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다락방 - 생생하게 꿈꾸면 이루어진다
이지성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정말 생생하게 꿈꾸면 이룰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난 '그렇다' 에 동그라미를 하고 싶다. 지난 연말에 내가 갖고 싶은 것은 '넷북' 이었다. 집에 컴퓨터가 두대 있지만 하나는 딸들이 쓰는 것이라 음악이 많이 저장되어 있어 녀석들의 입맛에 맞게 되어 있고 하나는 내가 쓰는 컴이지만 그 방은 여름엔 시원해서 좋지만 겨울엔 딱 북극처럼 춥다. 난방을 하지 않기에 컴을 사용하려면 준비물이 꼭 필요하다. 밖에서도 신지 않는 어그를 그 방에서는 가끔 신기도 하고 무릎담요에 히터 그리고 손가락이 없는 장갑은 필수이다. 그렇게 꼭꼭 껴입고 컴을 사용하다 보니 얼마 가지 않아 내 몸은 얼음처럼 차가워지고 딱 필요한것은 넷북이라는 생각에 이르렀고 남편은 그런 날 위해 생일날 노트북을 사주겠다며 알아 보고 있던 중이었다. 하지만 난 무언가 하면 될 것 같아 넷북이 걸린 이벤트에 응모하게 되었고 그 이벤트에 올려져 있는 넷북은 내것인양 낯설지 않았다. '이거 내가 탈것 같은데 기다려봐.' 그 말은 진실이 되고 말았다. 난 지금 그 넷북을 사용하고 있다.생생하게 꿈을 꾸기도 했지만 꿈을 꾸면서 노력했기에 내가 이룰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며 많은 생각이 들었다. 내가 이룬 사소한 '성공' 들은 책에 소개된 사람들과 이야기에는 미미하나 나로서는 정말 대단한, 그가 말한 공식에 들어 맞는 이야기들 이었음을 실감했다. 오래전 아이들이 어릴때 다니던 직장에서 '라이프 플랜' 이란 것을 세우게 되었다. 내 나이에 비추어 아이들과 남편의 나이까지 대입하여 그 나이에 어떤 꿈을 이룰 것인가 계획을 해 보았었다. 그땐 무심코 한 계획이었지만 어찌하다보니 내가 세원 계획들은 큰 단락으로는 맞아 들어가는 부분이 생기고 내 옆에 있는 사람들에게 '내가 생각했던 것들이 딱 이루어졌네.신기하다' 라고 했던 기억이 몇 번 있다. 그땐 그런 일이 정말 이루어질까 하는 의문에서 시작한 것이었지만 지나고 나니 '아하~~' 하게 된 라이프 플랜, 나의 한가지 남은 라이프 플랜이 내가 생각한 시기에 또 이루어진다면 난 자신있게 R=VD 라는 공식은 들어맞는다.라고 쌍수를 들고 박수를 칠 것이다. 

생생하게 꿈을 꾼다는 것은 꿈을 꾸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그 꿈을 향한 자신의 노력이 있기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노력이 없이 댓가가 그냥 주어지지는 않는 법이기에 그리 긴 시간을 살아오지 않았지만 나름 그들의 불굴의 의지와 굽히지 않는 노력과 땀의 댓가가 자신의 꿈을 현실화 하지 않았을까 생각을 해 본다. 나 또한 내가 생각한 라이프 플랜을 늘 생각하고 있지는 않았다고 해도 그 꿈을 향해 부던히 허리띠를 졸라매고 노력을 했다. 그렇게 하여 어느 시기에 집 평수를 늘리고 재산을 늘려가고 하나를 이루고 나니 그 다음에 이루어야 할 일은 더 쉽게 이루게 되기도 했다. 첫술에 태산을 만들고 태산을 움직일 수 없지만 많은 숟가락질에 태산을 만들 수도 있고 움직일 수도 있었음을 나 또한 작게나마 경험하고 나니 긍정적인 측면에서 재밌게 이 책을 읽게 되었다. 그렇다면 내가 지금부터 나의 롤모델로 삼아야 할 사람은 누구일까? 내가 생각한 삶의 방향을 제시해줄 인물을 나의 모델로 잡는 다면? 하는 생각을 하며 읽어 나갔다. 꿈을 시각화 하고 소리화 하고 세밀하게 그림으로 그려 놓거나 좀더 면밀하게 날마다 메모해 나간다면 꿈을 더 금방 이루게 될까. 이제부터 나도 따라해 봐야겠다. 한 예로 '태교' 도 이에 포함되지 않을까 생각해봤다. 딸들을 가지면서 24시간동안 음악과 책등 아이만을 위하여 생활하고 아이만을 위한 모든 좋은 것을 듣고 보고 말하고 먹고 했던 것들이 결코 헛되지 않았던 만큼 '꿈은 꾸면 이룰 수 있다' 는 말에 정말 공감한다.

얼마전에는 고3이 되는 큰딸에게 긍정적인 마인드로 자신에게 날마다 마법을 걸듯 말을 하라고 했는데 그 말들이 모두 이 책에 있지 않은가. 녀석의 꿈은 크고 아직 그 꿈을 향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 노력형이지만 결과가 결코 만족할 수 없어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녀석에게 아침마다 자신에게 마법의 주문을 외우듯 해보라고 했는데 녀석은 한결 밝아져 있었다. 그렇다면 마법을 걸고 있는 것일까, 아님 엄마의 말에 좀더 긍정적인 자세를 취하게 된 것일까. '내 상상력이 내 현실을 만들어낸다.' 성공의 마법을 건 사람들은 작게나마 성공을 맛 볼 것이고 실패의 주문을 걸며 '에이 그런게 어딨어.순전히 거짓말이야.' 라며 믿지 않는 다면 그사람은 실패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인생 또한 자신이 멈 먹는 방향으로 흘러 가는 것 같다. 물이 낮은 곳으로 흘러가듯 사람은 자신이 맘 먹은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어 있다. 그렇다면 모든 사람들이 모두 성공만 거두며 살아간다고 보아야 할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성공과 실패는 늘 동전의 양면처럼 있겠지만 부로 인한 성공을 거두었다면 그의 마지막 말처럼 '비록 지금은 성공의 꿈을 꾸더라도 나중에는 성자의 꿈을 꾸어라.' 라는 말처럼 '나눔' 을 실천할 수 있는 성자가 된다면 더할 수 없는 꿈을 이루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무안가 돌부리에 걸려 넘어졌다고 생각이 드는, 난 실패한 인생이라고 생각되는 이들이 읽으면 '희망' 을 건질 책이다. 성공에는 꼭 성공에 이르는 법칙이 있는 법이다. 성공이란 하늘에 그냥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무언가 성공을 위한 액션이 필요한 것이다. 복권을 사지 않고 복권에 당첨되길 바라지 말고 당장 복권부터 사는, 행동에 옮겨 본다면 언젠가는 자신이 복권에 당첨될 것이다. 그런 허황된 꿈을 꾸지는 말고 좀더 건전하고 성실한 꿈을 생생하게 꾸어 본다면 올해엔 뭔가 '희망' 을 건질 것이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말하고 그리고 기억한다면 자신의 뇌도 그에 맞게 조립이 되고 기억이 되어 꿈에 더 근접해지지 않을까. 거대한 꿈이 아니어도 무언가 희망을 건지고 싶다면 당장 자신에게 마법의 주문을 외어보라. ' 난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나도 올해에는 두가지 마법의 주문을 걸어 본다. 내가 원하는 희망과 큰딸의 희망을 날마다 주문을 외어봐야겠다. 그리고 연말에 정검해 보는 것이다. 생생히 꾼 꿈이 이루어졌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