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노루는 세자였다. 구왕이 그걸 알았고, 세자가 그걸 모르지 않았다. 청의 살을 맞고 지금 볼모로 끌려가고 있으나, 세자는 이미 죽은 노루가 아니라 앞으로 죽어가야 할 노루였다.' 반정에 성공하여 왕위에 오른 인조, 친명 사대주위를 표명하며 정국의 안정을 도모하려 했으나 이괄의 난,청의 침입 등으로 혼란을 겪게 되는 불운의 왕,굴욕의 왕이기도 하다. 그런 그에게 맏이 '소현세자' 는 자진해서 심양으로 볼모로 가 9년여 세월을 세자이면서 외교관의 역할을 톡톡이 하지만 그런 그가 너무 뛰어났던 것일까 왕인 아버지의 눈에 나 그만 자신의 목숨을 앞당기고 말았다.
청의 침입으로 엄청난 혼란을 겪고 청과 군신관계를 맺는 삼전도의 치욕을 당한 인조, 그런 왕에게 심양에가 친청의 외세에 물든 맏아들은 더이상 왕의를 물려줄 세자가 아니었던가.굴욕의 시간을 참아내고 환국을 하였지만 자신의 아버지에게 죽임을 당한 불운의 세자 '소현' 자신의 죽음으로 끝나지 않고 그의 아내며 아이들까지 모두 할아버지인 인조의 손에 죽임을 당했다는 것이 정말 안타깝기도 하고 세상엔 두마리의 호랑이를 용납하지 않다는 것을, 자신의 욕심을 위해서는 자식도 그 무엇도 용납하지 않던 그 시대가 씁쓸하기도 하다.
'말들은 소리를 내지 않는다.' 소설의 처음인 이 한문장이 '소현' 을 대변하는 듯 하다. 일국이 세자이지만 볼모로 잡혀가 그곳에서도 이곳저곳 눈치를 봐야 하는 그이며 자신의 아버지인 조선에서조차 자신의 위치가 위협적이라 자신의 진실을 소리내지도 못하고 눈물조차 제대로 흘리지 못한 불쌍하고 가련한 세자 소현. '멀리 떠나 있는 아들을 생각할 때 내가 몸이 아팠다. 베어내지 못하는 살이 붙어 있는 자리에서 아팠다. 내가 너를 생각하면 몸이 더욱 아팠다. 불로 지진 침을 맞아도 그 아픔이 가시지 않았다. .. 임금이 몸을 돌려 누웠다. 여윈 몸이 등뼈가 세자를 향해 드러났다. ' 울거라 네 몸이 울음이 가득할 것이다.' 꿈속에서 겨우 아비의 진심을 읽어내지만 그의 가슴은 늘 텅빈것처럼 외롭다.
그가 있는 자리는 아비의 나라에서도 그렇지만 심양에서도 '혼란' 이다. 그곳에서 자신을 지키기 위하여,살아가기 위하여 늘 자신을 들어내지 않고 중립을 지키며 하루하루 고된 나날을 살아낸 그 세월은 그에겐 외로움이고 고독이다. 친청을 택한 것 또한 살아가기 위한 한방편이지 않았나 싶기도 한데 쇄국정책을 하던 조선에겐 어쩌면 그는 너무 앞질러 갔는지도 모른다. 그의 삶처럼 비루한 자들의 삶이 얼켜든다. 조선의 양반가 딸이지만 적국의 첩이 된 흔과 그녀가 데리고 간 신기를 지닌 몸종 막금과 그런 그녀를 가지지도 못하고 죽이지도 못하고 그녀의 최후를 지켜준 만상등이 얼키어 소현의 적국에서의 이년여 삶이 얼마나 질곡의 삶이었는지 작가는 자신의 실들을 가지고 한필의 꼼꼼한 옷감을 자아낸다.
뭔가 대단한 것보다는 작가는 '소현의 역사' 를,잊혀지고 묻혀버린 인간 소현을 그려내고 있지 않나 싶다. 그의 고독과 외로움,아비에게 죽임을 당하면서 자신이 이겨낸 질곡의 삶마져 묻혀 버린 '눈물 겨운 역사의 편린' 을 찾아내어 그를 달래는 진혼곡을 쓰듯 잠자던 그를 깨어 놓았다. ' 세자의 관소에 사는 것도 어느새 8년이었다. 관소로 가는 길, 적의 성도의 곳곳이 오래 떨어져 있던 조선의 경도보다 오히려 낯익었다. 낯익은 것을 낯설게 바라보는 세자의 눈빛이 깊었다.' 문장 하나에도 그의 외로움과 어쩔 수 없는 자신의 처지가 깊게 베어 있다.
'누구나 영원히 적입니다. 내가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은 그걸 잊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8년전,조선은 그걸 몰랐습니다. 조선의 적이 청뿐만 아니라 명이기도 하다는 것을 아셨어야 했습니다.' '정복자의 세상, 정복자의 세월이었다. 세자가 문득 어금니를 물고 생각했다. 부국하고 강병하리라. 조선이 그리하리라. 그리되기를 위하여 내가 기다리고 또 기다리리라. 절대로 그 기다림을 멈추지 않으리라. 그리하여 나의 모든 죄가 백성의 이름으로 사하여지리라. 아무것도 결코 아무것도 잊지 않으리라.' 그는 어찌보면 역사의 희생양이다. 자신의 꿈을 다 펴보지도 못하고 접어야 했던 그의 젊음이 안타깝기도 하고 그가 만약에 아버지의 손에 의해 죽임을 당하지 않고 살았더라면 어떤 역사가 펼쳐졌을지 몹시 궁금하기도 하다. 그도 아버지와 같은 왕이 되었을까. 김인숙 작가는 <안녕,엘레나>라는 작품으로 처음 만났다. 그녀가 역사소설은 처음이라고 했는데 첫작품으로는 후한 점수를 안겨줄 수 있을 듯 하다. 줄줄 쉽게 읽히기 보다는 역사로 읽어서 처음엔 조금 거리감이 있기도 했지만 고비를 넘고 부터는 재밌게 읽었다. 그가 타국에서 가졌을 서러움 외로움을 아비조차 방관하지 않았나 하는 안타까움으로 좀더 소현세자를 기억하게 해준 작품으로 오래 남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