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암살사건
김재희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이 작품을 쓴 작가의 다른 작품으로 '색 샤라쿠'를 먼저 만나 맘에 들어서 이 작품도 읽게 되었다. 이 작품은 '한글' 를 놓고 일본과 한국간에 벌어지는 암투와 살인사건을 다룬 작품인데 읽는내내 한편의 영화를 보고 있는듯한 착각이 들기도 했다. 워낙에 추리소설을 좋아해서 읽으며 생각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술술 잘 읽히면서도 우리 역사와 문화재에 대해 생각해 보게 만드는 작품인것 같아 기분이 좋았다.  


지하철에서 우연히 일어난 소매치기 사고에 희생물이 된 어느 가죽재킷를 입은 남자의 지갑이 털리고 그자리에서 잡힌 범인들과 경찰서에 나타나 자신의 지갑을 찾으려던 가죽재킷의 의문에 사나이에 의해 형사 현석의 동료인 신참이며 한참 신혼인 신형사가 의식불명이 되지만 끝까지 지갑을 빼앗기지 않아 지갑을 살펴보게 되고 지갑속에서 나온 의문의 종이 한 장에 적힌 주소와 이름...  


현석은 의식을 잃은 동료를 구하기 위하여 주소와 이름을 보고는 연세대 사학과 서민영 교수를 찾아간다. 너무 젊은 나이로 보여 조교이려니 했던 그녀를 만나면서 의문의 종이 한 장은 커다란 파장으로 둘 사이를 가깝게 만들고 현석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점점 사건에 깊게 말려 들어간다. 그 종이는 다름아닌 그녀의 아버지가 그토록 찾아 다니던 '훈민정음 원류본 마지막 낙장' 이었던 것. 그 종이가 진품인지 가품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아버지의 친구인 전각장인인 구씨 아저씨에게 그 종이를 건네줌으로 인하여 구씨 아저씨는 죽음을 맞이하게 되고 구씨 아저씨의 죽음에서 그가 마지막에 피로 남긴 부호로 인하여 낙장과 아버지의 유서가 숨겨져 있는 책을 찾아 다시 낙장과 유서를 손에 넣지만 암호처럼 써진 아버지의 유서를 판독하지 못한 민영은 국립박물관에 있는 오랜 지기인 해철에게 낙장의 진품을 가늠해 달라고 맡기지만 그들의 뒤를 쫓고 있던 도고라는 남자에게 빼앗기게 되고 만다.  


먼은의 재웡의 으아즈닌 긴완의 몬흔 굿애 기 그완의 읐이느
머떵흐 기굿애사 첮일즈아더
핌략바글시 솽싀 밈방슬 겨눴건 바라세 비쳬싀 맴시 뭄서 싰가
어머니의 낮과 밤이 바뀌고 아들은 한 계절씩 앞당긴다.
-서민영의 아버지가 남긴 유서 -  


민영은 아버지가 남긴 유서를 여러모로 해석해보지만 해석이 안되던 가운데 우연히 현석이 그 유서에 쓰인 문장을 풀 열쇠를 찾아 그녀와 해철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해석한 가운데 유서의 비밀을 푼다. 하지만 훈민정음 원류본이 있을만한 문화재들을 찾아보지만 점점 미궁으로 빠져들고 그들의 뒤를 쫓는 일본인 '도고' 는 더욱 목을 조여오듯 그들을 그림자처럼 따른다.이 일이 성사만 되면 자신의 신분및 가족의 신분회복을 보장받는다는 목적이 있어 그는 현석과 민영이 훈민정음 원류본만 찾기를 바란다.  


한편 우여곡절끝에 훈민정음 원류본을 찾아내기는 하지만 그녀와 그녀 아버지의 연구를 비웃던 허교수의 몫으로 돌아가지만 첫장을 들춰보던 민영은 허탈함에 빠진다. 마츠코토 다케오, 도고의 마지막 변심으로 인하여 모든 일의 진위가 가려지고 무언가 아버지의 유서에서 잘못 해석한듯 하여 현석과 함께 훈민정음 원류본이 있음직한 곳으로 향하였지만 끝내 진실을 덮어두는 민영,하지만 사건을 함께 하며 싹튼 둘의 사랑은 마지막 결실을 맺으며 끝을 맺는다.  


<다빈치 코드>와 비슷한 구조로 이루어진 우리나라 역사와 세종의 훈민정음 그리고 일본까지 합세하여 펼쳐지는 한 편의 영화를 보듯 하는 추리소설이다. 영화로 된다고 하여도 재미가 있을 듯 하며 우리 한글의 우수성을 알릴 수 널리 알릴 수 있을 듯 하다. 560여년된 우리글이지만 작가는 작품에서 그 근원은 단군으로 올라가 다른 어느 나라 언어보다 우수함을 빗대어 말하고 있는것 같다. 세종이 만든 한글이 그 글을 중심으로 하여 이렇게 멋진 작품으로 태어났으니 그 우수성은 입증이 된 듯 하다.작가의 추리소설은 이제 시작인듯 하다. 역사와 역사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더욱 재밌는 픽션이 더 많이 그녀의 품에서 태어나길 바래본다.그녀가 말한 '역사는 기억하는 자의 것이란 말이 있어요' 처럼 기억되는 기억해야 하는 역사의 한부분이 멋진 작품으로 새롭게 태어난다면 역사는 현실에 재탄생을 하는것이리라.  


'사과는커녕, 난징에서 대학살이 일어났다는 사실 자체를 부인하고 교과서에는 일체 싣지도 않았죠.우리가 아직도 일본을 이해할 수 없는 결정적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어요.독일은 홀로코스트대학살을 의무적으로 역사시간에 가르치고 있어요.절대로 미화하거나 숨기지 않아요.있는 사실 그대로를 가르치죠.하지만 일본은 학생들에게 심지어는 왜곡된 역사를 가르치죠.이게 바로 일본과 타협이 절대로 불가능한 지점이에요.' - 164p  


일본과 우리나라는 아직도 끝나지 않은 싸움을 벌이고 있다. 세계대전의 전범들은 역사앞에서 그 죄값을 치뤘지만 일본의 전범들은 죄값은 커녕 정부의 요직에 자리잡고 앉아 피해자와 가해자를 바꿔치듯 오류의 역사를 세습시키고 있는데 그들이 역사속으로 사라지지 않는 한 오류의 역사는 고쳐지지도 않을 것이며 잘못된 역사교육을 받은 일본의 미래는 불을 보듯 뻔하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역사 교육도 좀더 더 큰 의미로 자리매김하길 바래본다. 제2외국어와 입시교육에 밀려 뒷전에서 대접도 받지 못하는 우리 국사교육이 하루빨리 제자리를 찾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