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제1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김중혁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목표한 것이 <문학동네> 소설상을 받은 작가들의 작품을 읽는 것이며 지금도 그들의 책에 주목하고 있다. 내가 주로 읽는 것은 문학이고 소설인데 우리 문학을 짊어지고 나갈 젊은 작가들에는 인색했던것 같기도 하고 풋풋한 그들의 '창의력' 이 조금은 등한시된 듯 하여 좀더 '젊은작가' 에 관심을 기울이기로 했다. 그렇게 만나게 된 작가가 '천명관' '편혜영' '안보윤' '천운영' '김숨' 등 둘러보니 읽어야 할 작가들의 작품이 너무도 많았다. 어찌보면 출판사의 전략도 있는데 일본소설은 쉽고 더 많이 접할 수 있는 반면에 우리젊은 작가들은 한발 뒤로 물러나 아직 햇빛을 기다리고 있는 작가들이 많은듯 하다. 그들을 만난다는 것은 우리 문학의 미래를 만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 책에는 7인의 젊은 작가들의 작품이 실려 있다. 김중혁,편혜영,이장욱,배명훈,김미월,정소현,김성중.그중에 내가 알고 있는 작가로는 편혜영과 배명훈이다. 편혜영은 <재와 빨강>을 구매를 해 놓고 아직 읽지를 못했다. 반면에 배명훈은 그의 작품 <타워>를 알고 있는데 아직 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니 다른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모두다 생소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풋풋한 새싹과 같은 작가들의 작품을 읽는다는 것은 무언가 때가 덜 묻은 세상을 만나는 것과 같은 기분이 들었고 <문학동네>에서 좋은 취지에서 마련한 상인듯 하여 나름 뿌듯하기도 했다.누군가는 그들을 '양지' 로 나오게 하여 좀더 밝은 빛을 보게 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의 미래인 것이다.

대상 김중혁의 <1F/B1>은 정말 기발한 상상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어찌 그런 생각을 했을까.역시 젊은작가답다고 해야 하나, 계단 층계참에 쓰인 표지판을 보고 그런 생각을 가졌다는 것이 참신하다. 그리고 그 글씨로 유추해낸 것이 너무도 기막혀서 한참 웃었다. 그의 창작노트를 살짝 들여다 보니 '장편용' 과 '단편용' 노트 두권을 쓴다고 하는데 '단편을 쓸땐 즐겁게 쓰려고 한다. 즐겁지 않으면 모든 것들이 무슨 소용인가 싶다.' 라는 말이 있었다. 공감이다. 우선적으로 글쓰기는 자신에게 즐거움이거나 남이 읽어서 즐거움을 준다면 더없이 좋은듯 하다.읽을 것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읽어서 스트레스를 주는 글보다는 즐거움을 준다면 독서의 즐거움에 하나를 더 추가해 주는 것이다. '표지판 속에서 'FBI' 라는 단어가 보였다. 그럼 이 모든 사건이 FBI의 음모였단 말인가' 라는 말에 그만 참고 있던 웃음이 한방에 터져 버렸다. 홈세이프빌딩을 비롯하여 주변에 불이 모두 나간것은 '거대한 음모' 가 숨어 있기는 하나 계단참의 표지판을 보고 FBI의 음모나 층과 층 사이,인간과 인간 사이에도 무언가 우리가 발견하지 못하는 틈이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듯 하여 마지막에는 조금 씁쓸하기도 했지만 그가 그려낸 사건은 재미있었다.생각의 반전을 가져다주는 그의 기발함이 빛을 발했던 작품이다.

편혜영의 <저녁의 구애> 아직 그녀를 사랑하는지 아님 헤어져야 하는지 구분을 하지 못한 남자,그런 그가 친구에게 사회에서 은혜를 입은 이의 죽음이 입박하다며 꽃집을 하는 그에게 '화한' 을 부탁한다. 하지만 그날 저녁엔 그녀와 만나기로 약속을 하였는데 화한을 가져갔지만 그는 아직 세상을 하직하고 않았고 김은 어쩔 줄 몰라 그가 죽기를 기다리는 지루한 시간에 그녀와의 통화를 한다. 그녀와 헤어져야 겠다고 생각을 굳히는 그가 죽음앞에서의 긴 기다림에 지쳐갈 즈음 자신의 앞에서 교통사고로 인하여 차에 불이나는 장면을 목격하고는 자신도 모르게 그녀에게 '구애의 전화' 를 하고 만다. 자신의 진심이었을까.낯선 곳의 장례식장에서 죽음을 맞닥뜨리고 이별을 선고하려던 그가 갑자기 선택해야 했던 살고자 하는 욕망의 구애, 자신의 앞에서 자신의 머뭇거림의 분신처럼 타오르는던 '조등' 을 보고 그가 느낀 진심은 어쩌면 좀더 안늑한 일상에 안주하려는 우리 본심인지도 모른다. 이 작품을 계기로 그녀의 <재와 빨강>이 더 읽고 싶어졌다.

이장욱의 <변희봉> 이혼을 하고 아버지를 떠나보내고 그가 선택한 것은 새삼스럽게 '연기' 였다. 그의 눈에 요즘 들어 자주 보이는 배우 '변희봉' 하지만 다른 이들에겐 그가 보이지 않는다. 아니 그가 출연한 영화조차 다른 이라고 말을 한다. 하지만 그의 눈에는 또렷하게 배우 변희봉이 보인다. 지하철 계단에서 시장바닥에서 생선을 파는 이로 그리곤 결혼식의 주례사로 보이기도 한다. 무언이 진실일까. 죽어가던 아버지의 마지막 말조차 '만기야... 니 밴....희봉이라고....아나?' 라는 말이었다. '인생은 왜 빛이며 죽음은 왜 어둠인가. 삶은 오히려 어둠의 편에서 오는 것은 아닌가.' 라는 <인형의 집>에 나오는 대사처럼 그의 희망은 어둠에서 나오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문을 갖게 만드는 작품이며 고작 그가 계속 그려냈던 인물인 '변희봉' 이 거짓으로 드러나며 그의 환상과 빚에 떠밀려 나는 삶인 현실이 극을 이루고 있다. 환상과 현실의 사이에 낸 작은 구멍인 변희봉, 삶은 오히려 어둠의 편에서 오는 것이라는 것을 강조하며 검은 빛속에 밝음을 표현한 렘브란트를 연상케 하는 작품이었다. 

배명훈의 <안녕,인공존재> 라는 작품은 참 독특하다. 세상에 없는 독특한 물건을 만들어 내는 신우정 박사가 이경수에게 남긴 '존재' 라는 물건을 의미를 풀 열쇠를 누구도 찾지 못한다. 잘나가던 그녀가 스스로 자살을 선택한 것 또한 의문인데 그녀가 남긴 유작 또한 '의문의 돌덩어리' 이다. 아무리 해도 그녀가 남긴 '존재' 의 의미를 풀지 못하는 그는 우주비행중에 '존재' 를 우주로 보낼 결심을 하고는 그 존재를 우주로 보내는 의식을 생중계한다. 그 존재는 우주로 나아가 비로소 '존재의 의미' 가 풀리며 우주폭발을 하고 만다. 문장과 문장 사이에도 존재가 존재하며 단어와 단어사이에도 존재가 존재한다는 의미를 전해준 작품인 '인공존재' 는 존재를 깨뜨려야만 새로운 존재를 탄생 시킬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한 작품이기도 한 것 같다.

김미월의 <중국어 수업>, 이 작품은 천운영의 <잘가라,서커스>를 생각나게 하는 작품이었다. 불법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취업비자를 얻어 취업을 하려는 그들이 어학원엔 이름만 올려 놓듯 하고 생계를 위하여 불법취업도 하고 혹은 돈을 위해 몸을 팔듯 우리나라에 시집을 온 애인을 찾아 오기도 하면서 빚어 지는 이야기. 우리의 주위에서도 보면 제일 힘든 3D업종은 우리나라 사람들 보다는 해외사람들이 많이 종사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이 그들의 권리를 제대로 보장을 받고 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우리도 한때는 가난하여 해외취업을 나갔던 나라이고 그렇게 하여 부강해진 나라이거늘 배가 불러서일까 그때의 기억을 잊어버리고 그들을 학대하고 그들의 목숨을 담보로 삼기도 하고 월급을 갈취하기도 한다. 그들도 똑같은 인간인데 말이다. 애인을 찾아 인천에 온 '쓰엉' 하지만 그녀는 이미 다른이의 아내가 되어 임신을 하고 있다. 그래도 그의 사랑은 변함이 없이 그녀만 향하고 있다. 그런 그가 일을 저질러 종국엔 강제출국을 당하게 되고 그런 그를 안타깝게 바라보던 할아버지는 그를 위한 '두툼한 외투' 하나를 선물하지만 그에게 전달할 길이 없다. 세계화를 부르짖고 있지만 나보다 못한 그들에게 우린 언제 세계화를 할지, 우리의 가슴아픈 현실의 단면을 들여다 본듯 하여 마음이 아팠던 작품이다.

그외 정소현의 <돌아오다> 김성중의 <개그맨> 도 좋은 작품이었다. 7인의 7색을 들여다 볼 수 있기도 하고 우리 일상속 한 단면을 젊은 그들의 날카로운 시선으로 새로 들여다 본 듯 하여 신선했다.김중혁이 보여준 우리가 놓친 일상의 '사이' 처럼 삶과 죽음 혹은 환상과 현실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준 작품들인듯 하다. 표지부터 작가들의 캐리커쳐로 독틈함과 새싹처럼 연두빛 제목에서 보여준 싱싱함이 앞으로 계속될 '젊은작가상'을 주목하게 만들어주었다.원석으로 빛을 발하기 보다는 다듬고 닦아 아름다운 '보석' 으로 거듭나는 가교 역할을 문학동네가 해주지 않았나싶다. 녹음이 짙은 여름에 초록빛처럼 싱그런 젊은작가들의 풋풋한 작품들을 막힘없이 읽을 수 있던 것도 기쁨이다. 1회를 지나 2회를 기대하고 더 많은 젊은작가와 작품들을 고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