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과 노니는 집 - 제9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ㅣ 보름달문고 30
이영서 지음, 김동성 그림 / 문학동네 / 2009년 1월
'서유당(書遊堂)...... 책과 노니는 집? 홍교리 집 사랑채를 나서며 장이는 문 위의 현판을 읽어 내렸다. '서유당(書遊堂)' 이라는 현판 글자가 장이의 머릿속에서 즐겁게 노닐었다. 필서를 하던 아버지가 고심 고심하던 끝에 지은 이름 '문장' 그랬다. 이름처럼 아버지는 그의 운명을 이미 예측이나 한듯이 이름 또한 그에 걸맞게 지어주셨다. 그런 아버지가 한참 '천주교쟁이' 라고 하여 '천주교박해' 가 심하던 때에 필서를 하던 책 속에 그런 책이 있었다는 이유로 관가에 끌려가 훔씬 매를 맞고 와서는 장독이 풀리지 않아 장이만 혼자 남겨 놓고 죽게 되었다. 아버지가 죽기 얼마 전, '어서 쾌차하게, 미안하고 부끄럽네. - 서(西)' 라는 편지와 함께 얼마간의 돈이 마루위에 놓였다. 서西 라는 의미가 무엇일까 궁금했던 장이 앞에 아버지가 필서를 하던 책방 주인인 최 서쾌가 나타나고 아버지는 그를 기다렸다는 듯이 장이를 그에게 부탁을 하고 그만 먼저 가고 말았다.
어려서부터 아버지 옆에서 늘 보던 것이 글 읽는 것이요 필서를 하는 것이요. 장이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아버지가 만들어 주고 가신 것이다. 천주교박해가 한번 휩쓸고 나고 난 후 최 서쾌는 아들의 약방 한귀퉁이에 다시 책방을 차려 예전과 같은 호황을 맞게 되었고 아들이 번창하여 다른 곳이로 나가고 그는 그 자리에 번듯하게 책방을 내게 된 것이다. 책방에서 심부름을 도맡아 하는 장이, 그가 자주 가는 곳은 기녀들의 분냄새가 어머니를 생각나게 하는 '도리원' 과 '홍교리댁' 이다. 도리원에는 '미적' 이라는 정말 선녀처럼 아름다운 기녀가 있고 그녀의 마음씨 또한 너무도 고아서 불쌍한 사람을 그냥 지나치질 못한다. 그녀에게 언문으로 필사한 책들을 심부름 가다가 그곳에 딸만 내리낳다가 남동생을 보게 된 집의 딸인 낙심이가 남동생 돌잔치비를 마련하기 위하여 팔려와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녀를 동생처럼 여기게 되지만 낙심은 장이에게 통통 삐치기도 잘하지만 점점 장이의 마음을 헤아려주는 사이가 된다.
한편 장이가 '꿈' 처럼 여기는 책장을 가지고 있는 홍교리댁에 귀한 것을 전해주라는 심부름을 이행하던 그는 가던 길에 귀한 것이 무엇인가 보다가 날랜 허궁제비에게 상아찌를 빼앗기고 만다. 허궁제비는 그에게 닷전이 돈을 가져오면 '상아찌'를 돌려주겠다고 하고 그에겐 한푼의 돈도 없고, 진퇴양난의 상황에서 장이는 슬기롭게 위기를 묘면하기 위하여 혼자서 끙끙거리며 돈을 마련하느라 노력하지만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다 마련하지 못한 돈, 하지만 중간에서 낙심이가 그 이야기를 전해 듣고 도리원 청지기 아저씨에게 고해바쳐 그 일이 알려지게 되고 허궁제비도 붙잡히고 그는 그 일에서 벗어나게 된다. 하지만 장이는 홍교리댁에 전해주던 책들이 '천주교와 관련된 西책' 임을 알게 된다. 아버지가 천주교와 관련하여 죽게 되었기 때문에 점점 장이는 자신이 좋아하고 마음의 기둥처럼 생각하는 홍교리가 천주교 책을 본다는 것을 걱정하게 된다.
언문은 쉽고 재밌게 생각하는 장이는 어느날 홍교리에게 한문으로 된 <논어>나 <맹자>와 같은 책이 재밌는지 묻는다. ' 어렵고 재미없어도 걱정 마라. 네가 아둔해서 그런 것이 아니니. 어려운 글도 반복해 읽고, 살면서 그 뜻을 헤아려 조면 ' 아, 그게 이 뜻이었구나' 하며 무릎을 치는 날이 올 것이다. 그때는 어려운 책의 깊고 담백한 맛을 알게 되지.' 최 서쾌 어른이 책거리 삼아 장이를 데리고 가서 사주었던 '닭곰탕집' 에서 먹었던 음식에서 나던 맛이 책에서도 날까? 하는 장이에게 홍교리 어른은 그를 눈여겨 보았다가 필사를 할 수 있는 기회도 주고 그의 인생의 롤모델처럼 생각하게 된다. 장이의 아버지에겐 필서란 '우리에겐 밥이 될 이야기. 누군가에겐 동무가 될 이야기, 그리고 또 나중에 우리 부자에게 손바닥만 한 책방을 열어 줄 이야기를 썼지.' 그랬다 아버지의 꿈은 배오개고개에 작은 집을 장이의 손을 잡고 가서 책방을 하면 안성맞춤인 집이라며 보여주었던 것이다.그 집을 장만하고 싶어하던 아버지는 천주교를 믿은것도 아니고 책을 읽은것도 아닌데 그 책을 필사했다는 이유로 매를 맞고 장독이 올라 죽게 된 것이다.
그런데 어느날 다시 불어닥친 폭풍, 천주교인들을 찾아 잡아 들이는 소동이 일어난 것이다. 책방 주인인 최 서쾌 아저씨는 바쁘게 달아나며 그에게 마포나루로 오라 했지만 장이는 홍교리댁에서 보았던 '동東'자가 써진 책 속에 천주교 책이 들어 있던 것을 기억해 내고는 그집으로 달려가 책장앞에 이르러 책을 찾지만 쉽지 않다. 집안 하인들을 그를 끌어내려 하고 장이는 안주인에게 비밀이야기를 전하고는 장이와 함께 '東' 자가 써진 책들을 모두 찾아 불태우고 만다. 장이 덕분에 위기를 가까스로 모면한 홍교리 덕분에 무사히 최 서쾌 어른고 함께 위기를 묘면하게 된 장이, 멀리 피신해 있는 그에게 어느날 최 서쾌가 찾아와 그에게 아버지가 그토록 사고 싶어하던 배오개 집으로 데려가고 홍교리는 장이가 천주교 박해로 도리원 또한 피해를 입는 장면을 목격하면서 걱정하던 낙심이를 데리고 나타나 한시름 놓게 한다. 장이, 그가 꿈꾸던 '서유당(書遊堂)', 아버지가 꿈 꾸던 책방이며 장이가 꿈 꾸던 '책과 노니는 집' 은 홍교리가 언문으로 현판까지 써와 그의 꿈을 이루게 되었다.
이 책은 천주교 박해와 더불어 영 정조시대의 역사를 볼 수 있어 더욱 재밌다. 지금처럼 인쇄술이 발달하지 않아 많이 있던 '필사' 를 하던 사람들이며 장마다 돌아다니며 책을 읽어주던 '전기수' 이야기며 언문책을 보며 즐거워 하는 규방의 이야기며 그와 맞물려 '서책과 서학' 이라 하여 멀리 하게 하던 '천주교' 와 관한 이야기가 있어 재밌는 이야기로 발전을 하는데 거기에 '장이와 낙심' 이의 황순원 소나기처럼 애틋한 '사랑 감정' 이 깃들여져 더욱 재밌다. 역사로 끝나지 않고 서민이면서 출생이 확실하지 않은 장이가 아버지를 만나게 되는 사연과 아버지를 만나 글을 깨우치고 옆에서 글을 쓰게 되면서 자연적으로 배운게 도둑질이 아닌 필사를 하면서 자신의 꿈을 키워 나가는 강인함이 그 시대의 이야기와 맞물려 재밋게 어우러진 한 편의 감동 진한 동화이다.책 속에 등장하는 '장서가 이면서 애서가' 인 홍교리는 나 또한 부럽다. '책과 노니는 집인 서유당' 은 현재의 우리들이 꿈 꾸는 집이기도 할 것이다. 나 또한 그런 집이 되게 하기 위하여 늘 책과 함께 하려고 하지만 늘 부족한듯 하면서도 넘쳐나는 책들에 즐거운 비명라도 지르고 싶은 요즘인데 '책과 노니는 집' 의 장이를 통해 좀더 책을 사랑하고 책과 함께 해야겠다는 생각을 더욱 갖게 되었다.
천주교박해와 필사 이야기가 겹치니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의 한 갈래를 보는 듯 하기도 하고 한승원의 <흑산도 가는 길> 처럼 천주교 박해의 직격탄을 맞은 '정약용형제' 이야기를 만나는 듯도 하다. 서민이면서 글을 깨우치고 쓸 줄 아는 장이에겐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꿈인 '책방' 을 갖는것이므로 서민이 그런 꿈을 이룬다는 것은 어쩌면 신분상승과 같은 이야기이겠지만 한편으로는 장이와 같은 이들이 있었기에 우리의 문화와 역사가 더 발전하고 지켜질 수 있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가져보기 한다. 정말 강단진 장이 때문에 책을 읽으며 괜히 뿌듯함에 가슴이 따듯해졌던 어린이문학대상 책이었다. 어린이 뿐만이 아니라 어른이 읽어도 정말 재밌는 책이며 내게도 꿈을 가지게 만드는 책이었다. 더불어 소년과 소녀의 애틋함이 잘 이루어지게 되어 미소를 짓게 만들면서 천주교박해를 피해 모두가 안전하게 자신만의 삶으로 당당하게 돌아올 수 있어 흐믓했으며 양반과 서민의 격이 없는 이야기라 더 좋았다. 그 시대의 역사와 문화가 장이의 눈으로 장이의 꿈으로 장이의 사랑으로 잘 버무러져 정말 맛깔란 소설로 탄생한 책이다. 더불어 책 속의 그림 또한 동양화를 공부한 분이라 그런지 차분하면서도 안정적이 그림이라 참 좋았다. 어린이소설이 이렇게 역사와 만나도 정말 좋은 작품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것이 희망을 보여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