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양이와 선인장 - 사랑에 빠졌을 때 1초는 10년보다 길다
원태연.아메바피쉬.이철원 지음 / 시루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이제 막 시작했다면 그들처럼 아닐까.여기 이제 막 첫사랑에 눈을 뜬 새카만 도둑 고양이 한마리와 누군가에게 버림받고 다시 누군가에게 선택되었지만 늘 외로운 '선인장' 그들의 사랑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들과 함께 하는 '쓸쓸이' 또한 누군가로부터 사랑을 받고 싶지만 자신의 모든것을 내어주듯 상대를 사랑하면 할 수록 자신은 닳아 없어진다, 그리곤 흉측한 몰골이 되어 상대에게 버림받듯 버려진다. 사랑은 그 어떤 감정이나 모습이어도 행복과 아픔이 함께 동반되는 인생의 성장판과 같다.
'사랑에 빠졌을 때 1초는 10년보다 길다.' 아 정말 멋진 맛이다. 정말 그런 때가 있었다. 너무 빨리 잊어서 탈이지만 말이다. 그 순간이 너무 찰나와 같기 때문에,빛의 속도로 사라지고 말기에 눈이 내린 그 순간부터 순수함을 잃어버리듯 녹는 순간의 그 흉측함만을 더 많이 보아서일까, 왜 사랑하면 씁쓸함이 더 기억되고 남는 것인지. 사랑은 행복보다는 애증이 더 빠라온다. 그렇지만 그들은 어울리지 않는 듯 하면서도 서로를 간절히 그리고 애절하고 원하고 있다. 삶의 시간을 얼마 갖지 않은 소년이 선인장에게 지어 준 이름은 '땡큐', 물을 주었을 때 아는 척을 했다고 반가워 했다고 '땡큐' 라고 하지만 선인장은 늘 외롭다. 외로움이 가시처럼 돋아 나 있는 움직이지 못하는 선인장에게 밖의 세상은 그야말로 '상상속' 그의 상상속에서는 못하는 것이, 안되는 것이 없다. 그런데 어느 날 선인장 땡큐가 있는 창가에 검은 고양이 한 마리가 살금살금 왔다. 이름도 없는 도둑고양이, 땡큐는 너무 외로워 그의 이름을 무엇으로 할까 하는데 그만 자신의 외로움을 밖으로 내뱉고 만다. '외로워' 그래서 고양이 이름은 '외로워' 가 되었다. 하지만 무척이나 소심쟁이다. 무슨 소리만 나도 얼른 달아나 버린다. 그런 외로워가 땡큐는 너무 부럽다. 어디든 갈 수 있으니 말이다.
우린 자신이 가지지 못한 '남의 것' 에 대한 동경이나 그외 욕심을 부린다. 땡큐는 어디든 마음대로 갈 수 있는 외로워가 부러운 반면 외로워는 집이 있고 누군가의 사랑을 받고 있는 땡큐가 부럽다. 그는 늘 사람들의 시선을 피하고 비를 피해야 한다. 먹는것조차 눈치를 보며 훔쳐 먹어야 하니 얼마나 땡큐가 부러운가. 땡큐에게 다가가고 싶어도 누가 나타날까봐 혹은 그가 가지고 있는 가시 때문에 가까이 갈 수가 없다. 그저 가까이서 바라볼 뿐. 그렇다고 땡큐가 외로워를 안아 줄 수도 없다. 자신이 가진 가시 때문에,그렇다고 외로워가 땡큐를 안을 수도 없다,가시 때문에. 하지만 그들은 서로를 사랑한다. 땡큐의 외로움을 나누어 가진 외로워, 자신의 마음을 알아 준 땡큐, 그들에게는 다가갈 수 없는 거리가 있다. 제일 먼 거리는 '마음에서 머리' 라고 하지만 이들은 바로 눈 앞에 있지만 '유리창' 에 가려져 있다. 하지만 땡큐의 상상속에서는 안되는게 없다.
몰래 몰래 사랑을 키운 그들 곁에서 누군가를 애타가 그리워 하는 비누조각 '쓸쓸이' 가 있다. 자신을 늘 만져주는 소설가를 기쁘게 하고 사랑하기에 자신의 그런 마음을 비누거품을 풍부하게 내어 그에게 다가가지만 그럴수록 자신은 초라하고 점점 없어져 버린다.그는 비누가 아닌 '거울' 이 되어 그의 모습을 온전히 담고 싶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어떤지 모른다. 남들이 가지지 못한 '향기'를 가졌다는 것을. 그런 그들에게 일대 사건이 일어난다. 소설가가 집을 옮기게 된 것이다. 방하나 욕실하나에거 벗어나 새로운 거처를 마련한 그는 전자파를 잡아 먹는 땡큐도 늘 소설을 쓰기 전 손을 닦던 향기나는 비누 쓸쓸이도 그대로 두고 떠난다. 새로운 주인인 신혼부부가 그들을 찾아 오지만 그들 역시나 새로운 살림에 그들이 필요하지 않다. 가차없이 쓰레기 봉투에 집어 던져져 처량한 신세가 되는 땡큐와 쓸쓸이, 사랑의 설레임고 기다림도 모두가 물거품이 되어 사라지는 순간이다. 그런 땡큐를 그냥 돌려 보낼 수 없는 외로워는 끝까지 땡큐는 찾아 가지만 그들은 사랑은 거기까지인가 보다.
어찌보면 한편의 그림동화를 보는 듯 하다. 사랑이란 무엇일까, 쓸쓸이처럼 자신의 모두를 다 내어 주어도 이루어지지 않고 땡큐처럼 그 자리에서 오래도록 설레임을 안고 기다린다고 해도 사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글허다고 외로워처럼 사랑을 간직하고 있지만 소심함에 다가가지 못하고 겉만 맴돌아도 사랑은 표현이 안되기에 이루어지기 힘들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서로의 가시에 찔리지 않고 다가가서 안을 수 있을까.'병신들은 잘 안다. 자신이 병신이라는 것을.병신들이 제일 싫어하는 사람은 자신이고, 병신들이 제일 보기 싫어하는 것은 거울이다.' 다가가고 싶지만 다가갈 수 없는 그 무엇, '일 초도 길다. 사랑 앞에서. 언어가 얼마나 쓸데없는 원시적인 유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은.' 사랑에는 무엇이 제일 우선적일까,언어보다 더 빠른 몸짓일까,눈빛일까,마음일까.'사랑을 하는 데 어떤 자격이 필요하다면 전 완전한 자겨 미달인 셈이죠. 하지만 이런 저라도 괜찮으시다면 저도 한 가지는 당신께 해드릴 수 있어요. 전 외로워봤고 지금도 충분히 외롭기 때문에 당신의 외로움을 같이 공감할 수 있을 거에요. 당신만 좋다면요.' 상처가 있는 사람이 남의 상처를 볼 줄 아는 것처럼 '동병상련' 이다. 외로움을 충분히 느꼈기에 그 외로움을 아는데 서로에게 다가서질 못한다. 사랑이 떠나고 나서야 비로소 그것이 내사랑 이었음을 알게 된다. 뒤늦은 후회는 그러나 소용이 없다. 10년만에 복귀작으로 낸 한 편의 동화같은 이야기가 이쁜 그림과 함께 가슴으로 쏙 쏙 들어와 박혀 별이 된다. '사랑에 빠졌을 때 1초는 10년보다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