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영의 수도원 기행
공지영 지음 / 오픈하우스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우리는 가둠으로써 제일 큰 것을 얻은 거예요. .. 세상의 작은 것들을 버리고 제일 큰 것을 얻었으니 더 바랄 게 없지요. 처음 불란서에 와서 이 수도원 저 수도원을 다녀보다가 이곳에 오게 됐어요... 제가 소개를 받아 이곳에 도착하지 전날 한 수녀님이 돌아겼는가 봐요. 장례미사를 드리는데 참석했다가 돌아가신 그 분의 얼굴을 뵙게 되었죠. 관 속에 들어가 계신 그 늙은 수녀님의 얼굴이 얼마나 아름답던지, 바로 원장수녀님께 면회를 신청했어요. 그러고는 말씀 드렸죠. 제발 여기서 죽게 해주세요.. 그때 원장수녀님이 웃으시며 말씀하셨어요. 그래요 좋아요. 하지만 지금 당장 죽는 건 안 돼요.' 이 부분을 읽으며 얼마나 눈물이 나던지, 지난 달에 소풍을 떠나신 아버지가 생각나 한참을 울었다. 편않게 주무시듯 하시던 아버지의 모습이 이 글과 오버랩 되어 책을 덮고 한참을 울었다. 창살로 막힌 곳에서 갇혀 지내면서도 아이처럼 행복한 미소를 짓는 노수녀님들의 얼굴에서 행복을 얻을 수 있었던 아르정탱 수녀원 이야기는 여고시절 기억도 떠오르게 했다.

꿈 많은 여고시절, 내가 다니던 학교는 천주교학교였다. 원장수녀님이 연세가 있으신데 정말 꽃처럼 고아서 모두의 선망의 대상이었으며 종교담당을 하는 도서관 수녀님은 얼마나 해박하신지 걸어다니는 '백과사전' 이었고 미술수녀님은 또 얼마나 유머있고 재밌으셨는지 모른다. 내가 알던 종교와 수녀님에 대한 생각은 그 시절에 모두 바뀌고 말았다. 그렇다고 내가 천주교 신자도 아니었고 종교를 가지고 있지도 않았다. 그렇다고 종교를 부정하지도 않았고 수녀님이라는 거리감 보다는 그들도 '여자이고 인간' 으로 보게 되었다. 그시절에 수녀님들을 통해 갇힌 생활에 대하여 남들보다 좀더 많이 듣게 되고 '믿음' 에 대하여 다른 눈을 가지게 된 듯 하다. 좀더 폭 넓게 모든 것을 아우르게 된 것이다. 그래서였을까 '수도원 기행' 은 좀더 그 시절을 떠오르게 하여 잔잔한 감동으로 읽게 되었다.
유럽의 수도원은 중세 건물들로 그림과 같기도 하고 무척 아름다웠다. 그렇다고 그속에 갇혀 있다고 하여 결코 그들이 불행한 삶은 사는 것은 아니기에, 그들이 선택한 오롯한 삶을 살고 있기에 더 경건하게 읽을 수 있었다.

수도원이나 성당을 가면 괜히 경건해지고 숙연해진다. 여고시절에도 종교시간에 성당에 가면 죄를 짓지 않았는데 괜히 무겁게 무언가 고해성사를 해야 할것만 같은 불안함이 엄습해 오기도 했다. 그곳이 다른 곳이 아닌 신을 모시고 신앙생활을 하는 곳이라 좀더 다르게 느껴졌을 것이다. 그런 곳을 여행한다는 것은 어쩌면 자신을 비우고 다른 모습의 자신으로 채우는 일인지도 모른다. 자신안에 채증처럼 쌓여 있던 것들을 18년 만에 놓아 버리듯 하면서 새로운 자신으로 채워 나가는 모습이 잔잔하니 '나도 그런 여행 하고 싶다' 라는 여운을 남겨 주었다. 세상과는 어느정도 거리가 있는 곳이라 더 들여다 보고 싶은 마음도 있고 자신 안에 발견되지 않은 믿음을 발견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가져본게 한다.

여행은 어쩌면 '다른 사람과의 만남' 이다. 익숙한 것을 떠나서 낯선 것과의 만남이 여행이라지만 익숙한 사람들을 떠나 낯선 사람에게서 새로운 '따듯함' 을 얻을 수 있는, 얻고 오는 것이 여행이 아닌가 한다. 수도원 기행이지만 수도원에 있는 그와 관계된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새로운 삶을 통해 나 자신의 현재를 다시 들여다 볼 수 있음이 아니었나 한다. 여행에 많은 도움을 주신분들, 생각지도 못했던 아님 그에게 가졌던 고정관념이 여행으로 인해 무너져 내리고 새로운 인물을 담을 수 있음도 여행인듯 하다. 한 분 한 분 수도원에서 만난 분들은 비록 갇힌 인생을 선택했지만 자신들의 '최고의 안식처' 를 찾은 듯 행복해 보였다. 욕심을 부리며 현대 문명속에서 산다고 모두가 행복은 아닐 것이다. 어쩌면 자신을 비우며 자신을 낮출때 비로소 여유의 미소를 지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꽃은 곧 시들어 버릴 것이라 언제나 마음속에서 아름답고 사람은 짧게 스쳐갈수록 오래도록 기억이 나는 것인지... 아름다운 풍경과 거기서 만난 사람들 때문에 다시 꼭 찾아가고 싶은 곳, 프리부... 그러고 보니 이제껏 세 번의 유럽 여행이 헛것이었는지도 모른다, 는 생각이 들었다. 그곳을 여행하면서 나는 한 번도 '사람들' 을 만난 일이 없었다. 그러니까 내가 본 것은 사람 없는 풍경과 역무원들과 장사꾼들뿐, 사람은 없었다. 나는 이번 여행에서 비로소 '사람들'을 만나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진정한 이야기에 귀 기울였기에 그 속에서 '나' 를 만날 수 있었던 것이다. 중세의 아름답거나 고풍스러운 수도원과 진솔한 수도자들의 이야기가 있었기에 그리고 자신의 속내를 숨김없이 글 속에 담아 냈기에 그녀와  함께 여행하는 기분이 들었다. 다친 달팽이를 도와주지 말고 그냥 놔두라는 말처럼 타인에 의해서가 아닌 자신 스스로 단단해 지고 있는 노수녀님들이 이야기는 뭉클하면서도 처연해진다.하지만 그 길이 다른 길이 아닌 '믿음' 을 향한 길이기에 아름다워 보인다. 그들을 통해 자신과 타협하듯 하는 작가, 어쩌면 독자에게도 자신을 좀더 비울 기회를 주는 여행서인지도 모른다. 갑자기 이 책을 읽으면서 여고시절 친구들과 수녀님들과 함께 했던 그 성당에 가고 싶어졌다. 추억은 빛 바래서 가물가물 하지만 그 곳에 가서 앉아 있으면 지난날의 내 자신과 조우할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