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꿈 - 14세에 남장하고 금강산 오른 김금원 이야기 진경문고
홍경의 지음, 김진이 그림 / 보림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조선시대 여인중에 울밖 담장을 너머 금강산에 다녀온 사람이 몇 명이나 있을까? 그런 꿈을 품고 있다고 해도 담장밖 세상에 자유롭게 다닐 수 있었던 여인이 얼마나 될까? 여자라고 하여 제약이 너무 많았던 세상,그런 세상에서 남장을 하고 그것도 지금으로 하면 사춘기 겨우 중학생 나이에 금강산을 혼자 다녀왔다니,금강산 뿐만이 아니라 두루두루 넓은 동해바다도 보고 내륙지방도 여행하고 한양을 들러 오랜 시간 동안 그렇게 자유롭게 유람을 했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지만 그는 자신이 보고 듣고 한 여행을 글로 남겼다. 시에도 능했던 그녀,재능을 가지고 있어도 여인이라는 그것도 기생의 딸이니 그녀가 택할 수 있는 운명이란 정해져 있었는데 그런 속에서 자유롭게 여행기를 남겼다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가.지금이라면 여행기에 대한 저작권이라도 있겠지만 그녀의 글로 그릇이 판가름 되어 모두가 아깝게 생각을 해도 어쩔 수 없는 서출에 기생출신,갖출건 다 갖춘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계급이다. 그녀의 이야기가 오롯이 담긴 <호동서락기>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는 안타깝고 아쉽다는 생각만 들뿐,모두가 시대를 잘못 타고난 죄밖에 없다.

섬에서 태어난 여인네들은 뭍에 간다는 것은 죽어서 나오는 일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래 제주의 김만덕은 어려운 제주민을 구제했다하여 임금의 상을 받게 되었을 때 다른 것도 아닌 섬을 벗어나 뭍으로 나가는 것, 바로 금강산 여행을 해보고 싶다고 올려 금강산을 다녀왔다고 한다.하지만 금원은 엄마가 기생이었다가 첩으로 들어가 그녀를 낳았다. 그러니 당연히 기녀가 되어야 할 팔자인데 그녀는 어려서부터 글을 깨우치고 글짓는 솜씨가 남달랐기에 울안에 갇혀 있기엔 그릇이 넘쳐났던 것이다. 책에서 세상을 배우게 된 그녀는 책과 그림속에 있는 금강산으로 만족하고 싶지 않았다. 직접 눈으로 보고 표현하고 싶었던 그녀는 글스승이나 마찬가지인 고모 기각으로 배우기도 하고 어느 순간엔 그녀를 뛰어 넘는 재주를 지니게 되었다.그녀의 동생 경춘과는 글친구처럼 늘 글을 나누고 어머니와도 함께 자유롭게 글을 읽고 나누고 하였으니 주변이 모두 글선생이요 그녀의 꿈에 날개를 달아주지 않았을까.

'세상에 내딛는 이 걸음이 헛되지 않도록 하리라.'
그녀가 만약에 양반가에서 태어났다면 부모가 그녀를 금강산에 보냈을까? 아버지도 그녀의 재주에 놀라고 어머니는 기녀였기에 그녀를 자유롭게 보내주었을 것이다. 어머니가 지어주신 남자옷을 입고 세상밖으로 향한 그녀는 그녀의 오랜 꿈을 이루기 위하여 당차게 출발한다.가슴에 품고 있던 의림지를 둘러보고 단양팔경을 구경하고 금강산 한양 등 두루두루 여행하고 집에 돌아오지만 그녀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기생의 길,하지만 그녀의 글재주는 담을 넘고 넘어 멀리 퍼져 나가고 한남자의 아내로 살아가게 되는 기회가 온다. 소박하게 사는 사람이었기에 그녀와 잘 맞았던 것일까.그녀의 재주를 아껴주고 알아 주는 사람이었을까,그녀는 결혼을 하고는 정착하게 된 곳에서 조선에서 최초의 여성시사를 열게 된다. 대단한 재주를 가진 글친구들과 글을 나누게 된 그녀는 금강산 다녀왔던 이야기를 가슴에 간직하고만 있지 말고 책으로 쓰면 하면 친구들의 뜻과 함께 그녀는 책을 내기로 결심한다. 여자가 그것도 다른 곳이 아닌 금강산 기행에 대한 책을 낸다는 것이 가당키나 했을까. 하지만 그녀는 남자도 하기 힘들 일을 척척해냈다. 그녀를 품기엔 조선이라는 그릇은 너무 좁았다.

'평해로 향하가다가 월송정에 올랐다. 바람이 고요하고 물결이 잠잠하고 날씨가 청명하여 섬들을 바라보니 있는듯 없는 듯 바다색이 한르에 닿아서 구름 끝을 볼 수 없었다. 차가운 이슬에 뜬세상의 삶이 참으로 가련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담장 안에 갇혀 살던 삶이 망망대해와 금강산 여행까지 두루두루 하였으니 자신의 삶이 얼마나 가련하게 여겨졌을까.지금으로 말하면 정말 넓은 세상을 걷기여행을 하고 견문이 넓어진 것인데 그런 그녀가 다시 담장안게 갇혀 살기엔 그녀의 재능은 거침없이 커진 것이다.만약에 그녀가 남자로 태어났다면 어떠했을까?  그녀 앞엔 어떤 삶이 기다리고 있었을까.남자들도 인정한 글솜씨,그리고 추사 김정희까지 인정한 그녀의 능력의 끝은. <호동서락기>라도 남아 있다는 것이 정말 다행이다.조선의 법도에 대항하 듯 금강산으로 향하고 책을 쓰고 그리고 여성시사를 만들어 글친구들과 글을 나누며 그녀의 재능을 펼쳤던 그녀의 삶이 21세기의 내가 읽어도 대단하다. 그 시대에도 분명 재능이 뛰어난 여인들이 있었지만 넘기 힘든 '조선의 법도' 갇혀 꿈조차 펴지 못하고 사그라들었을텐데 자신안에 갇고 있던 '오래된 꿈' 을 그저 꿈이 아닌 현실로 이행한 용감한 그녀,정말 당차며 대단하다.

그녀의 이야기는 <호동서락기>를 빌어 담담하게 그려졌다. 작가의 감정보다는 그녀의 삶을 주로 담담하게 표현하여 한시와 함께 그녀의 삶을 읽어나가는 맛이 그녀의 비단마당처럼 현란하지 않음 속에 비단의 보드라움처럼 스며든다.그시대에는 남자도 서얼이라면 사회적 제약이 많았는데 여자 또한 어떠할까,그것도 어미가 기녀였는데. 그녀의 재능이 아깝다. 호기심 많고 글에 남다른 재주가 있고 모든 것에 제약을 받으면서도 자신의 꿈을 접지 않고 펼쳤던 그녀,요즘의 청소년들이 읽고 본받아도 될 것처럼 잔잔함이 긴 여운을 남긴다. 낭중지추라 했다. 뛰어남은 언젠가는 드러나게 되어 있다. 코끼리의 다리를 만지고 코끼리를 보았다고 하는 맹인모상이 아닌 직접 눈으로 그리고 자신의 발로 밟아 본 금강산및 그외 여행지는 그녀의 글의 폭을 넓혀 주기도 했지만 밖으로 향하는 설레임을 안으로 잠재우며 더욱 글로 승화시킬 수 있었지 않나 싶다.어떠한 제약에도 자신의 꿈을 굽히지 않았던 그녀,그녀의 삶과 꿈이 다시 태어난 듯 기쁘다. 어찌 역사 속에 그냥 잠들어 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