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같은 아빠 되기 - 우리아이 평생자산
김대중.김선돌 지음 / 브렌즈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친구같은 아빠로 거듭나기...
 
아이에게 친구같은 아빠가 되는것은 어떤 것일까..무척 궁금해졌다. 책의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어느신문에서 잠깐 한부분을 접했기에 궁금했지만 그의 아들이 특정인들의 로망인 <민사고>졸업하고 아빠와 같은 고대 동문이 되었기에 그리고 한때는 우리집에서도 민사고를 가기 위하여 노력하던 녀석때문에 힘든 시간을 보냈기에 어떻게 하여 한마디로 말하면 성공적인 자식교육을 하였는지 더욱 궁금해졌고 볼 수 있다.
 
민사고, 그 이름만으로도 정말 힘든곳이며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가는 곳인지 절감했기에 더욱 그들의 이야기는 남얘기처럼 들리지 않았다. 아빠는 한마디로 아이의 그림자처럼 그렇게 만난것 같다. 아이가 처음 세상에 나왔을때 그가 군대생활을 했기에 아이에게 더욱 각별하게 다가간것 같으면서도 아들이 하나이기에 모나지 않게 키우기 위해 기울인 그들의 노력이 정말 대단한것 같다.
 
아빠 이야기로 중점을 이루고 있어 엄마는 아빠만큼 했을까 하는 의문도 들지만 어찌 아빠만의 노력으로 자식농사를 성공적으로 이루어 낼을까.숨은 노력의 일등공신은 분명 엄마의 몫이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요즘 뜨고 있는 '알파맘 베타맘'처럼 엄마들의 노력이 아닌 아빠도 동등한 입장에서 교육에 참여했다는 것이 정말 와 닿는다. 자식 교육은 비단 <엄마> 혼자만의 몫이 아닐지언데 우리나라 대부분의 가정을 보면 엄마에 의해 아이들이 좌지우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아빠들은 아이들교육이나 자식일에는 동떨어져 있는데 정말 열성적으로 자식교육에 참여하고 발벗고 나섰다는 것이,꼼꼼하게 챙겨주며 함께 했다는 것이 정말 대단하다.
 
어려서부터 아이의 소질을 발견하고 아이의 능력을 키워 주었으니 '알파파파'라고 해야하나.. 아이가 공부하는 시간에 함께 공부하기 위하여 아내와 함께 통신대에 함께 다녔다니기도 했다는 것을 보니 정말 대단한 열성이라고, 부모의 본보기를 정말 잘 보여주었다는 것을 실감했다. 나 또한 아이들이 공부할때는 티브이 드라마 보다는 책을 읽으려 노력하지만 매시간 그렇게 한다는 것은 힘들다는 것을 안다. 특히나 시험기간에는 함께 책을 읽으며 늦은시간까지 함께 해 주려 노력하지만 하루 이틀도 아니고 지치기도 하고 힘들다는 것을 잘 알기에 책을 읽어나가면서 대단하다는 생각밖에, 그리고 함께 공부했다는 것은 본받을만했다. 아이들이 공부하는 기간에 나도 통신대를 함께 다녀볼까 하는 생각도 해 보았는데 늘 의욕은 앞서는데 망설임에 다음으로 미루고 있었다는 것이 새삼 후회스럽게 느껴지기도 했다.
 
아이들에게 부모라는 교과서외에 더 좋은 것은 없는것 같다. 열마디 말보다 한번의 본보기로 부모의 습관을 보여준다면 자연히 책을 읽게도 될 것이고 공부도 하게 될 것인데 언행일치가 되지 않는 '공부해라..' 언제나 명령조로 아이들에게 말을 던져놓고 나몰라라 했던 지난 시간들이 미안하기도 하고 앞으로 더 잘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던 책이다. 아이들과 무엇보다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것은 많은 대화를 하는 것일것 같다. 많이 부대끼고 많이 대화를 나누고 많이 여행하며 경험하고 체험하고 그보다 더 좋은 것이 있을까... 부자아빠 보다는 친구 같은 아빠가 되기 위한 작가의 노력이 한번쯤 새겨볼만 하지 않아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