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너는 자유다 - 모든 것을 훌훌 털어 버리고 떠난 낯선 땅에서 나를 다시 채우고 돌아오다, 개정판
손미나 글.사진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스페인에 가고 싶어. 내 몸도 마음도 그걸 간절히 원하는 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
참내, 그럼 가면 되잖아. 누가 가지 말래?...


휴식이 필요하다고 느낄때 그녀가 읽은 책중에서 무라카미 하루키의 <먼 북소리>와 파울로 코엘료의<연금술사>는 그녀에게 '지금' 떠날 용기를 주었다. 터닝포인트처럼 대한민국에서 쟁쟁한 아나운서였던 그녀가 현실을 박차고 나가 새로운 도전을 해 볼 기회를 안겨 주었던 작가와 책의 내용은 그녀에게 새로운 삶과 희망을 안겨 준 듯 하다. 지금 그 자리에 안주를 해도 남들에게는 부러운 자리이건만 '지금' 하지 않으면 못할건만 같은 일들이 그녀에게 마법처럼 일어났다.

서어서문학과를 나온 그녀에게 스페인은 낯선곳이 아니기에 어쩌면 더 많은 기회를 준 것일지도 모르겠다. 모든 희망은 자신의 노력과 힘으로 이루어지겠지만 어쩌면 뜻하지 않은 행운도 그녀의 편이었던 것 같다. 인연처럼 아는 지인을 만나러 일본여행을 갔다가 일본의 거리에서 우연히 마주친 스페인 남자 둘, 그들을 다시 만나리라 누가 생각했을까. 어쩌면 인연은 미리 정해져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그녀가 스페인에 가고 싶었던했던 이유도..

여행은 공부를 목적으로 하든 여행을 목적으로 하든 먹거리를 목적으로 하든 정말 내 일상에서 벗어나 <자유>를 찾는다는 그 이유 하나만으로 생의 활기를 불어 넣어 주는 것 같다. 그것도 햇빛이 뜨겁게 내리쬐이는 정열의 나라일때는 더 할 수 밖에 없다. 투우와 정열의 춤으로 유명한 스페인, 그 이름만으로도 충분히 구미가 당기는데 그녀의 책에는 사진보다 그녀가 보고 느끼고 직접 겪은 일들이 자세하게 나와 있어 읽는 맛이 더 하다. 궁금증이 일때 쯤에 한장의 확인샷이 첨부되어 있어 다른 여행 에세이보다 그녀가 노력한 흔적들이 더 보인다.

그간 정든 방송생활을 접고 다시 공부를 하겠다는 각오도 대단한데 공부와 여행 자유를 모두 잡은 듯한 그녀의 글 속에서 함께 웃고 울고 그녀와 스페인 여행을 함께 하는 착각을 불러 일으키는 듯한 표현이 좋았다. 사람들은 자신의 얼굴에 자신의 복을 가지고 있다고 하듯이 웃는 자에게는 복이 더 많이 온다고 하였던가. 그녀의 활짝 웃는 얼굴마다 행복과 희망, 생의 활력이 넘쳐 나고 있음을 느낄 수가 있다. 그녀에게 내재된 정열이 스페인에서 모두 발산한것 처럼 스페인 두루 공부와 여행을 하며 그녀가 전해 주는 감칠맛 나는 여행 이야기가 나도 얼른 비행기를 타고 '환상의 섬' 으로 날아 가야 할 것만 같은 느낌이다. 

낚시바늘에 새끼손가락이 끼었던 추억담을 읽으며 얼마나 웃었던지 눈물이 다 났다. 그마져도 행복한 추억담이 될 수 있는 그녀만의 자유, 자유는 찾는 자만이 누릴 수 있는 것 같다. 우린 언제나 현실을 핑계삼아 '자유가 없다' 고 변명하며 살기에 바쁜데 그녀처럼 용기를 내어 내 인생의 터닝포인트가 될 어느 순간을 만들어 보는 것도 남다른 생의 의미가 있을 듯 하다. 그런 속에서 자신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내 안에 잠자고 있는 능력도 찾고 더 많은 능력을 발휘하며 보다 나은 현실을 만들어 갈 수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 보게 되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웬만한 햇빛은 양산이나 모자로 가리지 않는다. 아니, 오히려 해가 비치는 쪽을 따라다니며 그 따스함을 즐긴다. 아무래도 스페인 사람들은 그런 방식으로 식물처럼 광합성 작용을 하는 것 같다.. 그녀의 표현처럼 그도 일년여 스페인 생활에서 스페인 사람들처럼 광합성 작용을 하고 돌아온 것은 아닐까. 햇빛에 그동안 자신안에 누적되어 있던 먼지들을 모두 태워 버리고 <희망과 열정> 으로 가득 채우고 돌아온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덤으로 읽는 독자에게도 희망과 열정을 전해 준듯 하여 그녀를 따라 스페인 여행을 다녀온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