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기억의 피아니시모
리사 제노바 지음, 민승남 옮김 / 세계사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앨리스는 계속 가고 싶었지만 얼어붙은 듯 서 있을 수밖에 없었다.어디로 가야 할지를 몰라서였다.
앨리스,그녀는 하버드대학 심리학과 교수로 50세의 여성이다. 그런 지성인이 강의를 하다가 혹은 길을 걷다가 자신이 무슨 말을 하려했는지 단어를 생각하지 못하거나 갈 길을 잃어버리고 만다. 폐경기라 그런가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을 하지만 반복되는 일들이 있어 그녀는 병원으로 향한다. 누구나 과중한 일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다 보면 그런 일들이 가끔 일어난다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게 되는데 그녀는 자신이 점점 이상해지고 있음을 느꼈다. 폐경으로 인한 건망증도 아니고 뇌종양으로 인한 기억상실도 아닌데 그럼 무엇일까.

그녀의 병명은 단기 기억 장애,조발성 알츠하이머이다. 나이가 많이 든 사람들에게나 오는 것이 치매인줄 알았는데 한참 팔팔한 나이이며 사회의 저명한 지성인이라고 할 수 있는 그녀에게 생각지도 못한 일은 언제부터인가 서서히 그녀의 기억을 지우고 있었다. 자신의 기억을 잃어버린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이 책은 치매환자를 둔 보호자가 아닌 환자 자신, 조발성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는 앨리스 자신의 입장에서, 그녀의 눈으로 그려지는 소설이다. <어머니를 돌보며>란 책에서는 치매환자의 어머니를 돌보는 보호자의 입장에서 썼지만 환자나 보호자나 똑같은 고통을 앓는 이야기로 눈물샘을 자극했는데 이 소설의 주인공인 앨리스는 알츠하이머 환자이지만 환자를 둘러싼 가족들의 이야기와 함께 부합하여 병마와 싸우는 이야기가 가끔 울컥 가슴을 울린다. 

세자녀중 위로 둘은 부모을 채우는 대학을 나와 삶을 살고 있지만 막내 리디아는 '연기'를 한다며 대학도 가지 않고 홀로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간다. 그런 그녀를 이해못하던 앨리스, 하지만 남편 존은 막내 리디아에게 똑같은 자식이라며 그녀의 뒷바라지도 하고 연기도 가서 보기도 한다. 리다아를 이해 못하던 앨리스, 자신이 알츠하이머를 앓게 되면서 리다아의 연기대본도 읽어보기도 하고 그녀의 도움을 받거나 연기구경을 가면서 그녀를 이해하게 된다. 남편 존 또한 자신의 분야에 좀더 열중하고 싶어 하기도 하고 아직 아내의 병을 받아 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지만 가족들은 함께 앨리스의 병인 알츠하이머와 함께 한다. 사랑이 있어 그녀는 치매환자이지만 치매환자를 위한 강의를 위해 강당에 서도 당당하고 아직 그녀에게 기억이 남아 있다는 것이 존재가치를 알려준다.

치매, 만약에 가족중에 치매환자가 발생한다면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할까? 친정동네에 친정엄마의 친구분이 치매환자이시다. 우리집 텃밭에 심겨진 콩이며 고추 나를 위해 심었다는 맛있는 포도는 그 열매를 구경도 못하고 치매환자이신 할머니의 몫으로 어느해 모두 잃어야했다. 할머니는 동네에서 유명인이 되다시피 하기도 했다. 어느집 밭을 털기도 하고 어느날은 수렁에 빠져 있기도 하고 어느날은 남의 논에서 허우적 거리다 지나는 사람들에 의해 집으로 돌아가게 되었지만 그런 일들이 겹치다 보니 골치거리,문제의 할머니가 되고 말았다. 그런 이야기를 엄마에게 전해 듣다가 '엄마는 치매가 아니라 다행이다. 아버지도 그렇고.. 엄마는 기억은 참 밝아.' 했더니만 엄마가 말씀 하시길 보건소에서 치매예방 약을 처방받아 얼마간 드셨다는 것이다. 환갑이 넘으신 아버지의 미역국을 어느날 올케가 '생일날 무국을 드시면 치매 안걸린데요..' 하며 미역국 대신 소고기무국을 끓이더니 계속된 무국에 엄마와 아버지가 실망을 하시고는 내게 넌즈시 말씀 하셨다. '살면 얼마나 산다고 니 올케는 아버지생일날에 무국이라니..' 서운하신듯 했다. 올케에게 살짝 이제 미역국 끓여 드리라고 웃으며 말했더니 올케는 미역국을 끓이며 '어머니가 아무 말씀 없으시길래 괜찮은지 알았죠.' 하셨다. 그래서일까 엄마와 아버지는 치매기가 없으시다. 아니 정정하고 밝은 기억력을 갖고 계셔서 천만다행이다. 

나이 먹어서는 병의 진행상황도 더디다고 했다. 암도 그렇고 치매도 그렇고. 하지만 젊은 나이에 병이 오면 겁잡을 수 없이 빠르게 병은 그 사람을 잠식해 들어간다. 조발성 알츠하이머도 그런것 같다. 속도가 빠르기에 그녀는 난감하다. 하버드 교수직도 그만두고 그녀는 집에서 암훌한 시간을 보낸다. 거실바닥의 양탄자가 바닥에 뚫린 구멍인줄 알고 밖에도 못 나가고 그런 자신이 비참하여 통곡을 하듯 운다. 옆에 그녀가 앉아 있어도 식구들은 그녀가 없는듯 그녀에 대한 말을 한다. 아직은 그녀에게 '의식,기억'이란 것이 존재를 하는데도 그녀의 존재를 잊는다. 그런 상황이 온다면 어떠할까. 가슴이 먹먹해진다. 집안에 환자가 한사람만 생겨도 그 집안은 참 침울하다. 다른 곳이 아픈것이 아닌 기억을 잃는다는 것은 참 슬픈일인것 같다. 사랑하는 사람을,가족까지 못 알아보는 그런 날이 온다면 미래를 위해 자신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준비해 놓아도 그 '열쇠'마져 열고 들어가지 못한다. 거기에 나 혼자 몹쓸 병에 걸린다면 다행이지만 그것이 '유전' 이 된다면 나의 딸이나 아들에게 그 미래의 손자들에게 나타난다면 그들의 미래는 어떻게 한단 말인가. ' 아버지,만족하세요? 그 거지 같은 DNA를 물려줘서.그러니까 아버진 우리 모두를 죽이는 셈이 되네요. 가족을 다 살해하는 기분이 어때요?' 

'이런 병에 걸려서 정말 미안해요. 상태가 얼마나 더 악화될지 생각만해도 끔찍해요. 언젠가는 당신을 보면서도, 사랑하는 이 얼굴을 보면서도 누군지 모를 거란 사실도 견딜 수가 없어요.' 

'넌 참 아름다워. 널 보면서도 네가 누군지 모를까 봐 두려워.'
'언젠가 엄마가 저를 몰라보게 된다고 해도 제가 엄마를 사랑한다는 건 알 거예요.'
'너를 보면서도 네가 내 딸이란 것도 모르고 네가 날 사랑한다는 것도 모르면 어쩌지?'
'그럼 제가 엄마한테 사랑한다고 말할 거예요. 엄만 제 말을 믿을 거고요.'

아플때 가족이 옆에 있다는 것은 큰 힘이 된다. 아플때 옆에 있는 사람이 제일 고맙고 생각이 나는데 가족만한 힘이 없을 것이다. 가족의 사랑이 있어 기쁨도 슬픔도 병마도 함께 하니 그녀의 고통이 조금은 덜어진듯 하다. '사랑'으로 병을 완전히 이길수는 없지만 '피아니시모' 더디게 그녀의 기억을 붙잡은 듯 하다. 병이 자신의 기억을 지워 없애버렸지만 본능일까 자신의 손자들을 안고 어르고 내리사랑을 전하는 그녀, '내가 그리워요.' 지난날의 자신을 그리워 하는 그녀가 가끔 정신이 온전할때 내 뱉는 말들이 가슴을 울린다. 그녀가 자신의 병을 알고 미리 대처했기에 이별을 준비할 수 있었지만 만약게 그녀가 단순한 건망증으로 받아 들였다면 상황은 달라졌으리라. 누군가의 마침표를 준비한다는 것은 정말 가슴 아픈 일이다. 언제 어떤 일이 일어날지 기약할 수 없기에 더 난감하기도 하고 그 아픔을 내가 대신 할 수 없어 더 가슴이 아프기도 하다. 이 소설을 읽으며 지금 폐암과 싸우고 계신 친정아버지 생각이 나서 가끔 혼자서 눈물을 많이 흘렸다. 나는 아버지의 마지막을 어떻게 준비하고 받아 들여야 할까? 아직 준비된것도 없고 그 마지막을 생각하고 싶지도 않지만 아직까지 아버지가 곁에 계신것만으로 큰 힘이 되어 주고 계신데 나를 사랑하는지,당신을 사랑하는지 잃어버리면 어떤가. 존재만으로 큰 힘이 되고 있다면 그것이 마지막까지 삶의 의미일텐데... '내 기억의 피아니시모' 한동안 소설의 여운속에서 헤어나지 못 할 듯 하다. 내 현재의 삶에 더 충실하고 하루하루 고맙게 여기게 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