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 이름이 뭐니

늘 보는 나무
이름도 몰라요 성도 몰라

나무 이름 꽃 이름 궁금해서 찾아보다가
조경 입문

국가자격 시험까지 보면서
빠져드는데

처음 접어든 길
이정표가 있으면 무얼해
읽을 수가 없는데

이 책 보고 저 책 보고
다 봐도 당최 정리가 안되더니
˝오오 찾았다 찾았어!˝
드디어
딱깔센
딱 알맞게
깔끔하게
센스 만점
정리된
{식물 학명 표기법의 4가지 원칙}

《정원의 발견》 써주신 오경아 작가님 감사합니다!!
《정원의 발견》 짱!!!
《정원의 발견》 포에버~~~





(40~41쪽)
...생소하고 읽기 조차 어려운 식물학명은 어떻게 읽고 외우면 좋을까?

1. 야생의 식물 이름 표기법

   Nymphaea alba

• 야생의 식물은 위와 같이 대부분 속명과 종명, 2개의 이름으로 표기된다.

• 속명은 반드시 대문자로 시작하고, 종명은 소문자로 표기한다.

• 속명과 종명은 모두 이탤릭체로 쓴다.


2. 재배종의 식물 이름 표기법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에 의해 새로운 재배종이 탄생을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자연상태 그대로가 아니라 인간에 의한 접목이나 인공수분 과정 등을 통해 만들어진 재배종은 일반적으로 다른 표기법을 갖는다.

   Nymphaea gigantea 'Albert de Lestang'

• 속명과 종명 뒤에 재배종 고유의 이름이 더 붙는다(밑줄 친 부분이 고유이름).

• 재배종 고유의 이름은 보통 재배자 자신의 이름 혹은 재배자가 붙인 특정 이름이 붙는다.

• 재배종의 이름은 작은따옴표를 달아주고 대문자로 시작한다.

• 모두 이탤릭체로 쓴다.


3. 교배종의 식물 이름 표기법

   Ulmus x hollandica 'Dampieri'

• 속명과 종명 사이에 영어 알파벳 x가 붙게 되면 속이 서로 다른 식물이 수분을 이뤄 새로운 재배종이 탄생한 경우다.

• 이런 경우는 흔히 잡종교배종 혹은 영어로 'Hybrid' 라고 부른다.

• 관상용으로 뛰어나게 예쁜 식물의 경우 이런 잡종교배종일 경우가 많은데 주의할 점은 잡종교배종의 경우는 씨를 통해 유전이 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 해에는 같은 색상의 꽃을 피울 수 없다. 대신 부모 둘 중 하나가 두드러져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4. 자연상태에서 이루어진 교배종 식물의 이름 표기법

   x Cupressocyparis leylandii


• 위의 경우처럼 x가 속명과 종명 사이에 등장하지 않고 맨 앞에 위치하는 경우는 인간에 의한 인위적 재배가 아니라 자연상태에서 속이 다른 두 식물이 수분을 이뤄 새로운 식물이 탄생한 경우다.



이와 같이 식물의 이름 안에는 식물 고유의 특징이 잘 담겨 있다. 때문에 식물 이름을 제대로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식물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 참고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 식물을 검색해보면 이 책에 나온 것과는 조금 다릅니다. 

방금 가서 '수련'을 검색해 봤는데 

학명이 

Nymphaea tetragona Georgi 

이렇게 나와요.

재배종 식물 표기법에서 

작은따옴표를 쓰는 대신

이탤릭체를 안 쓰는 식으로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도 막 들어가보고 

날마다 새로운 조경 공부

참 재미있습니다. 


 


 

*식물학명 표기법의 4가지 원칙

영어로 ‘Scientific name‘인 학명은 각각의 식물에게 붙여진 고유의 이름으로 전 세계가 같은 이름을 사용한다. 

또한 식물의 작명법을 개발한 칼 린네가 식물의 모든 이름에 라틴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흔히는 ‘라틴학명‘이라 불리기도 한다. 문제는 이 라틴어가 이미 사라져버린 언어여서 어떻게 읽는지 그 발음법이 제대로 남아 있지 않다는 점이다. 좀 더 쉽게 접근을 하자면 어떻게 발음을 한다고 해도 크게 잘못될 게 없고, 식물의 이름을 기억하는 것이중요하지 발음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다만 식물학명을 읽을 때의 몇 가지 원칙을 알고 나면 훨씬 더 쉽게 식물학명을 이해할 수 있다. 다소 생소하고 읽기조차 어려운 식물학명은 어떻게 읽고 외우면 좋을까? - P4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24-06-22 14: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찾아보니까 제가 오경아님의 책 <소박한 정원>을 읽은 것이 벌써 16년 전이네요.일은 책을 중고책으로 서슴없이 처분하는 저이지만 이 책은 아직도 간직하고 있어요.

오랜만에 정원의 발견도 한번 읽어볼까요? ^^

잘잘라 2024-06-22 23:45   좋아요 0 | URL
오~랜만에 오~경아님 책을~~! ^^

10년 20년이 뭐 어제 오늘 같은 이 느낌 아.... 알아버렸네요.

안 팔고 가지고 있는 책에는 말하지 못한 내 마음이 들어있는 것 같아요. 오랜만에 빗소리 들으면서 낮잠 실컷 잤어요. 어차피 오늘밤은 길어질것 같으니, 팔아버리지 않은 책에 든 마음을 한 번 들여다보겠습니다.

빗소리 다정한 밤에!!
 

와따메 병리작용 생리작용 엽록체가 어떻구 광도 광포화점이 어떻구... 인자 슬슬 골치가 아파오는구만. 오늘은 그만 하라는 뜻이지요.
집에 갑시다요~

1. 수목의 구조

• 영양구조: 잎, 줄기, 뿌리
• 생식구조: 꽃, 열매, 종자

2. 수목의 기능
• 임의 기능: 광합성기능, 호흡기능, 증산기능, 저장기능
• 줄기의 기능: 통로기능, 비대생장기능, 지지기능, 저장기능
• 뿌리의 기능: 호흡기능, 흡수기능, 생장기능, 저장기능

3. 수목의 생장
• 영양생장: 수고 생장, 비대 생장, 뿌리생장
• 생식생장: 꽃의 개화, 열매의 생장, 종자결실 - P2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서관은 춥구나.
에어컨 바람이 쎄구나.
내일은 긴 팔 옷을 하나 걸치고 와야겠다.

아이쿠야.
오늘 하루도 쏜살같이 지나간다.

오늘 확실히 알게 된 거,
[식물 학명]
- 학명은 속명과 종명으로 쓴다는 거
- 속명은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고 종명은 다 소문자로 쓴다는 거
- 둘 다 이탤릭체(기울임꼴)로 쓴다는 거
- 스웨덴의 과학자 린네에 의해서 식물 분류 토대가 만들어졌다는 거
- 학명은 라틴어라는 거



종은 무엇일까? 

종은 서로 교배가 가능한 집단이며, 
다른 종과는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식물 분류의 기본 단위는 종(단수는 ‘specie‘가 아니라species이며, 복수도 같다)이다. 단수를 나타낼 때는 ‘sp.‘
복수를 나타낼 때는 ‘spp.‘로 줄여 쓰기도 한다. - P36

종의 수명

대체로 식물은 수명이 긴 편이며 때로 수천 년을 살기도 하지만, 어떤 식물은 수명이 몇 주에 불과할 수도 있다. 

세계적으로 최장수 기록을 갖고 있는 식물은 미국 캘리포니아 화이트 산에 사는 피누스 롱가이바Pinus longaeva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트베이슨잣나무라고 불리는 이 식물은 2013년에 5,063살이었다. 

가장 수명이 짧은 식물 중에서는 유럽과 아시아와 아프리카 북서부에 서식하는 한해살이 식물인 아라비몹시스탈리아나 Arabidopsis thaliana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식물은 생활 주기를 6주 만에 완성할 수 있다. - P37

한해살이 식물은 발아, 성장, 개화, 종자 형성으로 이루어진 생활 주기를 모두 1년 안에, 또는 한 계절 안에 완성한다. 또는 위에서 예로 든 것처럼 훨씬 더 짧은 기간에 끝내기도 한다. - P37

두해살이 식물은 생활 주기를 완성하는 데 2년이 걸린다. 첫해에는 싹이 트고 영양성장(잎, 줄기, 뿌리의성장)이 일어난다. 그 후에는 휴면을 하면서 날씨나 환경 조건이 좋지 않은 기간을 견딘다. 그 이듬해에는 일반적으로 영양성장을 조금 더 한 뒤에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은 다음 죽는다. - P37

여러해살이 식물은 2년보다 더 오래 산다. 두해살이식물처럼, 여러해살이 식물도 해마다 휴면할 수 있다.
때로는 지면 위로 나와 있는 부분이 다 말라 죽기도하지만, 살기 좋은 계절이 되면 다시 자라나 해마다 꽃과 열매를 맺는다. 

정원가에게 ‘여러해살이 식물이라는 용어는 대개 풀을 뜻하며, 식물학자들은 이렇게 나무가 아닌 식물을 herb라고 부른다.

정원가에게 허브 herb는 완전히 다른 의미이다. 정원가와 식물학자의 전문용어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 P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물의 명명과 식물학에서 쓰는 라틴어는 초보 정원가들을 주눅 들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땅도 한 평 없는 내가 정원가를 상상한다.
상상의 나래를 펼친다.

식물의 명명과 식물학에서 쓰는 ‘라틴어‘가
초보 정원가를 주눅 들게 할 지 몰라도
나는 아니다.

조경 시험에 나오는 이름이라 들여다볼 뿐이다.
부담이 없으니까 되려 재미있다.
어.... 재미있으니까 계속 본다.

계속 보니까 욕심 난다.

장바구니에 넣어둔다.

일단..

언젠가 사겠지만 오늘은 아니다.

음... 적어도 오전은 아니고!

저녁에?

한밤중에?

자다가 깼을 때가 젤 위험하긴 하지.





식물의 명명과 일반명

식물의 명명과 식물학에서 쓰는 라틴어는 초보 정원가들을 주눅 들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생명체를 분류하는 분류학은 우리가 자연계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과학이다. 

분류학이 없다면,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는 식물이 무엇인지
우리가 기르거나 사고 있는 식물이 무엇인지 
어떻게 확신할 수 있겠는가. -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드닝을 위한 식물학』은 정원 일에 관심이 있으면서 식물 속 숨은 과학에 조심스럽게 발끝을 담가 보고 싶어 하는 사람을 위한 책이다.

과학적 내용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유지하며, 사용되는 식물학용어에는 모두 설명을 달았다. 

더 나아가, 실제 정원가들의 관심에서 너무 멀리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를기울였다. 그래서 내용 설명을 위한 예시들은 주로 정원가들이 알고 있거나 이미 키우고 있을 법한 식물에서 찾았다. 

책 전체에 걸쳐 배치된 ‘쓸모 있는 식물학‘
이라는 상자글은 정원가들이 특별히 흥미를 가질 만한 실용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 P6

책 전체에 걸쳐 간간이 다양한 식물학자와 식물화가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을 실었다. 

이런 인물 소개글을 통해 독자들은 식물학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 수세기에 걸친 그들의 탐구가 정원 일에 끼친 영향을 느껴볼 수 있다. 

이 책에서 어떤 최종 명단을 만들려는 뜻으로 15명의 식물학자를 선정한 것은 아니다. 

식물학의 역사에는 매력적인 인물이 엄청나게 많이 등장하는데, 모두 다 매혹적인 발견을 했고 때로는 그들의 생각을 인정받으려고 분투하기도했다. 

식물학은 당연히 추가 연구가 필요한 하나의 주제이다. - P6

조류는 아마 정원가들의 관심에서 가장 멀리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정원가가 생각할 때, 이 유기체는 연못의 녹조, 축축한 나무 데크나 정원의 바닥돌에 끼는 미끌미끌한 물때 말고는 하는 역할이 거의 없다.

그러나 조류를 한쪽으로 제쳐 두기 전에, 이 단순한 생명체가 식물계에서 꽤 큰 부분을 차지하고 생태계에서도 무척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말해두고자 한다. 

조류가 ‘단순하다‘고 여겨지는 까닭은 다른 식물들처럼 다양한 형태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뿌리나 잎처럼 각각 기능이 다른 부분들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조류는 엄청난 다양성을 보여 준다. 우리 대부분은 다세포 조류인 해조류에 익숙하지만, 단세포 조류인 식물성 플랑크톤도 그 종류가 아주 많다. - P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