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게 - 제144회 나오키상 수상작
미치오 슈스케 지음, 김은모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작가의 다른 책 <섀도우> 가 있는데 늘 읽는다 하고는 미루고 있다가 올해 나오키상을 수상했다고 하여 궁금함에 얼른 읽게 되었다. 책은 생각보다 진도가 더디게 나갔다. 미스터리라거나 추리소설이라면 진도가 빨리 나갔을터인데 미스터리라고 하기에도 그렇고 순수문학이라고 하기에도 그런 작품을 만난것 같다. 어찌되었건 내겐 작가의 첫 작품이라 좀더 집중하면서 읽게 되었다. 소라게는 서해에 가면 흔하게 볼 수 있는 게이다. 바닷가에 가면 아이들이 으례히 작은 소라게를 잡아 장난을 많이 한다. 그러면 소라게는 작은 소라껍질 속에 숨어 나오질 않는다. 그 속에서 끄집어 내기 위하여 아이들은 라이터 불로 지지는 놀이를 하면서 자신들만의 의식을 한다.소원을 빌면서 그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소라검님이 소원을 들어준다고 생각을 한다. 그렇다면 소라검님에게 무슨 소원을 빌까. 

어른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이라고 하기에도 그런 나이 초등 5학년이 신이치는 아빠를 암으로 잃었다. 암은 우리 몸속에서 게의 형상으로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암과 소라게의 공통점이라도 있다는 것일까. 암으로 아빠를 잃어 할아버지인 쇼조와 함께 살기 위하여 이사를 오게 된 신이치는 학교에서 친구가 없다. 그와 비슷한 친구 하루야 또한 간사이에서 이사를 와서 친구가 없었는데 다행히 둘은 친구가 된다. 그렇다고 각별한 사이도 아니다. 그들은 그들만이 가는 바닷가에 블랙홀에서 패트병을 이용하여 고기나 게를 잡아 놀이를 한다. 그리고 또 한 명 나루미, 그녀는 쇼조의 할아버지가 몰던 배에서 사고를 당해 엄마가 죽게 된다. 엄마를 죽게 한 배의 주인인 쇼조가 신이치의 할아버지니 신이치와 나루미는 친구가 될 수 없는 사이인데 그들은 우연히 친구가 된다. 하루야는 자신의 가족에 대하여 말은 안하지만 무언가 아버지에게서 폭력을 당하고 있는 것 같은데 숨기고 있다. 하루야와 신이치는 블랙홀에서 잡은 게를 가지고 놀다가 할아버지 쇼조의 말을 듣고 산에 올라갔다가 자신들만의 보금자리를 찾게 된다. 한참 사춘기가 오고 무언가 자신들만이 아는 그런 비밀스런 장소를 가지고 싶어하는 나이인 그들에게 딱 어울리는 바위를 찾아내고 그곳에 블랙홀에서 잡은 소라게와 그외 고기를 키우기로 한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인가 신이치의 엄마 스미에의 행동이 약간 이상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 신이치, 아빠가 암으로 돌아가시게 되고 일을 나가는 그녀가 다른남자의 차를 타고 다정하게 가는 모습을 본 것이다. 엄마에게 남자가 생긴것일까.아님 일을 하면서 우연하게 만난 남자일까. 궁금증을 가지게 된 신이치, 하루야와 우연하게 바위를 찾고 그곳에 소라게를 키우기로 하고 소라게를 잡아 불로 지지면서 소원을 비는 의식을 취하던 중, 우연하게 그들이 빈 소원이 이루어진것 처럼 정말 돈을 줍기도 하고 나쁜 친구가 다치기도 하자 점점 소원은 겁잘을 수 없이 끝을 향해 치닫게 된다. 그렇다면 제일 무서운 소원이 무엇일까. 엄마에게는 정말 애인이 생긴 것일까. 하루야는 왜 아빠에게 얻어 맞기도 하고 밥을 굶기도 하는 일들이 벌어지고 나루미는 왜 갑자기 신이치의 집에 가서 밥을 먹고 싶다고 하는지.

소설은 서서히 소라게처럼 두 소년과 소녀가 겪고 있거나 가지고 있는 비밀을 잠깐씩 들어내어 보여준다. 겉으로는 아무런 이상도 없는듯 보이는 그들속에는 소라게처럼 숨어야 할 감추고 싶은 아픔이 있었던 것. 그렇다면 어른들은 아픔이 없이 잘 살고 있는 것일까.할아버지 쇼조는 사고를 당해 왼쪽 다리를 무릎밑으로 절단하게 되었고 신이치의 엄마는 암으로 남편을 잃었으며 나루미의 아빠는 사고로 아내를 잃었다. 그 사고는 물론 신이치네와 연관이 있기도 하지만.그렇다고 하루야의 부모는 온전할까,무언가 하루야가 털어놓지 않지만 무거운 비밀이 숨겨져 있다. 그리고 월급날마다 술을 마시고 들어와 자신의 아들을 두들겨 패는 아빠, 문제는 무엇일까.

세 아이의 아픔은 점점 극에 달하듯 한 점을 향하여 달려간다. 그것은 어른들이 죽는 것, 신이치에게 엄마가 없다면 그가 존재할 수 있을까. 그들은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현재 보이는 현상 속에서 어른들이 잘못을 저지르고 보고 있다고 자신들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결단을 내려고 한다. 신이치의 엄마는 우연하게 나루미의 아빠와 사귀고 있었던것,그것을 미리 알고 있던 나루미 또한 고민 끝에 신이치에게 다가왔는지 모른다. 적인 신이치엄마와 아빠가 만나야 옳을까, 아이들의 생각으로는 용납할 수 없는 일들은 어른들은 저지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자신들은 걱정할 것이 없다. 소라검님에게 소원을 빌면 모든 소원을 들어주니 말이다. 늘 새로운 소라게로 바위웅덩이를 채워 넣으며 소라게를 잡아 의식을 치르는 그들이지만 그들 사이에도 알게 모르게 금이 가고 있다. 하루야는 친구인 신이치에게 협박성 편지를 보내기도 하고 나루미와 하루야가 자신보다 더 친한듯 하여 질투를 느끼는 신이치, 처음엔 미스터리물이 아니던 것이 점점 미스터리 속으로 빠져 드는 느낌이 든다. 자신들도 모르는 사이 의식은 점점 전진을 하여 '살인' 을 의식화 하기도 하고 그 속으로 뛰어 들기도 한다. 

'확실하게 엄마는 예전과는 달라졌다. 그렇게 생각한 순간 눈앞에 있는 스미에가 갑자기 모르는 여자로 보였다. 자기 엄마도 아니거니와 죽은 아빠와 결혼한 사람도 아니다. 우연히 지금 이 집에서 집안일을 하고 있을 뿐인 여자로 보였다. 집안일이 끝나면 자기 집으로 돌아간다. 돌아가서 다른 남자와 지낸다.' 아빠를 암으로 잃었기에 더이상 잃고 싶지 않은데 엄마가 달라졌다. 그 이유만으로 엄마를 냉대하는 소년, 그래서일까 더욱 나루미를 하루야에게 빼앗기고 싶지 않은데 자신보다 하루야와 더 친해져가고 있는것 같다. 그리고 엄마의 애인이 다름아닌 나루미의 아빠란 것이 믿어지지 않고 있을수도 없는 일이다. 자신의 아버지는 게와 같은 종양에 빠먹혀 들어가며 죽어갔는데 어떻게 나루미의 아빠와 사귈 수 있단 말인가. 

그런 신이치에게 친구가 생긴 것이다. '친구는 신기하게도 질리지가 않아. 어른이 되어 이틀이고 사흘이고 계속해서 만나면 바로 싫어지지만, 어릴 적에 만나는 친구는 그렇지 않아. 그건 도대체 뭐가 다른 걸까?' 쇼조의 말처럼 신이치의 친구인 하루야와는 얼마 가지 않을듯 했는데 그들 사이에 비밀과 벽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들은 친구로 진행되어간다. 날마다. 자신보다 생각이 늘 앞서가는 하루야, 그의 아픔의 깊이를 전해 듣고는 신이치는 그에게도 소원을 이룰 기회를 만들어 준다. 하루야의 소원은 무엇일까.그 역시나 아빠의 폭력에서 벗어나려면 폭력을 휘두르는 상대가 없어지거나 폭력이 없어져야 할 것이다. 그가 늘 쓰는 글자 '네' 는 '죽음' 을 뜻한다는 것을 읽고는 그 글자 속에 그의 아픔이 함축되어 있음을 본다. 어른들은 무엇이든 할 수 있고 휘두를 수 있을것 같았는데 하루야 또한 아버지에게 칼을 휘둘렀다가 어른 또한 '나약한 존재' 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아이들만 성장통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어른들 또한 그들만의 '아픔 혹은 성장통' 있음을 그들도 소라게처럼 숨을 장소가 필요하고 때론 그렇게 나약한 자신을 숨길 수 있는 엄포물이 필요함을 느끼는 소년들, 그 소년들이 그려나가는 이 소설은 어쩌면 아픈 성장통을 그린 소설이다. 그 아픔이 어른들이 죽어야 끝나는 것으로 알기에 조금 섬짓함을 전해주는 그런 미스터리물이 물이 되었지만 어찌보면 사춘기의 소년과 소녀들이 겪을 수 있는 성장통을 아름답게 그린 한 편의 동화같다.

자신들의 아픔을 대변하고 그 아픔을 정당화 시키기 위하여 무언가 필요했는데 자신들이 늘 가지고 노는 '소라게' 가 딱이었던 것. 적으로부터 자신을 숨기기도 할 수 있지만 라이터불처럼 막다른 골목에 부딪히면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는 소라게, 어른이건 아이건 우린 가끔 그런 그늘을 원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늘 그늘속에 숨어 있을  수만은 없다. 늘 그늘속에서 숨어 지내다보면 점점 나약해져 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그런 나약함을 벗어나 직접 행동에 옮기는 소년들, 자신에게서 소라껍데기를 벗어 던지려 했지만 어릴때 가지지 않았던 소라껍대기가 왜 점점 나이가 들어가면서 필요하게 되는지, 바위 웅덩이에 소라게를 키우며 그들의 성장기를 보면서 자신들의 일생을 보듯 그리고 나약하고 실수투성이인 어른들을 보면서 어른의 모습을 미리 답습하듯 하는 소년들이 막다른 길에서 그래도 희망을 향하여 달려 가기에 소설을 아름답게 기억하고 덮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인간의 본성' 이란 무엇일까. 소라게가 소년들에 의해 바다가 아닌 산의 바위웅덩이로 옮겨지고 그 게들은 바닷물이 없이는 살 수 없다. 본성은 짠물에서 사는 것이기에 소금물이 없다면 살 수 없는데 소년들이 날마다 바닷물을 가져다 물을 바꾸어 주기에 그곳에서 소라게가 새끼를 낳을 수도 있었고 좀더 자라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인간은 어떨까. 신이치가 혹은 하루야가 혹은 나루미가 아빠나 엄마를 잃는다면 자신들의 손으로 결단을 내어 자신들의 기본 바탕을 없애버린다면 자신으로 존재할 수 있었을까. 소설은 그런 질문 또한 던지는 듯 하다. 요즘은 아니 일본 소설을 보다보면 이런 패륜의 소설도 많고 점점 엽기적이고 패륜을 저지르는 살인과 사고도 많다. 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그저 의식으로만 끝났다는 것 또한 이 소설은 많은 절제를 하고 있는 듯 하다. 두 소년과 나루미의 미묘한 심리묘사가 잘 묘사되고 전달되어 더욱 소설의 맛을 살려냈으며 그들의 의식속에 자리한 살인을 현실화 하지 않았기에 아픈 성장통으로 끝나버린 시간들, 그 나이는 누군가 밉다며 죽이고 싶고 해를 가하고 싶기도 한 나이다. 그것이 모두 현실이 될 수는 없다. 생각속에서 선을 갏아 먹고 악을 자라게 하는 게와 같은 종양을 키우지 않게 하기 위해 사춘기 딸들에게 좀더 잘해 주어야 할 듯,좀더 관심을 가져 주어야겠다고 느끼며 읽은 소설이다. 소설을 덮고 나니 <섀도우>가 더 읽고 싶어졌다. 다른 책들에서 펼쳐지는 미스터리를 빨리 맛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