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기전에 책에 소개된 사진들을 한번 쭉 펼쳐 보았다. 중세의 아름다움이 그대로 남아 있는 그러면서도 그 속에서 함께 한 사람들의 이야기와 역사가 한 눈에 펼쳐져 당장 그곳으로 달려 가고 싶게 만들었다. 현대를 살고 있지만 사진은 무언가 그 오래전의 이야기를 마구마구 쏟아 낼 것만 같은 예술과 오래된 역사가 느껴졌다. 작가의 책은 내겐 처음이다. <일생에 한번은 스페인을 만나라> 라는 책을 한동안 여기저기에서 보게 되고 한번 읽고 싶다는 생각에 기회를 잡을까 했어지만 스페인에 관한 책들은 한동안 많이 만나듯 하여 다음 기회로 미루고 있었다. 그러다 만나게 된 이 책은 정말 단한권에 동유럽을 모두 담아 놓은 듯한 내가 알지 못하거나 알찬 정보와 이야기들이 꽉 차 있어 여행서라기 보다는 동유럽의 문학과 역사서로 봐도 손색이 없을 만큼 내겐 무지함을 깨우쳐 주는 책이 되었다. 학창시절 내가 만난 카프카는 이해하기 힘들었다. 카프카의 <변신> 을 읽고 무척이나 심란함에 휩싸였던 시절이 있어고 그 뒤로 만난 <심판>은 <심판> 또한 어린 내가 이해하기엔 조금 부족했던 듯 싶었던 작품들이었고 언제 기회가 되면 그의 작품들을 다시 만나봐야겠다고 생각만 하고 있었지 아직 다시 접하게 되지 않았는데 이 책에서 카프카는 완전히 내게 각인을 시켜 주었다. 프라하는 카프카의 도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하는데 내가 가진 얄팍한 카프카에 대한 지식으로는 프라하를 받아 들이기 힘들었지만 한번 가보고 싶은 곳으로 그리고 카프카를 다시 읽어봐야 할 작가로 남게 만들기엔 충분했다. 여행은 그 단어 자체만으로도 흥분이고 설렘인데 그것도 중세의 고풍스런 건물들이 즐비하면서 문학과 음악 예술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아직도 그 시대의 음악과 문인들을 만날 것만 같은 그런 사진속의 동유럽은 정말 환희 그 자체였다.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을 읽지 않았기에 그가 전해주는 느낌만으로 충족해야 했지만 그가 도착하자마자 달려간 카를교의 야경은 사진만으로도 멋졌다. 퐁네프의 연인에서는 퐁네프의 다리를 보았다면 프라하에서는 카를교의 아름다움을 만났다.프라하성의 야경이 비추인 카를교의 야경은 백만불을 줘도 바꾸지 않는다고 하니 얼마나 대단한 자부심인가. 단지 난 사진으로 만족해야 했지만 말이다. 다리에 얽힌 전설도 재밌었지만 그 다리의 동쪽 여덟번째에 세워진 얀 네크무크 신부의 오성 동상은 정말 멋졌다. 그가 이 다리의 수호성인이 된 사연을 읽으며 보니 조금은 슬프기도 했지만 파란 하늘과 함께 하는 동상은 실제로 보고 싶다는 맘만 안겨주었다.이처럼 그냥 지나치면 모를 것들을 세세하게 역사와 전설 그리고 예술을 곁들여 함께 조목조목 설명해 놓았으니 여행서라기 보다는 프라하의 역사서를 만나는 느낌도 든다. ’혼자 꾸는 꿈은 꿈이지만 함께 꾸는 꿈은 현실이 된다’ 라는 오노요코의 말처럼 존 레논과 오노요코에 관한 이야기등 그냥 지나치지 못하도록 발목을 잡는 이야기들을 따라 함께 주위를 여행하는 기분은 핫쵸코라도 한잔 손에 들어야 할 것만 같다.세계사 시간에나 접했을 법한 역사 이야기와 함께 인물이나 건물 그리고 그림등에 얽힌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여행서가 아닌 역사서란 착각이 들정도로 집중하게 만든다. 체코가 사랑하는 인물에는 오랜 역사속을 거슬러 올라가 만날 수 있는 '카를 4세' 에서 잘알지 못했던 '얀 후스' 와 아픔 또한 잊지 않고 새겨 놓아 기억하게 만드는 곳이며 그곳에서 만나는 사람들과의 새로운 동행은 자연스럽게 여행의 묘미인 아삭한 샐러드처럼 곁들여져 역사서가 아닌 여행서임을 자각하게 해준다. 이 책에서 무엇보다 깊게 각인된 것은 '카프카' 이다. 그를 기억할 수 있는 곳이 무려 서른여덟 군데나 있다니 프라하는 정말 카프카의 도시라고 할 수 있을 듯 하고 프라하라는 말이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 그 유래를 읽다보니 그저 '프라하..프라하' 하면서 왠지 모를 동경의 도시로 생각하던 것이 새롭게 다가왔다. '문지방' 이라는 이름의 도시 프라하에 얽힌 전설을 읽다보니 무척 재밌다. 그냥 프라하를 여행하게 된다면 이런 역사를 어디에서 듣게 될까. 미리 그의 여행서로 '동유럽, 프라하' 를 맛보기 해 놓는다면 좀더 편하게 여행을 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가져봤다. 카프카의 일생과 그의 생 후의 이야기들에 얽힌 프라하는 정말 일생에 꼭 한번은 가봐야 할 것 같다. 예술이 넘치고 독일인보다 더 맥주를 사랑하고 많이 마시는 도시 프라하와 그외 도시에 얽힌 이야기들은 다른 여행서에서는 느끼지 못한 '예술' 이 느껴지고 '역사' 가 손에 잡힌다. 단지 여행의 목적이 '여행' 이나 기타 '먹거리' 나 '유희' 가 아닌 역사를 만나고 예술을 만나서인지 책을 손에서 놓을 때는 예술역사기행을 한것처럼 여행이 아닌 역사 속을 거닐다 온것 같은 기분이 드는 책이다. 그만큼 내용도 알차고 작가가 전해주려는 많은 이야기가 알차게 꽉 차 있으면서 사진을 보면 가고 싶게 만든다. 풀란드의 이야기는 창비의 <신사 숙녀 여러분,가스실로> 라는 단편집에서 만났던 생생한 이야기들의 행간을 읽는 것 같아 마음이 아팠다. '일생에 한번은 동유럽을 만나라' 라는 제목처럼 작가는 그야말로 동유럽을 만날 수 있게 모든 것을 환희 보여준다. 자신의 여행이야기는 잠깐씩 에피타이저처럼 등장시키면서 여행지에서 놓치기 쉬운 역사나 건물에 얽힌 인물이나 역사 이야기등 그야말로 동유럽의 굵직한 것들을 전설이나 음악 문학 영화등 모든 방면에서 그곳을 느끼게 해준다. 중세도시에서 그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채 역사를 지키며 살아가는 동유럽의 현대를 만나고 온 것처럼 잠시 동유럽의 풍미를 깊게 느낄 수 있는 여행서이다. 이런곳을 가지 못할 봐엔 이렇게 깊게 느낄 수 있는 여행서로 한동안의 갈증을 해갈하는 것도 또하나의 간접여행의 재미다. 그런면에서 책은 많은 것을 느끼고 보여 주었으니 가끔 동유럽을 느끼고 싶다면 다시 꺼내어 봐도 좋을 책이고 카프카를 알고 싶다면 카프카 편을 다시 읽어봐도 좋을 듯 하다. 이 책을 놓으며 한가지 '카프카 다시 읽기' 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가져보며 문학적 음악적 미술사적 역사적 많은 이야기를 들려준 그의 스페인 이야기도 만나보고 싶어졌다. 그리고 아직 읽지 않은 밀란 쿤데라의 작품들도 읽어보면 좀더 책의 여운을 오래 느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