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향기, 두엄 냄새 서로 섞인들 - 길동무 셰르파의 고향, 피케를 걷다
김홍성 지음 / 효형출판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동무 셰르파의 고향, 때묻지 않은 그곳 피케에서 만난 순박한 사람들의 이야기.


꽃향기,두엄냄새 서로 섞여도 좋은 곳, 순박하고 욕심없는 사람들이 사는 곳으로 그가 걷기여행을 떠났다. 그의 전작 <우리들의 소풍>과 <천년 순정의 땅,히말라야를 걷다>를 무척 인상깊게 읽었다. 히말라야, 그만의 방식으로 걷기여행을 하며 농가와 마을로 이어지는 길을 걷고 그곳에서 정말 때묻지 않은 사람들과 숙식을 함께 하며 산초를 발라도 재봉틀벌레에게 물려 고생을 하면서 그들속에서 어우러졌던 깨끗한 이야기들을 덜어내지도 보태지도 않고 그만의 눈과 귀와 마음으로 전해주어 정말 따듯하게 읽을 수 있는 글과 사진이 있는 이 책은 작가가 직접 보내준 책이라 더 정감있게 읽은 책이다. 

아내와 함께 하던 밥집 <소풍> 의 구수하고 깔끔한 이야기가 있는 ’우리들의 소풍’ 에서 아내를 잃은 슬픔에 가슴이 먹먹하더니 이 여행은 어쩌면 그곳에 영혼으로 머물고 있는 아내와의 조우를 위한 여행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왠지 작가와의 인연처럼 그 책을 읽은 후에 뜻하지 않게 아는 동생이 어린애들을 놔두고 간암으로 먼저 가게 되었다. 그녀가 어린딸들을 두고 어찌 눈을 감았을까 눈물이 나고 얼마동안 그녀와의 추억에 그 소식이 거짓처럼 여겨지며 한동안 헤매이게 되었는데 그래서였을까 그가 떠난 여행에 나 또한 마음을 실어 본것처럼 맑은 공기를 함께 한 기분이 들었다.

파란 하늘과 파란 산맥, 모두가 때묻지 않은 하나로 연결된듯한 그곳에서 그가 전해주려 한것은 우리내 어릴적 추억처럼 추억의 저장고에 갇혀 있는 모든것들이 그곳에 고스란히 모여 있는듯한 느낌은 비단 작가만의 느낌은 아니란 생각이 든다. ’우리가 점심을 먹으러 들어간 식당에는 한 쌍의 제비가 분주히 드나들며 천장 모서리에 둥지를 트는 중이었다. 오래 전 추억을 더듬게 하는 이런 저런 풍경들과 시바라야는 옛 고향으로 간느 길목처럼 느껴졌다.’ 우리가 산업화와 경제발전에 우리의 소중한 추억을 잃어버리고 있다면 아직 그들은 그들만의 방식으로 추억과 전통을 천형처럼 간직하고 있는것은 아닌가. 그 값으로 그들은 가난이란것을 안고 살지만 그래서 더 행복한 얼굴을 만날 수 있었는 것 같다.

여행의 커다란 목적을 둔 것보다는 천천히 걷기여행을 하며 사람을 만나고 새로운 음식과 문화와 접하며 스스로 그들과 하나가 된것 같은 느낌을 전해주는 여행서는 정말 읽어도 개운하다. 그가 걷는 발길의 먼지처럼 나폴나폴 그의 뒤를 따라 걷고 있는 것처럼 낯선 문화가 전혀 낯설지 않고 그들이 주식으로 여기는 감자며 옥수수며 창을 함께 마신듯한 느낌에 얼근하게 취해 밤하늘 가득 찬 별들과 함께 하는 기분이다. 공기가 맑은 곳에서 보는 밤하늘 별들은 어떤 맛일지 궁금하다. 그런 풍경을 평생에 한번 볼 수 있을까? 그가 들르는 곳마다 농가의 아낙들이 퍼주는 창이며 락시가 결코 낯설지 않고 달이며 샥빠(우리나라 수제비 비슷) 한 음식들이 한번 맛보고 싶어질만큼 그가 전해주는 이야기들은 구수하다. 우리내 옛 시골길에서 만나는 이야기처럼 정이 있어 더욱 정감이 간다.

그가 또한 나처럼 글쓰기와 사진찍기를 좋아하니 더 느낌이 통한다고 할까. ’나는 카메라를 통해 많은 위안을 얻고 있었다. 사진을 찍는 순간의 몰입 상태가 피로를 잊게 하고, 그것을 누군가에게 보여줄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 보람을 느꼈다.’ 글로 다하지 못한 느낌이 담긴 사진들은 풍경이나 인물들의 표정에서 거짓이 없이 들어나 있으니 그의 여행의 여유를 느낄 수 있다. 구속되지 않은 여행의 묘미와 함께 순박한 사람들을 만나고 함께 정을 나눌 수 있는 그곳 피케, 이 책을 통해 나눔의 정이 모여 곰파에서 공부를 하는 어린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어떤 방법이 모색되었으면 하는 바램과 함께 순박한 사람들의 표정을 잊을 수 없었던 책이다.


 
책 속 이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