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를 ...... 여기에 간직할 거야.' 죽은 사람들 모두를 기억하고 간직한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이다. 가까운 사람이 한사람만 죽었다해도 그 슬픔에서 벗어나기란 정말 힘들다는 것을 겪어 본 사람들은 누구나 알것이다. 슬픔은 먼저 간 자의 것이기도 그리고 남은 자의 것이기도 하다.그런데 한사람도 아니고 '죽은자' 들을 찾아 다니며 '한발 늦는 남자' 인 사카쓰키 시즈토는 그들이 생전에 어떠했는지 보다는 그가 맞춘 규격 같은 '그 사람은 누구를 사랑했는가? 누구에게 사랑받았는가? 누군가가 어떤 일로 그에게 감사를 표한 적이 있는가?' 라는 그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면만 찾아 '애도' 를 해주려 노력한다. 다른이의 죽음을 애도하다 보면 그 죽음과 슬픔은 곧 나의 것으로 베어 들 것이다. 그가 어린시절 겪은 날개도 펴보지 못한 어린새의 죽음과 가까운 가족들의 죽음, 할머니는 죽음앞에서 그에게 꼭 기억해 줄것을 약속했다. 할머니 뿐만이 아니라 할아버지나 그가 관련하던 일의 소아병동의 어린이들 그리고 뜻하지 않게 죽음에 이르게된 정말 살아서 사회에 뜻을 펼쳐야 했을 '친구' 의 죽음과 그의 기일을 잊은것에 대한 죄책감과 자신이 어쩜 이런 일을 하지 않으면 자신 또한 '자살' 이나 죽음에 이르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에 길을 나서는 남자 시즈토, 그를 남들이 이해하기란 정말 힘들 것이다. 본인 또한 자신의 전부를 다 받아 들이지 못하고 있는데. 어찌 보면 이 소설은 슬픔을 치유하는 소설이라 할 수 있다. 그가 삶과 죽음 그리고 사랑을 치유하는 방편으로 삼은 '애도' 가 피해자가족들이나 그외 사람들에게는 '오해' 를 살만한 일이지만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선한 행동일 수도 있다. 슬픔을 겪어 본 사람이라면... 지난해와 올해초엔 내게도 가까운 지인들을 떠나보내야 하는 일들이 많았다. 현실을 비관해서 세상을 등진사람도 있고 병으로 애석하게 보낸 사람도 있고 뜻하지 않은 사고로 갑자기 보낸 사람도 있다. 아직 내겐 그들이 이승에 있지 않다는 것이 가끔 믿어지지 않을 때도 있다. 올해초엔 작은아버지를 교통사고로 갑자기 잃게 되었다. 작년에도 몇 번이나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가족이 모여 식사도 하고 내 카메라속에선 아직 그때 건강하신 모습으로 남아 계시기에 돌아가셨다고 생각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언젠가는 보내드려야 하기에 편히 보내드리는 심정으로 받아 들이고 나니 꿈에서조차 꽃동산에 계신 작은아버지를 만날 수 있었다. 비록 내 삶에서 그리 좋은 기억보다는 나쁜 감정이 더 많았어도 시즈토가 애도하듯 좋은것만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좋게 보내드릴 수 있었던 기억, 그것이 애도하는 방법인듯 하다. 죽음 이전에 존재한 삶, 어떤 사고로 죽음을 당했거나 죽임을 당했어도 신문이나 잡지 뉴스엔 고귀한 생명은 없고 그저 가십거리로 짧막하게 장식될 뿐이다. 그런 한줄 가십거리를 그는 기억하고 애도하고 잊혀지지 않게 그만의 방식으로 그사람을 확인해준다. 삶과 죽음은 어찌보면 일직선상의 것인데 죽음이후엔 우린 너무도 금방 잊어버려 기억을 못한다. 아니 꺼내어 들추어 내는것 자체를 '피해' 쯤으로 생각하는지도 모른다. 가슴안에 묻어 두거나 벗어나려는 그는 그런 '죄책감과 자신도 언젠가는 별 볼일 없는 사망자로 취급당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에 멈추지 못하고 '애도' 를 계속해 나간다. 그런 그가 이상하게 비추어졌지만 마키노 고타로는 그를 만난후에 추악함과 음습함만을 찾아 다니던 것이 그에게 물들어 인간적인 기사로 바뀌고 그 또한 '애도' 의 일을 함께 행하려 한다. 남편을 살해한 유키요는 어떤가 부정적이며 사랑을 할 줄 모르거나 사랑을 나눌줄 모르던 그녀가 '애도하는 사람' 을 따라다니며 그녀 또한 그의 가슴에 간직되는 한사람이 되고 남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으로 거듭난다. 이야기는 말기암환자인 엄마 사카쓰키 준코에 촛점을 맞추고 싶다. 말기암으로 자신 또한 생명의 날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자신의 마지막까지 남에게 베풀며 가려 노력한다. 그의 아들 시즈토는 엄마의 영향으로 인하여 죽음이 아닌 '삶' 의 선택으로 애도의 길을 선택했는지 모른다. 하루하루 죽음에 임박하게 다가가는 그녀와 새생명을 탄생시킬 준비를 하는 딸 미시오,죽음과 삶은 너무도 닮은 모습처럼 그들은 똑같이 입덧을 하듯 하고 변비에 걸려 고생을 한다. 살아가는것과 죽는 것은 똑같다는 것을 그리며 '죽음' 또한 삶의 일부분이며 삶과 죽음 사랑은 우리 인간에서 뗄래야 뗄 수 없는 문제라는 것을 말해준다. 우린 살아 있기에 죽음보다는 '삶' 에 대한 애착과 미련이 더 많을 것이다. 하지만 '죽음' 도 삶의 일부분으로 우리가 너무 빨리 잊기 보다는 좀더 기억할 수 있는 좋은 부분,긍정적인 부분들은 기억해 준다면 나 또한 그런 죽음의 일부분에서 기억되고 남을 것이라는,언젠가는 잊혀지겠지만 누군가를 사랑하고 사랑받고 누군가에게 감사함을 베풀고 그런 존재로 기억된다는 것은 인간이기에 '특별함' 으로 남아야 한다는 것이다. 태어날때 그랬던 것처럼 어떠한 죽음도 경중을 따져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애도하는 사람' 먼저 간 자를 기억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희망이다. 그에게 아픔을 털어 놓으며 애도해 달라고 하면서 편한 마음으로 뒤돌아 서는 사람들처럼 슬픔을 묻어 두어 배로 만들기 보다는 반으로 줄여 주는, 이 소설을 읽고 나면 나도 모르게 엠블런스가 지나면 기도를 해야할 것만 같은 그런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느꼈던 소설이다. 뜻하지 않게 119구급차를 서너번 타는 일을 겪어서인지 그러지 않아도 구급차가 지나면 한번 뒤돌아 보는데 이 소설로 인해 어떤 이가 탔는지 모르지만 무사함을 빌어야 할 것만 같다. 이 소설은 일월에 갑자기 교통사고를 당해 돌아가신 작은아버지와 작년 여름에 폐암선고를 받은 아버지 때문에 더 가슴에 와 닿으며 읽은 책이다. 준코 그녀가 하루하루를 정리하며 의연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모습은 내 아버지의 앞날을 보는 듯 하여 눈물이 흘렀다. 너무고 가까운 사람들이기에 슬픔은 내 가슴에 잠식되어 남아 나를 갉아 먹을지 모른다. 그런면에서 이 소설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었다. 삶도 죽음도 그리고 사랑도 어느 누구에게나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다. 삶이 중요하듯 죽음 또한 그러할진데 그가 살아가는 세월동안 나눈 사랑은 또 어떨까. 누군가 기억해준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며 행복한 기억으로 남기 위하여 내 삷의 자세를 되돌아봐야 할 것 같다. 페이지의 압박에도 감동적이면서 빨리 읽어나간 책이다. 만물이 소생하는 봄에 이런 소설 한 권 가슴에 품는 것 또한 좋은 일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