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박스 세트 - 전2권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홍도ㅡ그린다는 것은 무엇이냐?
윤복ㅡ그린다는 것은 그리워하는 것입니다.
      그리움은 그림이 되고 그림은 그리움을 부르지요.
정조ㅡ그림은 머릿속에도 ,서안 위에도, 도화서의 낡은 양식에도 있지 않다.
      그러니 너희는 거리로 나서 바람의 화원이 되어라.
 
 
<바람의 화원>은 조선의 궁중 화실 도화서를 배경으로 스승 김홍도와 신윤복이라는 두 천재와 정조의 삶과 예술,그리고 그림 속 비밀을 풀어가는 놀라운 추리력을 바탕으로 섬세한 내면 묘사와 절묘한 반전으로 강한 흡인력을 가진 소설이다.
 
궁중화실 도화서의 생도청에서 여인을 그린 그림이 발견되어 도화서는 물론 궁중이 발칵 뒤집힌다.그림을 그린 사람은 신한평의 아들 신윤복,그는 도화서를 나갈 뜻에서 그려서는 안되는 여인의 그림,춘화를 그린다. 하지만 그 그림을 본 선생 김홍도는 천재를 알아보며 자신의 삶이 그와 맛겨루어야 함을 인지하여 도화서에서 쫒겨날 위기에 처한 윤복을 자신의 옆에 붙잡아 둔다. 동생의 천재적 소질을 알아본 윤복의 형 영복은 동생을 위하여 자신이 죄를 뒤집어 쓰고 대신 단청실로 쫒겨난다.그는 화려한 색을 원하는 동생을 위하여 직접 색을 만들어 동생에게 주려고 어려운 일도 마다하지 않고 색을 쫒는다.
 
한편 정조는 십여년전에 의문사를 당한 강세황과 서징의 죽음을 다시 조사하라는 명을 김홍도에게 내린다. 형이 죄를 뒤집어 쓰고 단청실로 쫒겨나 도화서에서 구사일생한 윤복은 화원이 되고 정조의 부름으로 선생 김홍도와 함께 평민의 삶을 그림으로 그려 임금에게 서민의 삶의 일부분을 보여준다. 그림대결을 하며 김홍도는 윤복이 자신을 뛰어넘었음을 직감한다.
 
단청실에서 색을 만들던 영복은 윤복이 원하는 최고의 색을 만들어 윤복의 그림을 더욱 화려하게 만들어 준다. 윤복은 스승의 그림과는 달리 여인을 소재로 하는 그림을 두드러지게 잘 그린다. 기방에서 만난 '정향'을 마음에 담고 있던 윤복은 그의 그림에 유별나게 정향을 닮은듯한 기방여인의 그림을 많이 그린다.그런 그의 그림을 다른 화원들은 춘화라 하여 그를 도화서에서 내 쫒을 것을 건의하는 통에 김홍도와 둘이 어진화사를 하게 되는데 어진화사를 하면서 색을 쓰고 근엄한 임금의 얼굴이 아닌 웃는 얼굴을 그려 대신들의 빈축을 사던 중 모두가 어진을 잘못 그렸다는 빈축에 윤복은 어진을 임금앞에서 당당하게 찢고 만다.도화서에 갇혀 있음을 안쓰럽게 생각하고 임금과 어쩌면 윤복간에 은밀한 거래처럼되어 그는 화원에서 쫒겨나니 그의 아버지 신한평의 화실에서 사람들이 모두 나가 아버지를 살리는 길은 김조년의 화실에로 들어가는 길,한편 김조년의 별당에는 그가 마음에 품고 있던 정향이 있어 그는 김조년의 화실로 들어가기로 한다.
 
한편 십여년전에 의문사를 당한 강세황이 정조의 부름을 받고 어진화사를 하고 있었다는,사도세자의 어진을 그리고 있었다는 것을 알고는 그로 인한 타살임을 알고 어진을 찾던중에 그가 그려준 인물화 다섯점이 한부분씩 다르게 그려짐을 알고는 다섯부분을 합치어 정조가 원하던 어진을 완성한다. 어진을 완성하며 김조년이 의문사와 깊게 관계했음을 밝혀낸다.
 
김조년의 화실에 들어간 윤복의 그림은 형이 만들어준 색과 더불어 그림은 더욱 완성도 높아지고 홍도는 서징의 의문사를 조사하던중 서징의 딸이 없어짐을 알고 추적하던중 그의 딸을 신한평이 데리고 가 아들로 둔갑함을 알고는 윤복이 남자가 아닌 여자임을 알아낸다.첫 순간부터 그를 마음에 둔 홍도는 점점 그녀에게 빠져 들어간다.
 
그림을 읽는 남다른 재주를 가진 김조년은 윤복의 그림을 보고는 그가 정향을 마음에 두고 있음과 그가 여자임을 알고는 시대 최대의 그림대결을 할것을 요구한다.홍도와 윤복.. 그들은 김조년의 각본하에 시대 최고의 그림대결을 펼친다.마지막 그림의 평가는 무승부로 판명이 나고 김조년은 모든 재산을 잃고 십여년전 의문사의 주인공으로 의금부에 끓려가게 되고 정향은 윤복의 도움으로 탈출하게 된다.윤복은 홍도와의 그림대결을 끝으로 실체를 들어내듯 마지막 자신의 모습을 담듯 미인도를 완성하고는 역사속으로 사라진다.한편 선생 김홍도는 그녀가 없는 삶은 사계절이 없는 일 년 같이 보내며 산다.
 
<바람의 화원>의 이정명은 정말 이것이 역사적 사실인지 의문이 들정도로 사실적으로 묘사를 했다.남자라고 전해지는 신윤복을 여자라고 믿어야 하나 할 정도로 실감적으로 그녀를 표현해 냈다.그리고 김홍도와 신윤복의 그림을 잘 매체시켜 글의 구성을 더욱 탄탄하게 하였고 그림을 보는 눈을 더욱 깊게 해주었다.스치듯 지나갔던 그림에 대한 추리력,그 그림이 그려지게 되었던 정황등이 정말 사실감이 난다.
 
역사에서 사라진 사람 신윤복,여인의 그림을 능숙능란하게 그렸으며 누구도 감히 그리려 하지 못한 여인을 소재로 정말 다양한 표현을 적나라하게 한 화원,천재이면서도 당대에는 대접받지 못하는 화원,그에 반해 김홍도와 그의 그림들은 높이 평가되었고 대접받고 있다.그와 그가 무엇이 다르기에 역사는 한인물만 받아 들인것인지.천재는 같은 하늘아래 둘이 존재할 수 없음인가.책을 손에서 놓으며 그녀,의문이 들지만 신윤복의 삶이 새삼 안타깝기도 하고 의문투성이인 그를 더 깊게 알고 싶어졌다.조선시대 풍속도를 똑같이 그렸건만 남자를 주제로한 그림은 받아 들여지고 여자를 주제로 한 그림은 받아들여지지 않음이 나도 작가처럼 그가 여자임에 한표를 던진다. 예전 미술시간에 얼핏 들었듯이 미술선생님도 신윤복이 어쩌면 여자라 여자의 그림을 자세하게 그리지 않았나 싶다는 말씀이 뇌리를 스쳐 더욱 소설을 실감나게 읽은듯 하다.
 
이 소설을 읽고나니 그의 그림들이 더욱 눈에 선명하게 들어온다. 몇년전에 불국사에 놀러 갔다가 그가 그린 그림 '단오풍정'이 있는 부채를 사왔는데 다시 그 부채의 그림을 보게 되었다. 바위뒤에 숨어 여인들의 빨래터를 옆보는 두 동자승의 천진난만한 미소가 더욱 실감나게 보여지며 단오풍정은 다시 한번더 가슴에 새겨졌다.소설에서 사라진 뒷부분의 그의 삶이 궁금해졌다. 그림은 더욱 완숙해졌을 것인데 전해지는 그림과 그의 생이 없다는 것이 서글픈 역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