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녀와 마녀
박경리 지음 / 인디북(인디아이)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성녀와 마녀 사이에 낀 자네는 정말 보잘것없는 필부로구나.
그렇게 감정을 통어할 줄 몰라서야...


작가가 1960년에 쓴 소설이다. 단편을 쓰시다가 59년 <표류도> 이후 60년에 쓴 연애소설이니 문체에서 구시대적인 맛이난다. 하지만 인간의 이중성을 들여다 보는 맛은 재밌다. '성녀와 마녀' 꼭 나쁜 피가 아니어도 누구에게나 이중성인 '성녀와 마녀' 적인 기질이 있는것 같다. 어느 면을 더 표출을 하며 사느냐에 따라 그사람을 성녀라고 하고 마녀라고 보는것 같은데 딱히 한사람을 놓고 볼때 성녀다 마녀다 하는 것은 동전의 양면같은 것이어서 한가지로 결정하기가 무엇하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성녀의 대변인 문하란과 마녀이 대변인 오형숙은 두 기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 오형숙은 요부였던 엄마의 나뿐 피를 물려받아 다른 사람들이 그녀를 마녀취급을 하니 그녀 또한 마녀기질로 더 흘러간듯 하지만 한남자를 가슴에 품고 있었으니 진심은 성녀기질이라 해야할것 같다. 반면에 형숙이 요부의 딸로 밝혀져 수영의 아내자리에서 밀려나 대신 그자리를 차지하게 된 하란은 겉모습을 성녀의 기질을 가지고 있지만 몇 명의 남자가 그녀에게 마음을 문을 열고 남편에게 버림받듯 산 세월속에 자연히 마녀기질로 변하여 가는 단계였던 것 같다.

어쩌면 성녀기질과 마녀기질을 판단하는 것은 환경적인 요인도 작용한다고 본다. 인간이나 동물이나 환경에 지배를 받는데 여자 또한 배경이 되는 집안환경도 중요하겠지만 어떤 남자를 만나 결혼을 하느냐에 따라 그녀에게 잠자고 있던 마녀기질이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작가는 다른 작품에서도 이런 인간의 이중적인 면을 잘 다루고 있는데 이 소설은 약간 단편적이면서 옛 문체의 맛을 간직하고 있지만 안을 들여다 보면 인간의 내면의 이중성을 나타낸듯 하여 지금 읽어도 별 무리는 없다.

다 가진듯 하던 수영의 아버지 안박사는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딸 수미를 잃고 모든것을 잃은 듯 병원도 넘어가게 나두고 깐깐한 그가 그의 집의 일을 봐주는 신여사의 손을 잡고 교회에 나가는 것 또한 세월의 변화이다. 그의 아들인 수영은 요부의 딸인 형숙을 사랑하지만 아버지의 반대로 하란과 결혼하게 되지만 그녀를 잊지 못하고 그녀를 품게 되어 그녀도 그도 아무것도 건질것 없는 삶을 산다. 모두가 알맹이를 잃고 빈껍데기로 살아가는 사람들 같다. 자신들의 방에 들어가 문을 닫으면 그만이다. 그들에게는 대화라고는 없으며 소통이 없다. 단절이다. 성녀도 마녀도 고정관념일 뿐일지 모른다. 세월이 가면 모든 것은 변한다. 성녀가 마녀가 될 수 있고 마녀도 성녀가 될 수 있다. 어떤 환경에서 어떤 삶을 사느냐가 자신을 나타내는 얼굴이 되는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