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친 막대기
김주영 지음, 강산 그림 / 비채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작고 보잘것 없는 것들에 바치는 아름다운 생명의 기록' 이라고 하여 그 말이 주는 의미가 얼마나 크길래 하며 약간은 고개를 갸웃뚱하며 책을 펼쳐들게 되었는데 처음부터 나오는 이야기와 그림들에 푹 빠지고 말았습니다. 작가의 다른 작품인 <객주> <아라리 난장>등을 너무 감명 깊게 읽어서 더욱 읽고 싶었던 책인데 이제 이야기의 시작인 첫편이 너무 기분이 좋아 다음편이 빨리 나와 주었으면 하는 뱌램이 든 책입니다.
 
기차가 지나는 양지마을에 박씨는 암소로 논을 갈고 있습니다. 하지만 암소는 새끼를 베었기 때문에 많은 일을 부릴 수가 없어서 가끔 백양나무 그늘에 묶어 놓기도 하는데 기차가 지나며 '뿌우 뿌우~~' 하고 내뿜은 소리에 놀라 그만 암소가 논을 갈다말고 도망치고 말았습니다. 그격에 박씨는 백양나무의 어린가지를 하나 자르게 됩니다. 암소를 몰기 위해 필요했던 막대기는 집으로 가져가 싸라나무 담장에 꽂혀 졌다가 재희의 종아리를 치는 회초리로 변하고는 박씨의 손에 의해 뒷간에 가서 똥친 막대기가 됩니다. 똥친 막대기는 자신의 몸에 묻는 똥때문에 서럽게 현실을 비관하지만 재희의 손에 들려 재희를 약올리는 동네 조무래기들을 혼내주는 막대로 그러다 재희를 따라 모네기 하는 들로 나가 도랑에 버려졌다가 개구리잡는 낚시대로 변신을 꽤하기도 하다가 다시 재희의 손에 버려지고 비가 내린후 홍수에 의해 정처없이 흘러 내려가게 됩니다. 자신의 의지가 아닌 남의 힘으로 자신이 원하지 않던 곳에 버려지게 되지만 도랑과 홍수에 의해 물을 마음껏 들이마신 막대기는 막대기가 아닌 어린 나무로 뿌리를 내리고 어미 백양나무가 멀리 보이는 곳에 뿌리를 내리게 됩니다.
 
어찌보면 보잘것 없으면서도 무생물처럼 무관심의 대상인 막대기 하나를 놓고 이렇게 구구절절 어린시절을 회상하고 그 정겨운 추억에 잠길 수 있게 해 놓았는지 작가님의 무한한 상상력에 둥실둥실 떠 내려가 내 어린시절에 놓인 것 같은 착각에 빠져 들었습니다. 찰랑찰랑 귀밑을 맴도는 단발머리하며 수돗가에서 세수대야에 발담그고 종아리를 씻는 것하며 싸리담장에 광주리에 새참을 이고 가는 모습들, 암소가 논을 쟁기질 하는 것등 모든 것들이 내 어린시절과 일치하는 면이 너무도 많아 잠시 작가를 따라 내 어린시절을 타임머신을 타고 여행하고 온 듯한 느낌에 절로 다음편이 기다려지는 글이며 내용을 잘 표현해준 삽화가 참으로 정겨움에 한번더 보게 되었답니다.
 
'어떤 처지에 놓이더라도 꿈을 잃지 말 것이며 희망을 가지고 앞을 바라보라고 격려하곤 하지요..' 하는 말처럼 작가는 현실이 힘겹고 내가 바라던 바가 아니어도 꿈을 잃지 않으면 언젠가는 꿈을 이룰 수 있고 희망이 곧 찾아 온다는 이시대에 딱맞는 희망메세지를 '똥친막대기'를 통해 말하고 있어 더욱 와 닿는 그림소설이었답니다. 희망메세지와 함께 고향의 푸근하고 정겨운 모습을 표현하고 있어 읽는 재미가 있는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소설이라 겨울방학을 맞은 아이들에게도 꼭 권하고 싶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