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무도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인간은 비루하고,인간은 치사하고, 인간은 던적스럽다.이것이 인간의 당면문제이다.시급한 현안문제다....
작가의 소설 <공무도하> 가 문학카페에 연재되고 있는것을 알았지만 난 책으로 그의 글을 직접 읽고 싶어 무던히 기다렸다. 그러다 친필사인본이 예약판매라 그의 책을 많이 소장하고 있지만 사인본이 없어 무척 고대하다 드디어 사인본을 받았다. 몇 번이고 들여다본 작가의 볼펜으로 꾹꾹 눌러 쓴듯한 사인을 한참을 들여다 보았다. 육필로 직접 글을 쓰는 그의 책은 다른 책들과는 다르게 읽을때 더 공들이게 된다. 그러면서 책을 받으면 겉표지를 들추고 겉면에 인쇄된 그의 손글씨를 본다. 다른 책에서는 만나기 힘든 작가의 혼을 만나는 듯한 느낌이 들어 너무 좋다.
“약육강식은 모든 먹이의 기본 질서이고 거대한 비극이고 운명이다. 약육강식의 운명이 있고, 거기에 저항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운명이 있다. ‘공무도하가’는 강 건너 피안의 세계로 가자는 것이 아니라 약육강식의 더러운 세상에서 함께 살자는 노래이다. 인간 삶의 먹이와 슬픔, 더러움, 비열함, 희망을 쓸 것이다.” 라고 했던 것처럼 이 글은 강을 건너지 못하고 강의 이쪽에서 사는 사람들의 얼킨 이야기다.
강, 물의 의미일까 창야의 저수지 둑이 터지고 그곳을 취재 나갔던 문정수와 그의 애인인 노목희, 그리고 그곳을 쫓겨나야 했던 장철수, 소방관 박옥출과 문정수의 사이에도 물이 존재한다. 창야를 떠나 장철수가 자리잡은 해망이란 바닷가, 기르던 개에게 물려 죽은 아들앞에 나서지 못한 엄마 오금자와 그녀의 집에서 함께 사는 베트남 여자 후에, 그녀가 해망 바닷가 밑에 가라앉은 탄피를 건져 올려내는 것 또한 물속이다. 오금자에게 농토와 집을 맡기고 딸이 깔려 죽은 해망을 떠난 방천석, 비록 딸은 바닷가에서 비운의 명을 달리했지만 그로인하여 그의 삶은 그 바닷가를 벗어날 기회를 얻는, 물은 어쩌면 모든 사람을 어우러주는 매개체가 되어 그들을 용서하기도 하고 하나로 묶어주기도 한다.
오랜동안 기자로 있던 작가여서인지 글속에 등장하는 문정수는 작가의 지난 삶을 반영한 듯하면서 노목희가 겉표지를 디자인한 타이웨이교수는 미래의 그의 모습을 보여주는 듯한 인상을 남긴다. 작가자신 또한 강을 건너지 않고 사람들속을 뛰어다니며 인간의 운명과 사건사고와 함께 했듯이 그의 분신인듯 문정수가 부딫히는 사건과 사고속의 사람들 또한 강을 건너지 않고 서로 얼키고 설키며 슬프고도 더럽고 비열한 모습을 보여준다. 장철수가 피안의 세계처럼 찾아든 해망 또한 사람들의 삶은 얼키고 약육강식이 판을 치고 있다. 기어이 뿌리는 내리지 못하고 다시금 창야를 찾아 떠나야만 하는 장철수, 삶은 회피한다고 샹그리라를 만나는 것이 아닌 부딫히면서 만들어 나가는 것을 말해주는듯 하다.
'넌 쓴 기사보다 안쓴 기사가 더 좋다.그게 더 진실돼.안 그래?' '손가락 사이로 새어나가 버린 세상에 관하여 문정수가 더듬거리며 말할 때 노목희는 가끔씩, 그랬겠구나...... 잘했어.... 내버려둬.. 괜찮아.. 다 괜찮을 거야.... 라고 응답해주었다.' 표면에 들어난 기사보다 들어나지 않은 안쓴 기사가 더 진실되고 진실된 삶이 더 많다는 것을 말해주는 작가.사건과 사고의 홍수속에 무엇이 진실인지 모르고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표면에 노출된 기사보다도 우리의 삶이 더 진실되다는 것을 말해주며 던적스럽지만 소출이 적어도 집이 허물어져가도 그곳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야만 하는 오금자의 삶처럼 스스로 현실에 부딫혀 나가다 보면 작은 희망을 만들수도 있음을 제시해 주는 공무도하, 내일에 대한 희망이 있기에 오늘 우리의 삶은 보람된 듯 하다. 이 작품은 작가의 다른 작품들과는 다르게 우리 삶의 이곳저곳을 뛰어다니는 기자가 등장하여서인지 더욱 작가를 가깝게 느낄 수 있었던 작품인듯 하다.
작가의 친필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