앗싸라비아 - 힘을 복돋아주는 주문
박광수 글.사진 / 예담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박광수, 그의 웹툰을 본 것이 언제였던가.난 참 무심하게 그동안 그를 잊고 살았다. 그가 어떤 만화를 그렸는지 어떤 말들을 쏟아 냈는지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그동안 세월은 참 많이 흐르고 그도 나이를 먹었고 나도 나이를 먹었다. 이제 반환점이나 마찬자기인 이 지점에서 무언가 남은 인생을 위한 주문이 필요하다, '앗싸라비아'. 책의 겉표지의 도형들을 보고 있으면 어디론가 알 수 없는 '이상한 나라' 나 아님 어느 곳인지 모를 '블랙홀' 에 빨려 드는 요지경속 도형같다. 그냥 보면 반짝반짝 은빛인데 이렇게 들어보니 '무지개빛'이다. 그렇다면 내 인생도 그의 인생도 지금 무지개빛...

나도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한다. 하지만 사진의 단점은 모든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내가 보고 싶은 곳' '내가 볼 수 있는 곳' 그 한부분만의 세상을 '똑 떼어내어 볼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그외 세상에서는 무엇이 일어나든 상관하지 않고 아름답게 보고 싶다면 좀더 가까이 들여다보고 좀더 넓게 보고 싶다면 원거리 촬영을 하여 찍어 보면 된다. 그렇게 뷰파인더 속 세상을 들여다보다 보면 내가 보지 못했던 세상도 발견하게 된다. 좀더 세상에 호기심을 가지게 된다.삶에도 물음표를 던지며... 그의 '앗싸라비아' 에서는 왠지 모르게 지금 그가 서 있는 인생의 현재점에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를 들여다보는 청사진처럼 내게 다가왔다.

과거, 그 속에서 만난 것은 어머니다. 어머니의 레시피대로 파 양파 고추 고춧가루 참기름 약간, 잘 익은 김치를 넣고 김치볶음을 하지만 그것은 결코 어머니가 해 주신 그 '맛' 아니다. 어머니의 손맛을 따라 할 수 있는 것은 어머니의 레시피엔 없다. 그것은 정성이고 마음이고 세월이다. 하지만 지금의 어머니는 과거의 모든 기억들을 하나씩 소거해 나가고 계시다. 아니 전부를 소거했는지도 모른다. 치매라는 어머니의 인생 마지막 친구 속에는 '어머니의 김치볶음' 맛이 들어있지 않다.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들을 읽는 부분에서는 '울컥' 눈물이 솟았다. 나 또한 아버지를 지난해에 보내 드렸지만 그때는 아버지의 모든 것을 잃어버리지 않을 것만 같았는데 벌써 가물가물하다.아버지의 목소리, 아버지의 다정한 웃음소리, 그리고 아버지의 그 모든 행동과 언어들... 하지만 손가락 사이로 빠져 나가는 모래알처럼 세월이 흐르고 시간이 흘러가듯 아버지의 기억도 하나 둘 내 곁을 떠나가 버렸다. 그가 담으려 했던 것은 어쩌면 어머니와의 마지막 '이별 연습' 인 것처럼 불쑥 불쑥 글과 사진들에서 느껴지는 어머니에 대한 정성과 사랑 속에서 난 내 아버지를 만났다.

추억의 책장을 넘기듯 한 페이지 한 페이지를 넘기며 만나는 사진과 공감이 가는 글 속에서 삶에 지쳐 갖지 못했던 '여유와 휴식' 을 잠시 느껴본다. 그러다 돌아서는 길목에서 우연히 마주치듯 읽게 되는 가슴 뭉쿨한 글, 짧은 글에서도 눈물이 난다. 나이를 먹는 다는 것은 어쩌면 '눈물샘' 을 터트리는 것처럼 점점 늘어나는 눈물을 감당 못 할 때도 있다. 눈이 안 보이는 소년이 연을 날리고 있다. 눈이 보이지 않으면서 소년은 왜 연을 날릴까, 다른 일들이 자신의 연을 보고 '기쁨과 즐거움' 을 느끼니 자신을 위해 날리는 것이 아니라 타인을 위해 날리는 소년, 우린 너무 자신만을 위해 살고 점점 이기적이 되어 가고 있는데 문득 그 짧은 글과 사진 속에서 떠나지 못하는 것은 내가 너무 이기적으로 살아 온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가져보며 내 지난날을 뒤돌아 볼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바로 이 책을 다 읽기전 전날 늦은 밤에서 기숙사에 있는 큰딸과 전화통화를 하다가 큰소리를 내고 말았다. 서로 별것도 아닌 일로 목소리를 높이고 그렇게 서로의 감정을 상하다 전화를끊고 어젯밤을 어떻게 보냈는지 모르게 보내고 아침을 맞아 바로 딸에게 전화, ' 니가 웃어야 모두가 웃는 것 알지,니가 웃어야 우리 가족 모두에게 힘이 나는 거야. 웃자.' 하며 좀더 여유를 가진 말들을 해 주었더니 봄 눈 녹듯 내 마음도 딸의 마음도 풀어졌다. 산다는 것은 별거 아닌데 왜 너무 많은 것을 가지려 하고 얻으려 하는지. '오래 엎드려 있던 새는 높이 날 수 없고, 먼저 핀 꽃은 일찍 지니, 이를 알면 발을 헛디딜 염려와 초조한 마음은 사라질 것이다.' 그의 사진과 잔잔한 글 속에서 잠시 내 잃어버린 여유를 찾는다. 그리고 마음의 휴식의 시간을 가져본다. 현재에 필요한 것은 돈도 아니고 욕심도 아니고 어쩌면 한템포 늦출 수 있는 '여유' 는 아닐까.

그의 다른 책들을 보았다면 다른 느낌을 가졌을텐데 만화가 아닌 내가 좋아하는 '포토에세이' 라 공감하는 부분이 많다. 사진 또한 넘 좋다. 남이 발견하지 못한 부분을 먼저 잡아 내기도 하고 순간 스러지는 아름다움을 담아 내기도 하고 그래서 사진은 참 좋기도 하고 다시 꺼내어 보면 '물기' 를 머금고 있기도 하다. 지난 것은 어느 것이나 되돌아오지 않는다. 아니 되돌릴 수 없는 것들이 시간 뿐만이 아니라 인생도 그렇고 모든 것들이 다 그렇다. 지금 이 순간 '현재'를 잡아 내고 기억하고 기록하지만 그것은 바로 순간에 '과거'가 되고 만다. 그 속에서 한 대학에서 존경을 받는 노교수의 말이 기억에 남는다. 늘 학생들에게 반말을 쓴지 않는 교수님 그가 왜 학생들에게 반말을 쓰지 않을까, ' 나는 현재의 자네들에게 경어를 쓰는 것이 아니라네. 나는 자네들의 위대한 미래에 대해서 존경과 경의의 뜻으로 경어를 쓰는 것이라네.' 얼마나 가슴 뭉클한 말인지. 새삼 반토막 등록금에 않좋은 교육제도들에 흔들리는 교육이야기들에 가슴에 멍이 들었는데 제자들의 '위대한 미래에 대하여' 라는 말에 가슴이 울컥했다. 참교육자의 모습을 본 듯도 하고 밝은 미래를 본 듯도 하고.

그렇다면 그의 사진과 글들이 내게 지금 '수리 수리 마수리' 하면서 '앗싸라비아'라고 주문을 걸어 준 것이 맞는 듯 하다. 잠시 어둡게 내 머리 위에 걸쳐 있던 먹구름을 거두고 밝은 하늘과 무지개를 내려 걸어 주었다. 한 장 한 장 내가 보지 못하고 내가 알지 못하던 뷰 파인더 속의 세상과 행간을 읽게 해 준 '앗싸라비아' 사진과 글이 참 좋다. 마음의 여유가 날 때마다 다시금 어느 페이지든지 펴서 차 한 잔과 함께 읽어봐도 좋을 듯 하다. 너무 깊숙히 모셔두기 보다는 가까이 손 닿는 공간에 놓아 두고 한동안 '오랜 지기' 처럼 두고 싶은 책이다. 한참 고3이라 힘들어 하는 딸에게 한페이지를 펼치고 읽어 주었다. 아니 그 글을 이야기 해 주었더니 좋단다. 서로에게 드리워져 있던 먹구름이 잠시나마 걷혀서 다행이다. 내일 다시 먹구름이 몰려 온다해도 오늘은 오늘의 주문대로 '앗싸라비아' 하게 지나갈 수 있는 하루가 되었다. 그리고 언젠가는 나 또한 딸들에게 엄마의 이런 '포토에세이' 집을 만들어 주고 싶은 생각을 가져본다. 늘 녀석들의 일상을 담고 사진으로 남겨 두던 지난 날, 어리고 힘들고 미래가 불확실하다 해도 다 묶어 놓으면 추억이고 행복이다. 행복속에는 불행도 기생한다.공생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기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떤가 불행한 날이 있다고 불행하다고 생각이 들기에 행복이 더 간절하고 배로 느껴진다면. '철수엄마' 라는 글에서 청각장애자인 엄마와 아들이 사랑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몰라 답답해 하지만 그것은 말로 안해도 느낌이로 알 수 있는 것처럼 왠지 모를 '사랑' 을 표현하지는 못하겠지만 한아름 선물 받은 것 같다. '공간은 중요하지 않아. 공간을 채우는 것은 사람들일뿐. 그 사람들과 그곳에서 사연을 만드는 것지.' 정말 사연이 가득한 책이다. 보고 읽으면 나도 모르게 마음이 따듯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