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비밀을 밝힌 위대한 실험 - 우주의 작동원리를 탐구한 10가지 실험들
조지 존슨 지음, 김정은 옮김 / 에코의서재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인슈타인은 노년에 <나의 부고>라는 짤막한 글을 쓰면서 아버지가 나침반을 처음 보여주었던 때를 회상했다. 어느 쪽으로 돌려도 나침반 바늘이 항상 북쪽을 가리키는 모습이 어린 소년의 눈에는 무척 신기하게 보였다 아인슈타인은 이렇게 적었다. '나는 지금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아니 적어도 기억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때 그 경험은 내게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다. 사물의 이면에는 반드시 깊숙이 감춰진 무언가가 있다.' 책의 첫머리를 장식한 글이 눈길을 끈다. 이 책에 쓰여진 세상의 비밀을 밝힌 위대한 실험 10가지와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읽다 보면 '사소한 호기심과 궁금증' 이 커다란 결과를 초래했음을 알 수 있다.
 
큰 돈을 들여 실험을 하고 대단한 연구재료를 써서 위대한 실험을 한것이 아니라 벽에 구멍을 하나 뚫고도 할 수 있고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자신이 얼마나 호기심과 궁금증을 가지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실험을 하느냐 하는 인내와의 싸움에 달린 것 같다. 과학이나 실험이라 하면 무척 나와는 거리가 먼 이야기이고 어렵게만 생각되어 지는데 사소한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고 우리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들을 생각지도 못하고 있는데 위대한 실험가들의 눈과 머리에서는 그 사소함마져 특별하고 위대하게 보여짐을 알 수 있다.
 
사물의 이면에 감추어진 그 무언가.. 그 무언가의 비밀이 밝혀지는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고 아주 짧은 시간에 알아 낼 수 도 있는데 그들의 이야기들을 어렵지 않게 써 내려갔고 책의 종이 또한 재생지인지 너무 친근감이 느껴진다. 실험을 하는 남편의 옆에서 실험기구들을 세세하게 그림으로 남기거나 위대한 실험가를 한눈에 알아 보고 도움을 주거나 자극을 주려 했던 여인들이 있지만 이 책의 내용은 모두 남자들이 차지한다. 사물의 움직임을 관찰한 갈릴레오에서 시작하여 심장의 비밀을 밝힌 허비와 벽의 구멍으로 <빛>을 알아낸 뉴턴, 연금술에 관시밍 많았던 라부아지에와 생체의 전기현상을 연구한 갈바니, 전자기력을 연구한 패러데이와 에너지보존의 법칙을 알아낸 줄, 빛에도 속도가 있다는 것을 측정한 마이컬슨의 이야기며 개를 통해 조건반사를 알아낸 의사 파블로프, 기름방울 실험을 통해 우주의 신비에 다가간 밀리컨의 이야기까지 도서관에서 그들의 참고문헌을 찾아가며 어렵게 쓴 이야기를 너무 쉽게 읽은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과학분야의 이야기는 잘 읽지 않는 내가 어렵다기 보다는 다른 책을 읽을 때처럼 별 어려움없이 읽어 나갈 수 있었는데 좀더 이분야에도 관심을 가지며 읽어야 겠다는 생각을 가져본다.
 
'데카르트 역시 색이 물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 아니라 빛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다고 추측했다. 그러나 뉴턴은 그 이유를 알아냈다. 이 세상이 색으로 가득한 까닭은 물체마다 각기 다른 한 종류의 빛을 다른 빛보다 더 많이 반사하기 때문이다.'
 
'셸레는 최초로 산소를 분리했고 프리스틀리는 산소의 존재를 처음으로 공표했다. 그러나 라부아지에는 누구보다 먼저 산소를 이해했다.라부아지에는 더 깊은 것까지도 꿰뚫어봤다. 바로 질량보존의 법칙이다.'
 
'패러데이의 일기장에는 이런 글이 있다. '이 모든 것은 꿈이다. 자연의 법칙과 일치하기만 한다면 어느 것이 현실이 된다 해도 놀라울 것이 없다. 그리고 그런 일치를 밝히는 최선의 방법은 실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