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5년 4월
평점 :
사랑에 나이란 없다...
제목만으로는 보면 내용이 조금 이상할 듯 하지만 읽어보면 예상을 완전히 빗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대표작가인 가스시아 마르케스, 그는 늙고 소외 되고 죽음에 임박한 나이이지만 아름다운 사랑에 눈을 뜰 수 있는 아직 살아 있다는 것을 여실히 나타내듯 90의 노인이 14살의 소녀를 만나 사랑을 하는 이야기를 약간의 환상을 곁들여 멋지게 보여주고 있다. 살아 있다는 것을 감사해야 하는, 현실에 감사하며 살라는 충고처럼 다가왔다.
주인공은 ’서글픈 언덕’이라고 불리는 곳에서 신문에 칼럼을 쓰며 일을 돌봐주는 다미아나의 도움을 받으며 오백여명이 넘은 창녀와 한번도 돈을 지불하지 않은 적이 없는 섹스를 즐기며 살아가고 있다. 그녀들과의 관계는 단지 사랑이 아닌 본능에 충실한 것이라 하였다면 아흔살이 생일날에 만난 14살의 소녀, 그가 이름하길 델가디나와의 만남은 처음부터 사랑이었다. 그녀와 몸을 나누어서가 아닌 그 자체만으로도 사랑을 느낄 수 있는 존재, 그녀를 만나고 그의 삶은 모든것이 변했다. 칼럼의 내용도 연애편지를 쓰듯 변했고 그녀를 찾아 갈때면 그는 그녀에게 어울리는 선물을 하기도 하고 아흔이지만 새로운 삶을 살 듯 그는 새로운 날을 맞이한다. 그동안 그가 돈을 지불하고 관계를 맺었던 창녀들은 그가 델가디나를 만나기 위한 다리역할을 하듯 그의 삶이 다시 시작되듯 새로움을 느낀다.
아흔, 혹은 그나이에 살아 있기도 하고 혹은 그보다 못한 건강을 가지고 있기도 한데 그는 나이보다 이십살은 젊어 보이기도 하고 14살이 소녀를 보고 사랑을 느끼듯 마지막이 아닌 삶과 사랑은 언제고 시작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그녀와의 사랑을 몸을 나누는 관계가 아닌 그녀 자체만의 존재만으로도 충만한 행복한 삶을 느끼게 되지만 뜻하지 않은 유곽에서의 살인사건이 일어나고 델가디나의 행방이 묘연해지고 그녀와 얼마간 떨어져 있던 시간동안 그녀가 변한듯도 하고 그가 생각했던 그녀가 아니라는 생각에 그동안 가졌던 환상을 깨듯 물건이나 집기들을 부수기도 했지만 그녀 또한 그를 사랑하고 있다는 말에 그는 다시 사랑으로 돌아온다.
가끔 우린 마흔이 지나고 한참의 권태로움에 빠진 나이에 <다시 사랑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을 하기도 하는데 이 책은 그에 맞는 답을 들려주는 것 같다. 사랑의 감정은 나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어떻게 삶을 받아 들이고 생각하고 자신을 변화시키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말해주는 듯 하다. 단편보다는 조금 많은 페이지인 150여 페이지 밖에 되지 않는 이야기이지만 삶에 좀더 적극적이고 충실하라는 충고처럼 여겨지고 라틴아메리카의 대표 작가라는 말이 실감이 났다. 어느 한 순간 삶이 중요하지 않은 때가 있을까, 마지막 그 순간까지도 최선을 다하고 살아 있음에 감사하며 살라는 작가의 말이 연말을 맞아 더 깊게 자리한다.
육십 대는 이제 더 이상 실수할 시간이 남아 있지 않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가장 열심히 산 시기였다. 칠십 대는 이것이 내 인생의 마지막 기간일 수 있다는 생각에 끔찍했다. 그러나 아흔 번째 생일에 델가디나의 행복한 침대 속에서 살이 있는 몸으로 눈을 뜨자, 인생은 헤라클레이토스의 어지러운 강물처럼 흘러가 버리면 그만인 것이 아니라, 석쇠에서 몸을 뒤집어 앞으로 또 90년 동안 나머지 한쪽을 익힐 수 있는 유일한 기회라는 흡족한 생각이 머릿속을 스쳐갔다
나이란 숫자가 아니고 느끼는 것이라고.... -81p
☆ 저자의 또 다른 작품으로 1967년 <백년 동안의 고독> 『낙엽』『아무도 대령에게 편지하지 않았다』『콜레라 시대의 사랑』1982년에 『백년동안의 고독』으로 노벨 문학상을 탔으며, 최근에는 자서전 집필에 몰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