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세 번째 아이 - 제12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수상작 ㅣ 보름달문고 48
이은용 지음, 이고은 그림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대한민국에서 가장 강한 사람이 누구일까? 며칠전에 읽은 <나는 다른 대한민국에서 살고 싶다>에서도 나왔지만 대한민국에서 제일 강한 사람은 바로 '엄마'이다. 엄마에 의해 강한 '승자'로 만들어지는 아이들,하지만 요즘은 그런 강한 엄마에 대항하여 자신의 꿈의 날개를 펴보지도 못하고 접는 안타까운 생명들 또한 가끔 우리의 가슴을 울리기도 한다. 나 또한 사춘기 두 딸을 키우고 있기에 누구보다 그런 시기를 거쳤고 딸들과 함께 몸부림의 세월을 거쳐왔고 지금도 그 긴 터널을 건너고 있다. 난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에 가는 것을 제일 싫어하지만 내가 아는 '치맛바람'을 휘날리는 엄마들은 주위에서도 많이 볼 수 있고 지금도 손에 꼽으라면 꼽을 수 있을 정도로 알고 있기도 하고 그렇다고 그들의 자녀들이 모두 잘되었다고,일명 일류대에 들어갔다고 볼 수는 없음을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처한 교육현실이 엄마가 나서지 않으면 낙오자로 아이의 성공을 위해서는 '알파맘' 이 되어 발로 뛰어야만이 하다는 공식과 같은 교육열이 있다.
'열세번째 아이' 13이란 숫자는 아이의 사춘기가 시작되는 나이로 읽었다. 요즘의 아이들은 사춘기를 초등학교 때부터 시작을 하니 고학년부터 힘들게 한다. 그런가하면 4학년 성적이 평생을 좌우하듯 학원들이 선전을 하고 있으니 남이 하는 것을 따라가지 않으면 뒤쳐질것만 같아 나 또한 시류에 편승을 해야지 살아 남을 듯한 불안감에 따라가기 바쁘기도 하지만 아이들 또한 부대끼며 불안하고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음은 개인의 일만은 아닐 것이다. 점점 아이들은 엄마가 만드는 '로봇'처럼 기계화가 되어가고 감정을 잃어가 급기야 부모를 상해하는 패륜을 저지르기도 하는 엄청난 짓을 저지르고도 자신의 죄를 느끼지 못하는 불쌍한 아이들이 있다. 비단 개인의 죄라고 인정해야 하나 아니면 사회적인 책임도 있다고 봐야하나.
'새로운 것이라면 뭐든 주고 싶은 게 엄마 마음이야.'
대한민국 엄마라면 누구나 그럴 것이다. 자기 자식에게는 무얼 해줘도 아깝지 않을 것이다.아니 자식을 위해서라면 못할 것이 없는 정말 강인한 사람들이 바로 엄마들이다. 그런 엄마가 여기 또 있다. 기계처럼 아니 찍어내는 로봇처럼 완벽한 아이를 원하여 '맞춤형 아이'를 선택하는 그녀, 자신의 아버지가 로봇에 관한 일을 했지만 승자가 아니면 이름을 알릴 수가 없다. 그녀는 아버지의 일을 물려받듯 하여 로봇에 관한 일을 한다. 하기에 자신의 아이는 누구보다 완벽함을 원했던 그녀의 아이는 바로 '열세번째 아이'인 맞춤형 아이였다. 그렇다면 아버지는 누구일까? DNA조작으로 인해 모든것을 우월한 인자만 조합하여 만들어낸 아이,그런 아이는 모든 부분에서는 뛰어나겠지만 감정은 메말라 버렸다. 아니 감정을 가지고 태어나긴 한 것일까 의문이 든다.그런 시우의 친구나 함께 하는 것들은 모두가 '로봇'이다. 칩만 빼버리면 생명이 사라져 버리는 로봇,가지고 놀다가 맘에 들지 않으면 칩을 빼버리고 수거장에 그냥 버리면 그만이다. 학교에서조차 성적순으로,아니 개인평가로 진로가 결정나니 자신조차 감정조절이며 그외 많은 부분을 남보다 월등하기 위하여 조절을 잘 해야 한다.
첫번째 맞춤아인 김선박사는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겨우 이십이 넘은 나이에. 부모들은 그런 아이로 만드고자 맞춤형아이를 만들어 그들을 지키는 그림자와 같은 '로봇'들을 늘 따라 다니게 한다. 그러나 그 로봇들은 단순형에서 점점 감정형으로 바뀌고 있어 그야말로 로봇이 인간화가 되어 그들은 자신들도 인간처럼 생명을 가지고 싶고 그렇게 추억을 되새김질 하며 살고 싶다.자신들이 로봇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다. 그런 로봇들이 점점 반란을 준비하고 있는가 하면 맞춤형아이들 또한 자신의 근본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게 되고 잘나간다고 생각했던 김선마져 자살을 하게 되고 시우 또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하여 의문을 갖게 되기도 하면서 엄마가 자신을 감시하라고 만든 로봇인 레오가 점점 인간화 되어가는 것에 대하여 대립한다. 인간은 로봇화 로봇은 점점 인간화 되어간다면 그 사회는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 것인가?
'부모가 원하는 대로 아이를 만드는 세상,열세번째 아이'
부모가 원하는 대로 만들었다고 그 아이에게 감정이 없을까? 아이는 하나의 인격체이다. 감정을 가지고 자신 스스로 생각하고 꿈도 가지고 있다. 아이의 감정까지 부모가 통제할 수는 없는 것이다. 하지만 엄마들은 아이의 감정까지 모든것을 엄마의 손아귀에 넣으려고 한다. 그렇다면 아이들이 가만히 있을가? 스트레스를 받고 감정을 역으로 드려내는 아이들,아니 그런 열세번째 아이는 엄마의 선택에 반격을 가하듯 자신의 근본이 궁금해졌고 자신을 따라 다니는 인공지능 로봇인 레오와 그외 로봇들에게 점점 감정을 느끼기 시작했다. 자신만 보이던 세상에서 자신외의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앞으로 달려갈줄만 알았던 그가 갑자기 멈추어서듯 한 것이다. 그리고 로봇들의 반란이 시작되었다. 인간은 로봇을 통제할 수 있을까,맞춤형 아이들은 부모가 원하는 대로 완벽한 삶을 살 수 있을까?
'누구도 다른 사람의 인생을 만들 수는 없어.내가 그런 존재도 될 수 없고. 나는 신도 아니고 그 아이들의 아버지도 아니니까...' 부모가 아이의 인생을 대신 만들어내듯 모든 것을 해줄수는 없다. 아이들에게는 그들만의 인생이 있는 것이고 부모에겐 부모의 인생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하나나 둘만 낳아 키우는 세상이다보니 아이에게 모든 것을 바라고 아이를 위해 자신의 인생을 바치듯 하는 이들이 많다. 자식에게 자신의 미래를 걸고 있다가 아이가 어느 순간 '삐딱이'가 되고 나면 자신의 인생을 도둑맞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을 보기도 했지만 나 또한 녀석들이 말을 듣지 않고 제고집대로 나가고자 하여 갈림길에서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그런 기분을 느꼈다.부모도 로봇도 아이의 그림자가 되어 따라 다닐 수는 없다. 그것도 어느 순간까지이지 평생 그렇게 한다면 온전한 한 인간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온실속의 화초처럼 늘 '엄마'를 찾게 되는 것은 아닐지.들에 핀 들꽃이 강한 법이다. 그렇다고 막무가내로 내 놓기 보다는 어깨가 필요할 땐 힘이 되어 주기는 할지언정 완벽한 아이로 키우기 위하여 부모의 모든 것을 온전하게 다 할애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부모의 잣대에 의해 미래를 결정하기 보다는 자신의 힘과 노력으로 자신의 미래를 개척하면서 때론 실패도 맛보기도 하면서 위기를 기회로 삼는다면 더 든든한 사회에 필요한 재목으로 커나가지 않을까 한다. 소설의 내용은 현시대를 그리고 있는것 같아 씁쓸하면서도 '난 그렇게 되지 말아야지' 하는 뉘우침을 가지게 한다. 완벽함이란 있을 수 없다. 감정을 빼앗긴 아이들이 감정을 되찾을 수 있고 스스로 일어설 수 있는 그런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