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다
아모스 오즈 지음, 최창모 옮김 / 현대문학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독교인답지 못하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나는 가룟 유다에게 연민을 느낀다. 수천 년 동안 그 이름이 배신자의 대명사로 불렸던 사람. 온 세상을 사랑하고 용서하고 구원한 예수에게도 구원받지 못했던 사람. 그가 예수를 팔지 않았다면 십자가도 부활도 기독교도 없었을 텐데, 그는 구원의 도구로 사용되었어도 영원히 저주받는 운명에 놓였다. 그래서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부터 영화 <막달라 마리아: 부활의 증인>, 다자이 오사무의 단편소설  「직소」까지 가룟 유다를 재해석하는 작품들에 끌리곤 했다. 이스라엘의 작가 아모스 오즈의 마지막 장편소설  『유다』도 같은 맥락에서 호기심이 생겼다.


  예상과 다르게 유다의 재해석만이 이 소설의 중심축은 아니었다. 1959년에서 1960년으로 넘어가는 겨울, 대학원생 슈무엘이 예루살렘의 어느 외딴 집에서 몸이 불편한 노인 게르숌 발드의 말벗이 되어주는 이야기가 액자 역할을 하고, 발드와 그의 며느리 아탈리야, 아탈리야의 친정아버지 쉐알티엘 아브라바넬이 겪은 비극과 유다의 재해석이 그 안에서 얽히며 소설을 구성한다. 발드와 아브라바넬 가족의 비극과 유다의 재해석을 통해 작가가 돌아보려는 것은 '배신자'로 불리는 사람들이다.

  저명한 정치가였던 쉐알티엘 아브라바넬은 유대인만을 위한 국가라는 개념 자체가 유대인과 아랍인 사이의 끝없는 전쟁을 불러일으킬 것이고, 국가라는 제도 자체를 신뢰하지 않았기에 이스라엘 건국을 반대했다. 이스라엘이라는 유대인만의 국가 대신 유대인과 아랍인이 공존하는 공동체를 꿈꾸었지만, 이스라엘 건국을 도모하고 있던 동료 정치인 벤구리온 때문에 정계에서 쫓겨나고 같은 민족인 이스라엘인들에게 매국노 취급을 당했다. 그는 이스라엘이라는 국가의 배신자였다.

  또 다른 '배신자' 유다는 이 작품에서 예수를 가장 사랑했던 제자로 재해석된다. 그는 예수가 십자가에 달리면 신의 권능으로 십자가에서 스스로 내려올 것이고, 그 즉시 천국이 이 땅에 임하고 사랑만이 넘쳐날 거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그러나 예수는 십자가에서 스스로 내려오기는커녕 어린애처럼 어머니와 아버지를 찾으며 울부짖다 힘없이 죽어갔다. 세상의 어떤 사람보다 사랑했던 사람을 자기 손으로 죽인 데다, 세상의 구원이라는 일생의 목적이 산산조각 났으니 그에게는 더 이상 살아갈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는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배신자로 손가락질 받았던 두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아모스 오즈가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이었을까. 배신자로 불리는 사람들 중에는 정말 자신의 사사로운 이익을 챙기거나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자신을 믿고 사랑했던 사람들, 뜻을 함께했던 동지들, 심지어 나라까지 배신한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그러나 시대를 너무 앞서 태어나 당시의 많은 사람들이 바람직하다고 여기고 기대하는 방향으로는 다른 방향으로 갔던 사람들,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한 것을 보고 꾸지 못한 꿈을 꾼 사람들도 있었다. 누구에게도 이해받지 못하고 배신자라는 낙인이 찍힌 채 재평가될 기회도 얻을 수 없었던 것이 그들의 비극이었다.

  그들 중에는 아모스 오즈 자신도 있었을 것이다. 그는 쉐알티엘처럼 이스라엘이라는 국가 자체의 존재를 반대하지는 않았지만,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과 평화롭게 공존하기를 바라며 자신의 작품으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에 저지른 폭력을 비판했다. 하지만 팔레스타인, 아랍 국가들과 공존하자고 주장했다는 이유로 이스라엘 극우 단체들은 그를 배신자로 몰아갔다. 그는 쉐알티엘, 유다와 같은 처지에 있으면서 그들의 다음 세대인 청년 슈무엘의 눈으로 오랫동안 매도당하고 잊혔던 그들의 꿈과 절망, 슬픔을 헤아려본다. 슈무엘의 성찰이 작품 속에서는 그들의 운명을 바꾸거나 그들의 재평가를 이끌어내지는 못하지만, 독자들에게 역사 속에 배신자로 남았던 이들과 그들을 배신자로 몰아갔던 역사, 세상을 다시 생각해 보도록 권한다.

  배신자라는 소재는 자극적일 수 있지만 이 소설은 읽기 고통스러울 정도로 천천히 담담하게 흘러간다. 아모스 오즈 자신이 인터뷰에서 이 책은 "추운 겨울 세 명이 한 방에 앉아 차를 마시며 서로 논쟁하는 이야기"라고 할 정도로 이 소설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등장인물들 사이의 대화다. 이상주의자 슈무엘과 현실주의자 발드의 대화, 이스라엘이 아랍인들에게 자행하는 폭력에 비판적이지만 이스라엘 국가라는 생각의 틀에서는 벗어나지 못하는 슈무엘과, 유대인들이 이 땅에 있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말하며 어리석은 전쟁을 거듭하는 남자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아탈리야의 대화. 이들의 대화를 통해 오즈는 한 치도 물러서거나 주저하지 않고 고국 이스라엘이 지금까지도 자행하고 있는 폭력을 비판한다. 소설로 자신의 정치적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유대인들의 눈에 비친 예수와 가룟 유다는 어떤 모습이었는지 나름대로 연구해 온 슈무엘과, 해박한 지식에 기초해 자신의 견해를 풀어놓는 발드의 대화를 통해, 신학적, 철학적 고찰의 깊이를 드러낸다. 인문 연구서가 아니라 소설인데 번역자가 단 역주가 거의 300개는 될 정도로, 슈무엘과 발드는 수많은 성경 구절과 유대 경전 구절을 인용한다. 기독교인으로서는 유대인들이 생각하는 예수의 이미지와 오즈의 가룟 유다 재해석이 신선하게 느껴졌다.

  이 소설은 정치적이고 지적이며 전반적으로 건조하지만, 곱씹어 읽어보면 묘한 정취와 서정이 느껴진다. 딱딱한 빵을 씹다 보면 느껴지는 고소한 맛처럼. 책 전체에는 겨울날 예루살렘의 적막하고 황폐한 분위기가 드리워져 있다. 여러 해 전 겨울에 예루살렘에 갔을 때 느꼈던, 깊은 밤 어두운 골목의 정취가 다시 느껴졌다. 오즈가 여기서 묘사하는 예루살렘은 내가 갔을 때로부터도 수십 년 전의 예루살렘이지만, 그때부터 변하지 않는 쓸쓸함이 있다. 겨울의 어느 도시가 쓸쓸하지 않겠냐만은, 수천 년 동안 험난한 역사와 온갖 비극을 겪으면서 슬픔이 쌓여왔고, 지금도 어디서 유혈극이 일어날지 모르는 불안을 안고 있어서일 것이다. 유다의 심리를 그린 47장은 이 부분만 단편소설로 따로 떼어내도 좋을 만큼 이 소설에서 가장 마음을 크게 움직이는 부분이다. 다자이 오사무의 「직소처럼 휘몰아치지는 않지만 담담해서 더 여운이 남는다. 번역자는 47장을 번역하고 이틀을 울었다고 하는데, 나는 울지는 않았지만 유다의 사랑과 꿈, 희망과 절망을 가만히 들여다보며 그를 위로하고 싶었다.

  서사 전개가 빠르고 흥미로운 소설을 더 좋아하는 편이라 이 소설을 보름에 걸쳐서 읽었다. 하지만 인내심을 가지고 끝까지 읽을 만한 가치가 있었다. 언제 다시 갈지 모르는 예루살렘의 공기를 책으로나마 다시 느꼈고, 수많은 성경과 유대 경전 이야기를 통해 지식욕을 채웠을 뿐만 아니라, 세상에서 배신자로 불리는 사람들을 다시 돌아보는 것의 의미를 생각해 보게 되었으니까. 누군가의 진심과 꿈이 다른 한 사람에게라도 기억된다면 그의 삶이 완전히 헛되지는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