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한민국의 한韓의 역사를 찾아서...


대한민국의 한의 뿌리는 과연 어디일까? 작가의 궁금증은 정말 대단한 작품을 탄생하게 만들었고 잊혀진, 잃어버린 우리 역사의 뿌리에 대한 관심과 궁금증을 증폭하게 만들어주었다. 얼마전에 읽은 <한국인에게 역사는 있는가>에서도 작가는 우리의 역사가 일제에 의해 날조되어 왜곡된 역사를 학습하고 있는 우리들에게 큰 혼란을 불러 일으킬 문제점들을 제시하며 고조선과 그 이전의 상고사등에 대한 주관및 자료를 제시해 놓아 그 책을 읽고 난후에는 잠시 어질어질했던 기억이 있는데 이 또한 작가는 韓의 뿌리를 찾는 것에서 비롯한 우리의 왜곡된 생각을 잘 비틀어주고 있다. 

갑작스러운 여교수 미진의 죽음, 아무런 의심없이 자살이라 평할 수 있는 죽음에는 보이지 않던 의문들이 도사리고 있고 목반장이 밝혀내지 못한 것들을 그녀의 친구인 ETER의 물리학자 이정서는 현장을 보고는 바로 타살임을 밝혀낸다. 하지만 무언가 깊은 뜻이 담겨있는 듯 하여 비밀리에 그녀의 의문사를 밝혀내기 위하여 그녀가 연구하던 천문학과 역사에 대하여 근접해들어가며 그녀가 도움을 주고 있던 친구 한은원에게 한발 다가간다.

여고시절부터 자신의 한이라는 성에 대하여 의문을 품었던 은원은 그 韓의 뿌리를 찾아 연구하고 있었던 중. 미진이 도움으로 천문학과 병행을 하여 무언가 밝혀내고 있었고 그로인한 미진의 타살임을 직감하고 위험에 처한 은원을 찾아 중국 상도로 건너간 정서, 그는 은원의 뒤를 쫒아 한의 역사에 다가가지만 삼대공정및 동북공정으로 인한 중국측 역사학자들에 의하여 제제를 받으면서 위험속에서 서서히 좁혀지는 은원과 정서의 거리, 뜻하지 않은 은원의 출현으로 인하여 위기를 묘면할 수 있었고 그녀 또한 심의회에서 韓의 역사에 대하여 증명할 수 있었지만 그것이 시작인듯 하다. 그녀는 우리에게 일본인에 의해 찌그러진 역사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듯 힘 있는 말을 한다. ' 일본인들이 이 땅의 역사를 찌그러뜨리고 간 지 60년이 지났지만 아직 우리 역사는 거기서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중국이 우리 역사를 송두리째 빼앗아가고 있습니다. ' 일본이 왜곡해 놓은 역사를 배우며 잘못된 역사를 바로 잡으려 하기 보다는 바로 잡힌 역사에 혼란을 가져올까 걱정하는 자신부터 이제 우리 역사에 대한 새로운 눈을 떠야 할 때인것 같다. 

'나라의 힘은 반드시 경제에만 있지는 않을 것입니다. 밥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자신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일은 그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과거를 알아야 미래를 세웁니다. 우리의 조상을 찾는 일이야말로 자손을 보전하는 가장 분명한 길입니다.' 우리 조상에 대하여, 역사에 대하여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작가의 말에 공감하며 '한국의 고대사는 그야말로 중구난방이었다. 아무나가 무슨 얘기를 주워섬겨도 증명도 부정도 되지 않았다. 조선시대 모화사상에 빠진 유학자들은 조선의 강역이 압록강을 넘으면 중국에 대한 불경이라 생각해 관련 사료를 모두 폐기했고, 일제시대 일본 학자들은 한국의 역사를 축소시키기 위해 <삼국사기>에 있는 단 한 줄, 온조왕이 마한을 병합했다는 걸로 삼한을 삼국의 전신으로 만들었다. 이후 지금껏 삼한은 한반도 남부에 꽁꽁 묶여 있는 것이다.' 라는 가슴 아픈 구절이 있어 옮겨 본다. 이 책에서도 제시한 봐와 같이 고대사가 역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눈부신 발전을 한 과학과 점목된다면 잃어버린 역사의 일부분이라도 찾아 낼 수 있고 그 몫은 '우리들의 숙제' 임을 그는 말하고 있는 듯 하다. 역사추리물을 좋아한다면 권할만한 책이다. 역사적 사실은 약간 약하지만 스피드도 있고 재밌게 읽을 만한 책이며 요즘 간도100년과 맞물려 韓의 역사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볼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