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을 많이 듣는 편인데도 클래식 하면 정말 어렵게만 느껴지고 음악가들에 대한 이야기는 들어도 들어도 까먹는것을 보면 대중가요보다는 관심이 덜한듯 하다. 대중가요는 어떤 노래들은 한번만 들어도 ’아..’ 하고 그 노래를 알거나 가사를 알기도 하는데 클래식은 제목부터 해서 작곡가라든지 시기며 그외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에 한번 더 기죽고 들어간다. 하지만 고집스럽게 좋아하는 음악가도 물론 있다. '라흐마니노프' 의 피아노협주곡은 얼마나 좋아하는지 허밍으로 곧잘 따라하기도 하는데 그런것을 보면 낯선듯 하면서도 익숙하지만 자주 듣지 않거나 즐겨 듣지 않아서 가진 편견같은 아닌가 생각을 해 본다. 음악가들의 사생활에 대한 영화로는 '아마데우스' 와 '카핑 베토벤' 에서 숨겨진 그들의 이야기를 좀더 만날 수 있어 천재적인 면보다는 '인간적인' 그들도 한 인간으로 돈이 없어 고심을 하고 베토벤 같은 경우에는 있는 돈을 잘 쓰기 위하여 가계부를 쓰기도 했다는 것을 알 수도 있다.이 책은 그런 사소한 것들에 좀더 귀기울인 '인간적' 이거나 아님 우리가 아는것 같으면서도 그냥 지나쳐 버렸던 이야기들을 그녀의 심도 있는 지식으로 다루어 주어 좀더 클래식에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준 것 같다. 변성기를 맞아 성가대로부터 쫒겨 프리랜서가 된 하이든, 그래서였을까 좀더 음악에 성실해 질 수 있어 수백 곡의 음악을 작곡하게 되었으며 친구를 기다리다 친구가 없는 집에서 우연히 읽게 된 시로 너무도 아름다운 곡 <겨울 나그네> 을 만들어 내기도 한 슈베르트, 지금의 시대엔 생각할 수도 없는 이야기지만 그래서 더 그들의 음악이 가깝고도 아름답게 느껴지기도 하다. 음악과 음악에 대한 숨겨져 있어 빛을 발하지 못하던 이야기들이나 그녀만의 감성을 깃들여 정리를 해 놓은 클래식에 대한 이야기는 마음에 드는 부분은 꼭 밑줄을 그어가며 읽고 다음에 꼭 한 번 더 읽어보고 싶게 만드는 클래식에 대한 지적수준도 높일 수 있는 다양함이 있어 재밌게 읽을 수 있다. 이야기 한부분을 마치고 나면 '유정아의 클래식노트' 라고 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쏙쏙 간추려 놓아 우등생들의 클래식 노트를 살짝 훔쳐 보는 느낌을 갖게도 한다. 클래식에 대한 이야기 뿐만이 아니라 음악과 인생에 대한 이야기도 살짝 곁들여 놓아 음악이나 인생이나 흘러가는 것이란 것을 알 수 있다. ' 사람들은 서로에게 가 닿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스쳐 지나갈 뿐이다.' 몇 몇 음악가나 음악들은 익히 아는 것들도 있지만 들어보지 못했거나 혹은 처음 들어보는 이름의 음악가나 음악에 대한 이야기들도 있어 집중을 하고 읽다보면 그녀가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듣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든다. 시간이 언제 흘러 가는지 모르게 지나가는 클래식의 사생활은 그 모든 이야기를 모두 기억하려 하기 보다는 좀더 클래식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알지 못했던 부분들은 좀더 익숙하고 친숙하게 해 주었으며 한번더 짚고 넘어가는 부분인 '유정아의 클래식노트' 가 있어 정리를 해 주니 클래식에 대한 알짜 에세이인지도 모른다. 바이올리니스트 바담 레핀이 베토벤의 콘체르트 D 장조 op.61을 녹음하며 한 말이 인상적이다. ' 음반은 자신의 것으로 남는 기록물이지만 그건 그 당시의 견해를 담고 있을 뿐이죠. 그 순간의 진실일 뿐입니다.' 자신이 오랜 세월을 걸려 좀더 그 음악에 대한 이해의 폭이 커졌을 때 비로소 녹음을 하는 그 프로정신, 요즘 흔하게 일어나는 '표절' 이라는 것에 깊은 생각을 갖게도 해준다. 이렇듯 클래식의 어느 한 부분에 국한된 것이 아닌 음악가나 음악에 대한 이야기 혹은 그 음악을 다루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재밌게 다루어주어 무료하지 않게 읽을 수 있는 클래식의 오찬과도 같은 이야기였다. 클래식의 사생활에 올려진 디저트 같은 책인 히라노 게이치로의 <장송>이나 전성태의 <늑대> 같은 소설은 한번쯤 읽어보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