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하성란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사인가 아마조네스인가 간통한 자들인가.비밀스러운 집단 A의 꿈과 욕망, 그리고 추락!
책날개에 있는 문구가 '뭐지?' 하게 만든다. 하성란이란 작가는 <삿뽀르 여인숙> 이란 책을 구매해 놓았지만 아직 읽지를 않아서 작가에 대한 것이 내겐 아무것도 없다. 이 책으로 그녀를 탐하고 싶었는데 책을 읽어나가면서 '어. 이건 아닌데' 하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추리물일까 아님 실화를 배경으로 한 그냥 장편소설인가 하는 생각을 가지다 그래도 결말엔 무언가 있겠지 하다가 책을 다 읽고 나선 씁쓸함을 어쩌지 못했다. 작가의 첫 만남이었는데 내가 원하는 맛이 아니다.

이야기는 오대양(주) 사건을 다루고 있다. 주홍글씨의 A처럼 발신인을 밝히지 않고 그냥 A라고만 적혀서 보내 온 편지, 그 뒤에는 24명의 여자들이 뒤엉키듯 죽어 있던 신신양회 사건이 다루어진다. 아버지가 없이 오로지 아마조네스처럼 여자들만의 나라처럼 엄마와 이모들로 이루어졌던 집단이 자살인지 타살인지 모르게 모두 다 죽게 되고 그 자리에서 살아 남은 단 한명은 실명의 상태라 아무것도 모른다. 결정적인 순간을 저장하지 못하는 그녀가 기억하는 것은 그녀를 향하던 손, '이 냄새다. 밭에 뿌려 놓은 분뇨라 웅덩이에 고여 썩어가는 오수냄새, 풀숲 건너에서 짐승의 사체가 부패하며 내는 냄새, 단맛이 들어가는 과일향 사이사이로 내 후각은 대번에 이 냄새를 가려냈다.' 라는 처음은 좋았다. 하지만 이야기가 이어질 수록 난해함과 사건이 이어지지 않고 잡설이 길어지는 듯한 우왕좌왕 하는 느낌, 나만 그런가 하면서 읽어 나갔지만 내겐 정말 모를 소설이다.

그렇다고 이야기가 어려운 것도 아니다. 아버지가 밝혀지지 않은 신신양회의 '엄마와 이모'에게서 태어났던 아이들은 그녀들이 집단자살을 하고 다시금 모이게 된다. 사회에 나가 그녀들은 자신들의 '엄마와 이모' 들이 저질렀던 '남자사냥' 처럼 아버지가 아닌 아버지의 우수한 정자를 원한다. 그런 그녀들이 하나 둘 임신을 하고 다시금 그들이 태어났던 어머니의 자궁과 같은 그곳에 모여 다시금 자신들의 엄마와 이모가 '신신양회' 라는 공장을 세워 그곳을 부흥시켰던 것처럼 그들 또한 어머니의 대를 이어 아버지가 없는 아이를 키우며 공장을 다시 살려낸다. 그 공장을 다시 살려낸 장본인은 다른 아닌 여자가 아닌 그 시대 여자아이들과 함께 태어난 남자아이, 하지만 그는 자신의 아버지를 찾았고 그 아버지는 막강한 부를 가진 자이다. 아버지를 이용하여 자신 또한 자신들의 엄마와 이모가 저질렀던 과오를 되살리는 그들, 그들의 미래는?

남자를 찾아나서기 위하여 자신들이 편지에 썼던 'A' 라는 글자는 자신들의 과거사를 밝혀내는 'A' 로 다시금 자신들에게 돌아온다. 종교집단인지 정말 아마조네스인지 밝혀지지 않은 그들에게 'A'  란 무엇이고 책을 읽는 독자가 느껴야 할 'A' 란 무엇일까? 소설이 좀더 다듬어지고 매끄럽게 이어졌거나 아님 완벽한 미스터리 추리물로 가려고 했다면 그 길로 오롯이 가던가 했다면 멋진 소설로 거듭날 수 있었을텐데 소설은 그렇지 않다. 작가의 잡설이 너무 많이 끼어 들고 독자 또한 충분히 알 수 있는 이야기들이 사족처럼 너무 많이 끼어 있어 난잡한 소설이 되고 말았다. 내가 읽고 뱉어낸 한마디는 '에이, 괜히 읽었어.' 어쩔 수 없다. 내 감정은.

자음과 모음의 책은 몇 권 읽지 않았지만 다른 소설보다는 좀더 '실험적' 인 소설들이 많다. 읽고 나서 후회한 책이 몇 권 있다. 이게 소설일까 이걸 책이라 해야 하나.. 하며 읽었던 기억이 몇 권 있는데 이 또한 그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소설이 되었다는 것이 아쉽다. 그것도 '하성란' 이란 작가는 내겐 처음이었는데 첫만남이 너무 반감을 가지게 만들었다. 그렇다고 그의 다른 책을 읽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지만 좀더 다듬어지고 독자가 반한 만한 '추리물' 아님 다른 장르의 소설을 내 놓을 수도 있었는데 너무 서둘러 내 놓은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아버지 없이 자란 아이들, 누군가를 아빠라고 불러본 적이 없는 아이들에게 아버지라는 호칭이 상실이나 금기를 뜻한다면 신신양회집 아이들에게 아버지란 아예 존재하지도 않는 단어였다. 모든 단어들이 관계 속에서 태어나 '아버지'는 '어머니', '어머니' 라는 단어는 '아버지' 가 있어 힘을 얻게 되지만, 우리들에게 엄마, 어머니란 단어는 없었다.' 신신양회 아이들에게 아버지란 단어가 없듯이 이 소설엔 무언가 알맹이가 빠진 느낌이 든다. 어느 한부분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