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지붕 위에서 희미하게 반짝이는 달들을 셀 수도 없었고
벽 뒤에 숨은 천 개의 찬란한 태양들을 셀 수도 없었네.”

책의 제목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은 17세기 유명한 페르시아 시인인 사이브에타브리지(saib-e-tabrizi)가 카불에 대해 노래한 시에서 따왔다.
 
하라미(사생아를 비하하는 말)로 태어난 마리암은 엄마와 함께 숲속 오두막에서 살아간다. 그의 아버지는 잘릴 한으로 재산도 많고 그에겐 부인도 셋이나 있으며 자식이 마리암을 포함하여 열한명이나 된다. 다른사람들은 모두 그의 집에서 살았지만 그녀는 하라미라는 이유로 그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엄마에게는 마리암이 전부인데 마리암은 아버지의 자식들속에 포함되기를 늘 꿈꾼다.아버지의 자식들이 식료품을 가져다 주기 위하여 오두막집에 와도 엄마는 늘 경계를 하여 그녀의 주머니에는 작은돌들이 가득하다.마리암에게는 코란을 가르치러 오는 파이줄라 선생이 그녀가 세상으로 나가는 대변인처럼 받아들여진다.
 
어느날,그녀의 생일날 함께 하길 원했던 아버지가 나타나지 않자 그녀는 그의 집으로 무작정 간다. 그의 집앞에서 제지당하여 들어가지도 못하고 밤을 샌 마리암을 다음날 집으로 데려다 주던 하인이 문득 발견한 엄마 나나의 죽음,그녀를 떠나 잘릴에게 가면 죽어 버리겠다던 엄마는 그녀가 떠난후에 자살하고 만다.엄마의 죽음으로 인하여 잘릴의 집으로 들어가지만 잘릴과 그의 부인을 그를 떼어놓기 위하여 라시드에게 시집을 보낸다. 한번 상처한 라시드는 그녀보다 나이가 많은 사십대에 구두방을 운영하는 사람이지만 그녀에게 무척이나 자식을 원한다. 하지만 첫 임신부터 유산을 거듭하던 그녀는 일곱번이나 유산을 하고는 아이를 갖지 못한다.
 
한편 마리암의 집에서 가까운 거리에 교사가 살고 있었는데 그들은 두 아들을 두고 늦둥이로 딸 라일라는 얻는다. 그녀에게는 전쟁에 나간 두 오빠를 대신하듯 남자친구인 타리크가 그녀와 삶을 함께 한다. 전쟁에 나갔던 두 오빠는 전쟁터에서 처참하게 생을 마감함으로 엄마의 삶은 어둠으로 잠수하고 만다. 한편 아버지는 교사직에서 쫒겨나 빵집에서 일을 하며 살았지만 그들의 삶은 전쟁으로 인하여 늘 어둡다.전쟁을 피하여 옆에 살던 타리크가 떠나고 친구들의 죽음을 맞이한 라일라도 카불을 떠나고 싶어 하지만 엄마가 좀처럼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 그러던 차에 카불을 마침내 떠나기로 하고는 짐을 싸던통에 포탄이 집을 강타해 아버지와 엄마가 죽게 되고 라일라도 커다란 상처를 입고 집더미에 깔린것을 라시드가 구해 그의 집으로 데려가게 된다. 마리암과의 관계가 소원하던 차에 라시드는 라일라에게 타리크가 죽었다며 거짓으로 그의 죽음을 믿게 한 후 그녀와 결혼을 한다. 그녀도 마침 뱃속에서 타리크의 분신이 자라고 있음을 감지하고 그의 결혼을 받아 들인다.
 
마리암은 자기의 자리마져 빼앗길까봐 그녀에게 촉수를 곤드세우고 그녀와 늘 불편한 관계를 맺는다. 한편 라일라는 딸을 낳고 딸로 인하여 그녀의 삶은 딸이 모두 차지하게 되고는 서서히 딸과 라시드에게서 떠날 준비를 하던차에 마리암과 함께 떠나자고 제안을 한다. 라일라의 딸에게서 모성애를 느꼈던 마리암은 그녀와 함께 도주를 하지만 일이 뜻대로 대지 않아 다시 집으로 가게 된다.
 
라시드는 마리암에게 행하는 폭력을 라일라에게도 행하게 되고 그러므로 라일라와 마리암은 하나로 단결할 수 있게 된다. 라시드의 사이에서 아들 잘마이도 태어나고 아들과 아버지는 무척이나 결속력이 강한 삶을 살아가고 딸인 아지자는 뒷전으로 밀려 나는데 그런 한편 구두가게에 불이나 궁핍한 삶을 살게 되어 아지자를 고아원에 맡기게 된다.
 
마음 한편에 간직하고 있던 사랑 타리크를 아지자를 만나러 갔다가 우연하게 만나 그가 살아 있음을 알고는 라시드를 혐오하게 되는데 그가 그의 집에 왔음을 아들 잘마이를 통해 안 라시드는 라일라와 마리암에게 폭력을 휘두르게 된다. 그런 통에 라일라의 목을 조르고 그녀를 죽일 기세로 있는 라시드를 보는 순간 마리암은 그를 죽일 결심을 하고는 공구창고에서 삽을 가져와 그의 머리를 내려쳐 죽이고 만다. 그의 죽음으로 인하여 라일라는 타리크에게 갈 자유를 얻었지만 마리암은 그녀와 함께 도망가자는 말에도 라일라가 다칠까봐 그 잘못을 자기가 지겠다고 하며 남는다.
 
타리크를 만나고 딸이 타리크의 딸임을 알려준 후 그가 일하던 호텔에서 새로운 삶을 살던 라일라는 안정된 생활에 만족하지 않고 다시 고향 카불로 돌아갈 것을 제안한다. 고향으로 돌아가기전 마리암의 고향에 들러 그녀가 살던 오두막집에도 들러 보고 코란을 가르치던 파이줄라 선생도 찾아 보았으나 선생은 죽고 그의 아들이 잘릴이 남긴 상자를 라일라에게 전해준다.타리크와 상자를 열어 보고 잘릴이 마리암에게 남긴 감동의 편지와 돈이 들어 있음을 알고는 그 돈으로 아지자가 머물렀던 고아원을 새롭게 단장하며 그곳에서 고아들을 가르치며 새로운 삶을 일구어간다.
 
전쟁이 아직도 종식되지 않은 아프간,아직도 진행형이라 이 소설이 더욱 가슴에 와 닿았는지 모른다. 모든것이 페허가 된 그속에서 여자들의 삶이란 정말 처절하며 하라미의 존재는 더욱 처절하다. 하지만 페허속에서도 강인한것은 모성애다. 엄마라는 그 존재가 더욱 이 소설을 값어치 있게 만든다. 마리암의 밑바탕으로 인하여 라일라는 삶이 더욱 값지게 될 수 있었고 그 빛은 카불에 천 개의 태양처럼 고아들을 가르치며 더욱 빛나게 됨이 눈물 짠하게 만들었다.'세상의 모든 딸들이 읽어야 할 책'이라 했지만 누구나 읽어도 감동을 줄듯 하다.책을 놓았어도 마리암과 라일라가 한동안 머리에서 떠나지 않고 맴돌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