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주의 결혼식 푸른숲 역사 동화 2
최나미 지음, 홍선주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자들이 정말 싫어하는 말일까? 시집살이,아니면 남자들이 좋아하는 말일까? 갑가지 아이러니 해졌다. 그렇다면 시집살이는 얼마나 오래되었을까,아니 언제부터 시작되고 그 첫 시작은 누구였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우린 보통적으로 시집살이가 처가살이보다 더 오래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시집살이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조선중기 이후에 시작되었다는 것이다.그것은 바로 '숙신 옹주', 그녀는 왜 '친영례' 라는 '시집살이'를 해야만 했는지 작가는 역사 속으로 들어가 그녀 숙신을 생생하게 만나게 해준다.

 

세상에 태어났지만 생부의 얼굴도 생모의 얼굴도 모르고 다른사람의 손에 큰다면 어떠할까? 그것도 구중궁궐에 갇혀 바깥세상과는 담을 쌓고 살면서 자유롭지 못한 곳에서 자신의 자유보다는 왕손이라는 이유로 규범과 도덕을 지키며 살아야 하는 여인네라면 어떠했을까? 숙신 옹주,아니 운휘는 태어나면서 생부의 얼굴도 대궐밖으로 쫒겨난 생모의 생사는 물론 얼굴도 모르고 세 명의 어머니손에 자란다. 하지만 그녀는 자유분방한데 대궐이란 울타리에 갇혀 그녀는 무척이나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처럼 그렇게 살아야만 했다. 그녀에게는 그녀의 모든 것에 걸림돌이 되는 익녕군이라는 인물이 있었다. 그는 그녀보다 두달 늦게 태어났지만 그에게는 엄마인 선빈이 있었다. 하지만 그녀는 그녀를 감싸줄 자신의 편이 없었던 것, 그녀가 잘못을 저지르지 않아도 그녀가 덤탱이를 뒤집어 써야만했다.

 

그녀는 여인네들이 즐기는 바느질이며 예법과는 거리가 먼 자유분방하고 행동이 어쩌면 남자처럼 거칠면서도 호기심이 남달라 궁금한 것은 해봐야만 했다. 그런 그녀에게 익녕군은 그녀의 생모소식을 알려주게 되고 생모를 보기 위하여 복섬이와 궐을 빠져 나가려다 들키게 되고 그녀는 몇날 며칠을 앓아눕게 되기도 한다. 앓고 난 후의 그녀는 앓기전의 그녀가 아닌 듯 성장을 해 있다. 생모에 대한 생각이 그녀를 성장시켰으리라. 하지만 생모는 그녀를 기다려주지 않고 이승을 떠나고 만다. 힘든 시간을 견디어낸 그녀,나라 안팎으로 어지럽고 힘든 일이 계속 되고 어쩔 수 없게 '친영례'를 받아 들여할 시기,그녀는 스스로 자신이 친영례를 하겠다고 나선다. 염상궁에게 여인네로서의 예의범절을 훈육받았지만 결코 굽히지 않고 물들지 않는 그녀,어찌보면 시집살이를 자신의 힘으로 잘 견뎌낼 수 있는 힘이 될지 모르리라 하며 그녀를 아는 모든 이들은 생각을 한다. 과연 그럴까? 옹주로 태어났지만 구중궁궐 생활에 익숙한 그녀가 반가의 여인으로의 삶을 제대로 견디어낼지.

 

그녀와 혼인을 하는 윤평의 어머니는 그야말로 누구보다 고된 시잡살이를 시킬 준비를 다 한 시어머니처럼 그녀를 대한다. 궁궐과는 다른 삶이 펼쳐지고 있음을 감지하는 그녀, 남편이라도 자신의 편이 되어 준다면 좋으련만 어머니의 치마폭에 감싸여 있는 남편,어찌할꼬 그녀의 앞날은. 소설은 정말 운휘의 성격이며 모든 것들을 실제처럼 생생하게 잘 그려냈다. 숙신 옹주를 만나고 있는 것 같은,아니 그와 함께 한 모든 이들의 성격묘사가 잘 되어서일까 재밌다. 그리고 생모를 그리는 그녀의 이야기 대목에서는 목울대가 컥 막혔다. 정말 시집가기전에는 여자들은 '어머니' 에 대한 생각이 남다른데 그녀는 어떠했을까.아무리 그녀를 잘해주고 모든 것이 갖추어진 대궐과 세명의 어머니들이라도 생모만 할까. 생모에 대한 그리움을 안고 '시집살이'를 누구의 권유가 아닌 자신 스스로 선택했지만 자신의 생각과는 너무도 거리가 먼 생활임을 자신의 운명이 지금과는 백팔십도 다르게 바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는 그녀의 남은 여생이 궁금하다.

 

'명나라에서는 남자가 장가가는 게 아니라 여자가 시집가는 거라잖아.남편이 처가에 찾아가 예의를 취하고 부인을 자기 집으로 데려가는 게 바로 친영례라는 거지. 우리처럼 혼인하고 처가에서 사는 게 아니라 시가에서 살아야 하는 거라고. 일반 백성들도 혼인하면 친정 식구들하고 사는 게 우리의 풍습인데,혼인하자마자 생판 모르는 시가의 식구들과 계속해서 함께 살아야 한다고 상상해 봐.얼마나 끔찍하겠니?'

 

남편 한사람 믿고 시가에 들어가 모든 생을 다하려 하는데 그가 아내가 아닌 어머니의 치마폭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마마보이라면 여인의 시집살이는 어떠할까? 그것이 시어머니만 있는 경우라면 그래도 덜하지만 층층시하라면 정말 말로 표현을 할수가 없다. 그런데 여자들은 '귀머거리 삼 년 벙어리 삼 년..' 이라며 여자의 입도 귀도 눈도 모두 닫아야 한다고 하는가 하면 '삼종지도'를 가르친다. 왜,왜 도대체 여자에게만 그런 법을 따르란 것인가. 숙신은 그런 말을 이해할 수 없다. '남편은 하늘이고 아내는 땅이다' 왜 여자와 남자가 달라야 하는가. 지금의 세대들에게 이런 말을 하면 받아들이질 못한다. 아니 결혼자체가 시집살이도 처가살이도 아닌 개개인의 선택에 의해 독립적인 생활을 선택하는가 하면 자신들이 선택한 삶이 아니라고 생각이 되면 이혼을 가볍게 생각하기도 한다. 여인네는 그 집안에 뼈를 묻어야한다는 말은 옛말이 되고 말았다. 아니 세대차이가 난다. 가부장적인 제도를 만들어낸 '시집살이'가 숙신 옹주에서 시작이라니 그녀의 삶이 얼마나 한의 세월이었을까,그것도 의지할 친정엄마도 없이 말이다. 어느정도 시집살이를 겪어본 이라면 그녀의 이야기에 뭉클할 것이다. 아니 왕 앞에서도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말처럼 그녀가 반가의 삶에 길들여져야 했다는 것이,아니 무엇보다 고되다는 시집살이를 견디어 내야 했다는 것이 슬프지만 그녀의 딸은 처가살이를 했다는 것이 또한 아이러니한 역사이다. 어린이책이지만 정말 재밌다. 역사 속으로 깊게 빠져 들어가 교과서에서 놓친 행간을 들여다보게 해서 더욱 좋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