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제발 똥주 좀 죽여 주세요.. 완득이의 진심일까...
'제발 똥주 좀 죽여 주세요. 이번 주 안에 안 죽여주면 나 또 옵니다. 거룩하고 전능하신 하나님 이름으로 기도드리옵나이다. 아멘..아고 뭐 이런 무섭고 발칙하고 겁나는게 없는 애가 있어 하면서 첫장을 펼쳐서 읽는데 킥킥.. 웃음이 절로 나온다. 똥주,그는 그의 담탱이며 그와 같은 동네 옆집의 옥탑방에서 산다. 그가 시간이 날때마다 불러대는 '완득아, 완득아..' 에 앞집남자는 열받아 소리친다. 그렇게 둘은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도 없고 멀리할래야 멀리할수도 없는 찰거머리같이 시간을 함께 한다.
완득은 편부아래서 외모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스케치에 나올듯한 완벽함을 갖춘 '나름 삼춘인 남민구'와 함께 산다. 아버지도 난쟁이라고 놀리듯 모자란데 옆에서 함께 다니는 삼춘마져 입을 열면 다다다다.. 하듯 말더듬이라 모두의 웃음을 사지만 그래도 꿋꿋한 우리의 완득이는 엄마한번 안찾고 씩씩하게 잘자랐다. 카바레에서 일하는 삼촌과 아버지때문에 싸움이 몸에 베어 말보다 주먹이 먼저 나가기는 하지만 그래도 교회에도 꾸준히 나가고 학교에도 열심히 나간다. 비록 책상에 엎드려 퍼질러 잠자지만 씩씩하다.
그런 그에게 날마다 교회로 향하게 하는 인물이 있으니 담탱이인 '똥주', 티격태격 싸우면서도 그가 진짜 죽을까봐 몹시 걱정하는 어린 소년이기도 하다. 완득이네는 정말 돈이 없어 옥탑방에 살지만 똥주는 부자인 아버지를 두고 왜 옥탑방에 살면서 외국인 이주자들을 위해 일하는지 그는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자신도 몰랐던 엄마의 존재가 베트남 여자라는 것을 알고는 똥주와 함께 술도 마시고 싸움이 아닌 운동을 하기 위해 킥복싱장에 나가 운동을 배우기도 한다. 학원비를 대기 위해 어려운 아버지에게 손을 벌리기 보다는 손수 알바를 해서 학원비를 충당하는 믿음직스런 아들이기도 하다. 그가 주먹을 날리고 몸을 날리는 것은 오로지 '아버지'를 위할때만이다.
까마득했던 엄마라는 존재가 부각되면서 완득이의 삶도 조금씩 변해간다. 엄마가 가져다 주는 반찬이며 낯선 '어머니'를 부르게 된것이며 엄마에게 전화까지 하는 완득이, 엄마와 어느날 시장에 가면서 폐닭은 사는 엄마를 보고 엄마가 자신을 위한 반찬을 한 것이 아니라 아버지를 위한 것이었다는 것을 알고는 점점 엄마에게 마음의 문을 여는 완득이. 엄마의 낡은 분홍 꽃술이 달린 단화를 보고 굽이 높은 구두를 사주는 따듯함에 가슴이 뭉클.
똥주, 진짜 선생님 자격증이라도 있나 검사해봐야 할것만 같은 선생같지 않은 선생님.학생보다 욕을 더 잘하고 완득이 햇반이나 뺏어 먹지만 그는 않보이는 그림자처럼 완득이네와 외국인이주자들을 돕고 있어 알면 알수록 괜찮은 인물이다. 누구보다 완득이의 미래를 걱정하고 삐뚫어나갈까봐 옆에서 지키는 선생같지 않은 선생이다. 일자리를 잃은 완득이 아버지를 위해 그가 산 교회집을 댄스장으로 바꾸어 아버지와 동업을 하는 이상한 선생님, 그래서인지 더욱 정감이 간다. 목에다 괜히 힘이나 주고 다니며 큰소리 치는 것보다 학생과 그 어려움을 함께 극복해보려는 따사로움이 숨겨져 있어 더욱 인간다운 정이 느껴진다.
어찌 보면 이 소설에는 완득이가 사이비교회라고 생각하는 그곳처럼 사이비만 등장하는 것 같다. 그러면서도 정이 넘쳐난다.모자란듯한 사람들이 모두 모여 완전함을 이루는 소설이다. 그러면서 성장해 나가는,아픈만큼 성숙해진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 같다. 키득키득 거리다가도 가슴이 뭉클해지는 것은 장면장면들이 영화처럼 금방 영상으로 생각할 수 있기도 하다는 점이다. 옥상에서 둘이 서로 마주보며 큰소리로 불러대는 똥주와 완득이, 문자로 보내거나 전화로 하면 간단할 것을 꼭 큰소리로 불러 앞집 아저씨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는 점이며 폐닭으로 만든 백숙을 놓고 먹는 장면들이 넘 웃긴다. 웃다가도 속으로는 완득이에게 은근히 건투를 비는 '홧팅'을 날리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오뚜기처럼 꿋꿋하게 일어나리란것을 알지만 그가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완득이 만한 아이를 키우고 있는 엄마이며 그 시절을 거쳐왔기 때문일까. '고완득,암튼 너때문에 한참 웃었다.' 아껴가며 읽기를 뒤로 미룬 보람이 있다. '완득아! 완득아, 새끼야! 꾀꼬리는 얼어 죽을, 어제 호박죽 나왔지! 하나 던져!' 마지막까지 웃음의 끈을 놓치 못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