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호러작가가 사는 집 미쓰다 신조 작가 시리즈 1
미쓰다 신조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지쳤다'는 말에서 '홀렸다'는 글자가 떠올랐다. '집에 홀렸다''

미쓰다 신조,처음 접하는 미스터리 작가다. 그런데 내게 이 작품 하나로 깊게 각인을 시킨다. '기관 호러작가가 사는 집'은 그야말로 기이한 집에 호러작가가 산다. 작가는 소설을 쓰기 위해 글을 쓰기 알맞은 집을 찾는데 정말 자신의 생각속에서 나온것과 똑같은 그런 집을 찾아내게 된다. 집의 위치며 일본에 서양식이니 다분히 호기심을 자극하는데 그 집은 그동안 버려지듯 아무도 살지 않았다. 아니 그 전에 어떤 사람들이 거쳐갔는지 그만 모르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그러면서 그는 작품을 써나가기 시작한다.

 

독특한 작품이다.호러 작가의 이름도 이작품의 저자와 동명인 '미쓰다 신조'이고 이 소설 속에서는 또 다른 이야기들이 등장한다. 그 이야기들은 같은 집인 '돌하우스' 에서 비롯된다. 과연 이 집은 어떤 '이야기'를 담고,아니 간직하고 있는가. 무언가 '섬뜩' 한 느낌이 드는 듯 하지만 전반부는 그리 무섭다고 할 수 없다. 이야기가 전개되는 듯 하기도 하고 알 듯 모를 것 같은 이야기들이 교묘하게 바탕을 이루며 나간다. 정말 소설을 읽어나가다 보면 '집에 홀린다' 라는 느낌이 들 정도로 작자며 이야기속 '코토히토'가 되는 듯도 하고 이야기와 작중작은 교묘하게 닮아간다.아니 똑같이 이어져 나간다.

 

'서프라이즈'라는 프로를 보다보면 정말 '집' 에 혼이 사는 것처럼 그 집에만 들어가면 영혼을 보았다는 사람들도 있고 괴기한 일들이 벌어지는 '살아있는 집' 이 있다. 이 이야기속의 '기관'이란 그런 집이다. 일면 '돌하우스',인형집이라고 할 수 있는 이층집은 이 집과 똑같은 모형의 집이 발견된다. 모형의 집이 나타내는 것은 무엇일까? 아니 이 집에서는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길래 모형집이 만들어졌고 이 집은 사람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고 있는 것일까?

 

작중작에서 코토히토는 이층집으로 이사를 하는데 집안에 들어서는 순간, 섬뜩한 느낌을 받는다. 왜 그럴까? 그런데 미쓰다도 돌하우스에 들어서는 순간 알 수 없는 '차가움' 에 휘말려 들게 되고 소설은 작중작과 소설이 교묘하게 똑같이 이어지다가 어느 순간, 작중작을 벗어나 이야기속으로 나온 실제 주인공이 되어 미쓰다와 함께 교묘하게 얽혀든다.소설속 소설인지 미쓰다의 이야기인지 분간이 안갈 정도로 생각과 몽상에 빠져 들게 하는 묘한 마력은 돌하우스가 주는 매력인지 아님 작가만의 특징인지 후반부부터 '무엇일까?' 하고 정신을 집중하게 하는 작가의 매력,재밌다. 독특하다.

 

소설속에는 내가 좋아하거나 또는 읽어보고 싶어 했던 작품들이나 미스터리 작가들이 많이 등장을 하거나 료코와 이야기를 나누는 중에는 '에드가와 란포' 는 소설을 이어주는 중요한 맥으로 작용을 하지만 난 에드가와 란포의 작품을 많이 읽어보지 않았기에 그저 맛보기로만 읽으며 감을 잡는다. 소설은 무척 무서운 이야기도 아니면서 괜히 '의성어와 의태어' 에 놀라거나 두려움에 빠져 들기도 한다. 영화에서 무서운 장면이 나오기전이 더 무섭고 기다려지는 것처럼 작가의 의도된 '의성어' 에 휘말리다보면 등골이 오싹한다. 누군가 옆에서 '히히히' 하면서 '탁탁탁' 하며 쳐다 보고 있을것만 같다. 이야기 전체의 무서움보다는 독자의 '의식' 속에서 '몽상'하게 만드는 작가의 자질이 더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작은 문을 열면 무언가 나오겠지. 의성어를 따라가다 보면 정말 누군가 나오겠지 하는 것처럼 있지도 않은 무서운 이야기를 독자의 의식은 기대하고 있으니 더 무서움이 따라오는 듯 하다. 그 행간을 작가는 잘 읽어내고 쓴 듯 하다.

 

'생각해보면 이 시기는 일,독서,창작,덧붙여 사는 집까지 나를 둘러싼 모든 환경이 불가사의한 색채에 감싸여 있었다. 그야말로 박명의 한가운데에 있는 듯한 상태다.하지만 황혼의 저 건너편에는 암흑의 세계가 입을 딱 벌리고 있다.' 소설에 등장하는 '미쓰다 신조' 의 편집일이며 소설은 작가의 실생활을 그대로 옮겨 놓은듯 하다고 한다. 그러니 더욱 이야기속인지 소설속인지 분간이 가지 않는다.어디까지가 소설속이고 어디까지가 현실세계일까.그 모호함이 주는 매력이라고 할까. 그리고 일본 미스터리를 읽다보면 한자이름을 가지고 재밌게 풀어내는 것들이 가끔 등장을 하는데 정말 풀어내고 보면 기묘하다. 깨알같은 재미까지 느끼며 작가는 자신의 실제 이름을 잊지 않게 독자에게 각인시키는 듯 하다. 일본 미스터리 소설을 많이 즐긴 편은 아니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재밌다. 더 많은 작가와 작품들을 만나고 싶다는 욕심을 소설속에 다분히 숨겨 놓았다.그리고 돌하우스를 나와 F장에 머무른다했지만 돌하우스에 가면 지금도 작가를 만날것만 같은 기분은 뭘까? 그는 그곳에서 또 다른 이야기를 구상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