄서기 윤리가 '돈을 낸 만큼 획득한다' 는 시장 윤리로 대체되고 있다'
새치기와 인센티브, 물론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그것으로 인해 파생되는 나쁜 면인 뒷면도 생각해 봐야 한 다는 것. 성적을 올리기 위하여 성적이 좋은 학생에게 인센티브를 준다던가 비만한 사람들에게 살을 빼면 인센티브를 준다든지 담배를 피는 사람들에게 금연을 하면 그만큼의 인센티브를 주는 이런 사례들은 '도덕적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양면성을 이야기 한다. 잠시 잠깐 인센티브를 받기 위하여 살을 빼고 담배를 끊고 술을 끊고 성적을 올리고 잠깐의 효과를 볼 수는 있겠지만 멀리 내다보면 '혼란' 을 가져온다는 말에 공감한다. 돈을 바라고 한다면 그것이 오래갈 수는 없다. 자신의 의지가 필요한 것이지.인센티브에서 '벌금과 요금'에 대한 이야기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벌금은 도덕적인 문제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것이 '요금'으로 변질될 수도 있다는 것,돈을 많이 가진 부자들에겐 말이다. 돈을 많이 가진 사람들에게는 정말 돈으로 안되는 것이 없을 정도로 의료서비스며 공황이용이며 그외 벌금문제며 도덕이 결여된 속에서 돈의 가치가 하락한 문제들을 짚어본다.
돈이란 정말 두얼굴을 가진 듯 하다.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지니 말이다. 돈을 사용하는데는 '도덕'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말처럼 들린다. 새치기나 인센티브 편에서는 '도덕' 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돈으로 살 수 있는 것들' 이었다면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이 있다. '삶이나 죽음'은 돈으로 사서는 안되는데 돈으로 거래가 되고 있다. 돈이 필요해서 자신의 신체 일부인 장기를 판다든가 생명보험사에서는 '죽음'을 담보로 보험을 판매한다. 그로인해 개인의 동의없이 회사가 사원의 생명을 담보로 보험을 들었다면, 보험금은 누구에게 지급이 되어야 할까. 그의 이야기 속을 들여다보면 돈으로 살 수 있는 것들을 일부 돈을 가진 자들이 도덕이 결여된 돈의 위력을 과시하기 보다는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돈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인 듯 하다. 행복은 돈으로 살 수도 있겠지만 돈으로 살 수 없을 때 더 많은 행복을 누릴 수 있고 느낄 수 있다는 것.
진정 살아가면서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에는 무엇이 있을까? 셀 수도 없이 많을 것이다. 부모와 자식도 돈으로 살 수 없고 서로간의 사랑과 행복 또한 돈으로 살 수 없다. 친구간에 우정이나 인맥 또한 돈으로 살 수 없다. 인맥을 돈으로 살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진정한 인맥이 아닐 것이다. 흔히 한사람의 인생을 평가할 때 그사람이 돈을 어떻게 사용하였느냐에 따라 그사람의 값어치도 올라갈 수 있고 내려갈 수 있다. 똑같은 돈이지만 돈의 가치가 다를 때, 그사람에 대한 신뢰나 믿음 또한 올라간다. 새치기를 하거나 암표상을 통하여 표를 구매하여 콘서트에 들어갈 수도 있겠지만 똑같이 졸을 서서 대기하다가 들어가는 콘서트는 더 많은, 돈으로 살 수 없는 추억을 안겨 줄 것이다. 그리고 거기에서 오는 행복은 더 클 것이다. 지름길을 통해 들어가 콘서트를 보거나 줄서서 대기하여 들어가 콘서트를 보거나 콘서트를 보는 것은 똑같겠지만 그 의미는 다르다는 것이다. 가치가 틀리다는.
오월,어린이날과 어버이날이 다가오지만 기념이나 그외 행사에서 우린 현금을 받는 것을 더 좋아한다. 하지만 상품권 또한 현금을 대신하여 많이 통용되고 있는데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다는,나 또한 현금과 상품권을 많이 사용하고 또 좋아하는데 읽다보니 머리가 복잡해진다. 아무튼 돈이란 사용하는데 도덕적인 문제가 결여되거나 도덕적으로 혼란을 가져오지 않게 믿을 수 있게 사용해야 한다는,그래야 모두가 행복할 수 있다는 그런 면을 본 듯 하다.분명 시장만능주의에 살고 있으니 돈이 많으면 행복할 수도 있겠지만 부자가 모두 행복한 것은 아니다.그렇다고 돈이 없다고 가지지 못한 사람이 모두 불행한 것은 아니다. 행복지수는 부유한 나라가 우선순위는 아니다. 해제에 쓰인 말처럼 '시장이 인간 삶의 모든 면을 지배하게 된 현실을 분석하면서 시장이 결코 중립적인 장치가 아니라 재화의 특성을 변질시키는 힘을 가진 것임을 분석해 보이고 있다' 시장이 돈의 특성을 변질시킨다고 그에 발맞춰 가는 시대가 되기 보다는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진짜 가치 있는 길인지 생각해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