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은 춥구나.
에어컨 바람이 쎄구나.
내일은 긴 팔 옷을 하나 걸치고 와야겠다.

아이쿠야.
오늘 하루도 쏜살같이 지나간다.

오늘 확실히 알게 된 거,
[식물 학명]
- 학명은 속명과 종명으로 쓴다는 거
- 속명은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고 종명은 다 소문자로 쓴다는 거
- 둘 다 이탤릭체(기울임꼴)로 쓴다는 거
- 스웨덴의 과학자 린네에 의해서 식물 분류 토대가 만들어졌다는 거
- 학명은 라틴어라는 거



종은 무엇일까? 

종은 서로 교배가 가능한 집단이며, 
다른 종과는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식물 분류의 기본 단위는 종(단수는 ‘specie‘가 아니라species이며, 복수도 같다)이다. 단수를 나타낼 때는 ‘sp.‘
복수를 나타낼 때는 ‘spp.‘로 줄여 쓰기도 한다. - P36

종의 수명

대체로 식물은 수명이 긴 편이며 때로 수천 년을 살기도 하지만, 어떤 식물은 수명이 몇 주에 불과할 수도 있다. 

세계적으로 최장수 기록을 갖고 있는 식물은 미국 캘리포니아 화이트 산에 사는 피누스 롱가이바Pinus longaeva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트베이슨잣나무라고 불리는 이 식물은 2013년에 5,063살이었다. 

가장 수명이 짧은 식물 중에서는 유럽과 아시아와 아프리카 북서부에 서식하는 한해살이 식물인 아라비몹시스탈리아나 Arabidopsis thaliana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식물은 생활 주기를 6주 만에 완성할 수 있다. - P37

한해살이 식물은 발아, 성장, 개화, 종자 형성으로 이루어진 생활 주기를 모두 1년 안에, 또는 한 계절 안에 완성한다. 또는 위에서 예로 든 것처럼 훨씬 더 짧은 기간에 끝내기도 한다. - P37

두해살이 식물은 생활 주기를 완성하는 데 2년이 걸린다. 첫해에는 싹이 트고 영양성장(잎, 줄기, 뿌리의성장)이 일어난다. 그 후에는 휴면을 하면서 날씨나 환경 조건이 좋지 않은 기간을 견딘다. 그 이듬해에는 일반적으로 영양성장을 조금 더 한 뒤에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은 다음 죽는다. - P37

여러해살이 식물은 2년보다 더 오래 산다. 두해살이식물처럼, 여러해살이 식물도 해마다 휴면할 수 있다.
때로는 지면 위로 나와 있는 부분이 다 말라 죽기도하지만, 살기 좋은 계절이 되면 다시 자라나 해마다 꽃과 열매를 맺는다. 

정원가에게 ‘여러해살이 식물이라는 용어는 대개 풀을 뜻하며, 식물학자들은 이렇게 나무가 아닌 식물을 herb라고 부른다.

정원가에게 허브 herb는 완전히 다른 의미이다. 정원가와 식물학자의 전문용어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 P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