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만 보는 바보 진경문고 6
안소영 지음 / 보림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만 보는 바보,간서치는 어찌 보면 좋은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또 한편으로는 왜 책만 보아야 했을까? 적자와 서자의 차이가 분명했던 시대,능력이 있어도 '출생'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펴지도 못하고 모계의 반보다는 아버지로 부터 물려받은 쓸모 없는 자존심 강한 '반의 양반' 핏줄이 더 드세어서 글 읽는 것을 제외 하고는 달리 무엇을 해보지도 못한 사람들.그에 비하면 지금의 시대는 얼마나 좋다고 봐야 하겠는가,하지만 지금 또한 줄과 연으로 이어지는 보이지 않는 길이 있음을 무시 못하는 세상이기도 하다.'내 몸에는 임금님과 성이 같은 왕실의 피가 흐르고 있다. 그런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는 서자의 집안, 반쪽의 핏줄이다. 본가의 적자가 아니니 물려 받을 재산도 없고, 벼슬길에 나아가지 못하니 살림을 꾸려 갈 녹봉도 받지 못했다.그렇다고 시장에 나가 좌판을 벌여 놓고 장사를 할 수도 없었다. 온전한 양반들만의 세계에 끼워 주지도 않으면서, 또 다른 반쪽의 핏줄이 이끄는 대로 살아가는 것도 비웃으며 허락하지 않았다.'

이 책을 읽기 전에 바로 <조선의 협객,백동수>라는 책을 읽어서인가 내용이 많이 겹친다. 그 책을 읽어가며 이 책을 빨리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가졌는데 비슷한 내용들이 많으니 백동수라는 책은 그가 '주'가 되었다면 책만 보는 바보라는 책은 '이덕무' 라는 인물을 중심에 놓고 그 주변의 친구들의 이야기를 썼다고 볼 수 있다. 서얼이었지만 꾸준히 글 읽기를 놓지 않았던 그이기에 임금도 알아주는 검서관이 되었지만 그가 만약에 서얼이라는 이유로 글 읽기를 포기하고 시장의 왈짜나 그외 인물로 살았다면 이야기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와 어울렸던 인물들은 대부분 서얼들이 많다. 스승으로 모신 연암 박지원과 같은 사람도 있었지만 그의 처남인 '백동수' 도 무인집안이었지만 서얼출신이요 박제가 또한 서얼이다. 그렇기에 그들이 더욱 실학에 눈을 뜨지 않았을까 한다. 양반이었다면 보이지 않았을 실제 생활에 꼭 필요한 것들을 청에 가서도 더 세세히 남보다 더 들여다 볼 수 있었던 것이고 그들이 관직에 나아가기 전에 어려운 생활을 했기에 실생활에 더 눈을 뜨지 않았을까.하지만 그들이 서자이면서 재능을 인정 받아 관직에 나갈 수 있었던것은 참으로 오랜시간이 걸렸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능력을 쌓아 능력을 인정받은 것은 정말 다행한 일이지만 그 시간을 인내하기란 참으로 힘들었을 것이다. 그 힘든 시간을 지탱해 준것은 '책' 이었다. 배고픔도 굶주림도 추위도 모두 책이 막아 주었고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었다.

늘 책을 읽으며 지식을 쌓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런 능력을 알아 봐 주는 스승도 인생에는 꼭 필요하며 그런 재능뿐만이 누군가와 어울리는가 또한 친구들이 중요함을 그들을 보면 알 수 있다. 서로 이끌어 주고 밀어주고 그렇게 힘든 세상 힘든 시간을 서로 얽혀 이겨내었던 사람들 이덕무와 그의 친구들은 아픔을 속으로 삭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운명이란 게 어디 별것인가요? 저는 나를 마음대로 하려 드는데, 나라고 저를 마음대로 못하겠습니까? 단단히 얽어매어 놓은 사슬 한 겹이라도 내 반드시 풀고 말 것입니다.' 라고 말하는 박제가 같은 인물도 있었다. 그는 자신의 운명에 두려움과 무기력감을 느끼었다면 박제가 같은 인물은 부딪혀 이겨내려고 했던것 같다.그런 반면에 처남인 백동수는 서얼이기 때문에 관직에 나아가지 못하여 당하는 가난에서 벗어나 보려고 기린협에 가서 십여년 동안 목장을 하기도 한다. 그곳에서 그는 무술도 함께 연마하고 목장일도 남다들게 하기도 하였지만 자신의 운명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아 드디어 정조의 부름을 받고 관직에 나아가 <무예도보통지>라는 무술서를 간행하기도 했다.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이 아무리 어렵다고 해도 이겨내고 인내한다면 반드시 인고의 결실을 거두게 되는 날이 오리라는 것을 그와 그의 친구들의 이야기를 읽으며 한번 더 깨닫게 된다.무엇보다 제일 컸던 장애물이었던 '서자' 라는 출생에 갇혀 지냈다면 그들의 인생이 역사에 남을 수 있었을까. 그시대에 제일 허물기 힘든 벽이란 것을 알면서도 끝없이 지식 탐구를 누리고 인고의 시간을 견디어 냈기에 주머니속에 감추어진 송곳이었지만 밖으로 들어날 수 있지 않았을까. 그리고 또한 그런 인재를 알아 보았던 정조 또한 인물임을.. 이덕무를 통해 그의 주변 인물들이 모두 실학과 그외 방면에서 이름을 올릴 수 있었던 것은 '백탑시사' 의 시간이 가져다 준 것인지도 모른다는, 그 속에는 책으로 서로 교류를 했던 힘들지만 행복했던 시간들이 있었음을 들여다본다.책이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소중하게 엮어주는 매개체인지 그리고 책을 통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들여다 볼 수 있으며 나 또한 늘 책을 읽고 있고 책을 통해 소중한 인연을 맺기도 하지만 '책이란 기록이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다시 한 번 더 깨닫게 해준다. 우리의 역사이지만 남의 것에 의지하던 지난 역사와 잃어버린 역사등 우리가 좀더 기록의 소중함을 알았더라면 하는 안타까움, 지금이라도 우리의 진실된 기록으로 남겨야 함을 다시한번 더 되새겨 보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