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눈먼 도시에서 나 혼자 세상을 볼 수 있다면...
 
 
잠깐 책 소개를 보았는데 너무 흥미롭다. 아무리 상상속의 이야기지만 그런 세상이 앞으로 오지 말라는 법도 없으니 더 흥미롭다. 이 책을 읽다보면 소설 <로드>의 앞부분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런 단계를 거쳐 점점 모든것들이 멸망해 갈것만 같은 생각이 든다. 미래는 더 좋지 않으면 더 나쁜 세상일듯 한데 요즘 나오는 책들을 보면 <멸망>을 소재로 다룬 것들이 종종 있어 아직은 작가의 상상속이지만 그래도 무섭다. 이 책의 느낌도 무섭고 섬짓하면서 현재의 시간들이 얼마나 감사한지 더욱 <보이는 것>에 대하여 소중하게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은 문장이 계속 이어져 있어 현실과 비현실을 구분하지 못하게 하면서 환상적으로 이끌어 나간다. 정말 이 소설이 현실이었다면.. 하는 아찔함이 책을 읽고 있는 두 눈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새삼 깨닭게 된다. 어느날 우연히 운전을 하던 남자가 신호등 앞에서 갑자기 눈이 보이지 않으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온통 하얗게 보이는 세상,아니 갑자기 장님이 된 그는 어쩌지를 못한다. 집근처이지만 남의 도움이 없이는 단한발짝도 집가까이 갈 수가 없다. 그런 그에게 한남자가 도움을 주고 집에 데려다 주지만 그는 차도둑이다. 그의 차를 훔쳐 가던 그도 갑자기 눈이 먼다. 눈먼 남자를 본 사람들은 도미노처럼 모두가 눈이 멀어간다,갑자기...
 
세상에 눈이 안 보이는 것이 이렇게 안타까울 수가. 희미한 그림자만이라도 좋으니 볼 수만, 볼 수만 있다면.. 102p
 
처음에 눈이 멀었던 남자를 치료한 안과의사도 집에 돌와아 이 희귀한 현상이 무엇인지 찾다가 눈이 멀고 만다. 그 병원에 있던 모든 눈질환 환자와 간호사들은 눈이 멀고 만다. 안과의사는 보건부에 알려 지금 발생하고 있는 <백색공포>에 대하여 말하여 주지만 눈이 먼 자들은 정부에 의해 <정신병원>에 감금당하고 만다. 하지만 유일하게 눈이 보이는 사람, 안과의사 아내는 눈이 보이지만 언제가 자신도 눈이 멀것을 생각하고는 남편을 따라 정신병원에 들어가 그들의 손과 발이 된다.
 
무엇이 옳으냐 무엇이 그르냐 하는 것은 그저 우리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서로 다른 방식일 뿐이예요.. -387p
 
사회로부터 격리된 그들은 눈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 먹을 것도 모자라고 눈이 보이지 않으므로 해서 <수치심>을 잃었다. 아무곳에서나 배설을 하고 눈이 보일때 가졌던 감정과 행동들과는 판이하게 다른 행동을 보인다. 하지만 그 모든것을 보아야 하는 안과의사의 아내.그녀는 보인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어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들이 무리한 요구를 할까봐 그들처럼 행동하고 말한다. 과연 우리에게 <눈>이란 어떤 존재인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차이가 얼마나 큰지 소설은 말해주고 있다. 단지 눈이 보이지 안는 것으로부터 파괴되어 가는 것들,정신병원에서의 눈먼 자들의 생활은 우리 사회의 축소판을 보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된다. 그러면서 리얼한 인간의 내면을 잘 표현한것 같다. 처음엔 문장부호없이 이어지는 문장이 읽는데 조금 거침돌처럼 느껴졌지만 나름 재미도 있고 또 다른 묘미를 주는 것 같아 과연 눈먼 자들이 어떻게 하여 눈이 멀었으며 어떻게 다시 세상을 볼 수 있게 될까 그리고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 하는 의문에 소설에 집중할 수 있게 만들었다.
 
우리는 눈이 머는 순간 이미 눈이 멀어 있었소. 두려움 때문에 눈이 먼 거지.그리고 두려움 때문에 우리는 계속 눈이 멀어 있을 것이고,지금 말하는 사람은 누굽니까.의사가 물었다.눈먼 사람이오... -185p
 
내 목소리가 나요, 다른 건 중요하지 않소.. -408p
 
단지 눈이 보이지 않는다고해서 <진실>이 감추어질 수 있을까... 눈이 멀었기에 더욱 예민해지는 후각과 청각이 은폐하려던 진실을 들어내는 것 같아 보이지만 눈이 보이지 않아도 진실은 감출수가 없는것 같다. 혼자서 너무도 힘든 현실을 보아야 하기에 '나도 눈이 멀었으면 좋겠어요..' 하는 유독 혼자서 눈이 보이는 여자, 모두를 포기하고 싶으면서도 혼자 눈이 보인다는 이유하나만으로 모두의 눈이 되어 길을 안내하는 당차고 꼭 필요한 등대같은 존재. 왜 그럼 여자 혼자만 눈이 보였을까 의심이 든다. 남자가 아닌.. 정신병원에 감금되었을때 남자들의 조직성이 집단을 무력하게 만들었을때 그 집단을 와해시켰던 여자의 힘, 그녀가 존재했기에 소설은 더욱 빛난것 같다.
 
우리는 세상에서 눈이 두 개이고 팔이 여섯 개인 유일한 여자예요.. -393p
 
내가 그 상황에 처했다면 난 어떻게 그 현실을 모면했을까.. 소설은 읽는 동안 계속 생각하게 만든다. 정신병원에서 탈출을 할때도 그렇지만 눈먼 자들을 이끌고 거리로 나와 거처할 곳과 먹을 것을 찾아 헤매이는 여자를 쫓으며 주저앉지 않고 모두를 살 게 만드는 그녀를 보며 희망이 없는 곳에서도 <희망>은 어디엔가 존재한다는 것을, 눈먼 자들의 통솔자이며 대변인이며 그들이 못 보는 진실을 봐야만 하는 여자,그들보다 고통을 두배는 더 느껴야 하는 여자,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이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면 사람들이라는 거죠...-461p  인간의 양면성,진실과 감추어진 것의 양면성, 선택이나 양심의 양면성을 통쾌하게 들어내 보이며 치밀하게 조이는 듯한 구성에 잠시 정신병원에 감금당했다 풀려난것처럼 만드는 소설이 그의 또다른 작품 <눈뜬 자들의 도시>를 읽어봐야 할 듯 하다. 한줄의 상상이 너무도 멋진 소설을 만들어 냈다. 요즘은 상상에 빠져라... 라고 외치며 교육 또한 상상으로 풀어나가며 EQ,IQ를 자극하는데 소설은 작가의 상상이 정말 멋진 집을 지은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