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칼의 노래,현의 노래.. 그의 책들을 읽고 나니 이제 그를 접하기가 그리 까다롭지 않다. 처음 칼의 노래를 읽을때는 조금은 낯선감도 있었는데 현의 노래에서는 매료되었다.문장이 유려하여 행간 사이에도 나도 모르게 빠져들게 만든다.
 
'남한산성' 그 아픔의 시간과 반대로 책의 표지는 곱고 아름답다. 누구와 사랑에라도 빠진것처럼 분홍빛의 표지가 마음을 잡는다. 어쩌면 그 아픔의 시간도 사랑해야 된다는 말처럼 느껴진다. 반대로 아픔을 승화시킨듯도 하다.
 
1636년 음력 12월, 청의 대군은 압록강을 건너 눈보라를 몰고 서울로 진격해 들어왔다. 남한산성이라는 고립의 시간을 임금과 신하,그리고 백성들과 함께 하는것처럼 그들의 숨결이 옆에서 느껴지는듯 하다. 인조의 한숨소리마져 들릴듯 한 사실감이 읽는 재미를 준다.
 
그해 겨울,
갈 수 없는 길과 가야 하는 길은 포개져 있었다.
죽어서 살 것인가,살아서 죽을 것인가.
 
진퇴양난의 나날속에 인조와 김상헌 최명길의 갈등,그리고 어려움 속에서도 그 어려움을 이겨내는 백성들의 겨울을 이겨낸 냉이같은 끈질긴 생명력,치욕스럽지만 살기 위한 아우성처럼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오듯 그들 또한 살아남아 봄을 맞이하는 남한산성.나보다는 남을 먼저 배려했기에 그들의 생명력이 지속될 수 있지 않았을까.
 
먼 아픔의 역사를 어제 일어난 일처럼 사실감이 있게 인물 하나 하나 모두 살아 움직이게 만들어 읽는 동안 지루함이 없이 그 시간을 대할 수 있었다. 딱딱하게 여길 역사를 매화나무 가지에 매화가 피어나듯 써내려가 다시금 47일의 아픔의 역사를 새롭게 부활시킨 <김훈>이라는 작가를 만난것이 올겨울 내겐 행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